본문 바로가기
  • 주니어 생글생글 연말 결산

    주니어 생글생글 44호는 연말 결산으로 커버스토리를 꾸몄다. 구독자 1241명 설문을 바탕으로 올해 가장 재미있었던 커버스토리와 독자들이 좋아하는 코너의 순위를 매겼다. 주니어 생글 기획·편집 과정도 소개했다. 한 해 동안의 주니어 생글 기자 활동도 결산했다. 열심히 활동한 기자들을 선정해 ‘주생 기자상’을 수여했다. ‘내 꿈은 기업가’엔 국산 생활용품으로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 고(...

  • 아듀 2022, 헬로 2023!

    783호 생글생글은 2022년을 정리하고 2023년을 전망하는 커버스토리를 실었다. 지난 한 해 동안 어떤 주제를 커버스토리로 다뤘는지를 4면에, 내년 세계 경제를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어떻게 내다보는지를 5면에 각각 요약했다. 이코노미스트는 2023년이 불안과 불안정이 장기화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선진국의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보일 수 있다고 점쳤다. 생글생글은 1월 첫 주 휴간한 뒤 1월 9일자로 2023년을 연다...

  • 커버스토리

    아듀 2022, 헬로 2023…"내년 세계 경제도 불안"

    2022년이 지나가고 2023년이 오고 있습니다. 한 해를 되돌아보고 새해를 설계하는 시간입니다. 지난 1년 동안 촬영된 필름을 빠르게 되새김질해 보겠습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습니다. 전쟁 탓에 많은 사람이 죽었고, 국제 석유와 곡물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에너지와 곡물 가격은 인플레이션을 만들었고 세계 경제를 불황의 늪으로 밀어넣었습니다. 미국과 한국 등 세계 각국은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큰 폭으로 올렸습니다. 고(高)물가&m...

  • 영어 이야기

    전치사 barring은 '어떤 일만 아니라면' 의미

    Despite the protracted automotive chip shortage across the region, Hyundai Motor, Korea’s No.1 carmaker, sold 477,667 units in Europe in the January-November period. Kia’s sales reached a record 509,193 cars. Combined, the two sister com...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2월 26일 (780)

    1. 다음 중 수입품에 대한 ‘관세장벽’으로 볼 수 있는 조치는? ① 보복관세 부과 ② 수량 제한 ③ 가격 통제 ④ 위생검역 강화 2. 시장 평균보다 높은 수익률을 목표로 펀드매니저들이 적극 개입해 자산 비중을 조정하는 펀드를 뜻하는 말은? ① 인덱스펀드 ② 국부펀드 ③ 액티브펀드 ④ 패시브펀드 3. 아르바이트 학생도 최저임금을 보장받는다. 2023년 최저임금은 얼마로 정해졌을까? ① 8590원 ② 8720원 ...

  • 대학 생글이 통신

    2학년 땐 하고 싶은 일, 3학년 땐 학과 정하세요

    벌써 한 해가 지나 새로운 학년이 다가오고 있어요. 정든 친구들과 선생님을 떠나 새로운 반,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겠지요. 고등학교 1~2학년생은 수능에 한 걸음 더 가까이 가는 시간이 될 거예요. 오늘은 학년에 따라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 고등학교 2학년이 될 친구들에게 혹시 2학년이 되는 게 부담으로 다가오지는 않나요? 저는 한 학년 올라가는 것만으로도 괜히 압박감이 생기고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더라고요....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상반된 시각과 통찰 통해 생각 근육을 키워라

    대한민국을 한 단어로 축약하라면 ‘대립’을 떠올리는 사람이 적지 않을 듯하다. 분명한 사실, 재론의 여지가 없는 사안 앞에서도 엇갈린 의견을 내며 얼굴 붉히는 정치인들을 날마다 목격하며 살기 때문이다. K컬처가 세계로 뻗어가고 있지만 한국의 토론문화만은 후진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토론의 힘 생각의 격>은 제목처럼 토론과 생각으로 힘과 격을 기를 수 있는 책이다. 쉽지 않은 주제로 책을 쓴 허원순 저자는 ...

  • 경제 기타

    첨단 로봇은 필연적…일자리 등 논쟁도 커질듯

    초창기 로봇들은 운반이나 부품 조립과 같은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인간이 해야 할 일들을 대신해 주었습니다. <중략> 향후에 기술 발전에 따른 로봇의 상용화가 가속화될 것이며 그로 인해 우리는 보다 많은 시간적 여유와 삶의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2016학년도 9월 국어 모의평가 3~5번 지문 - 수능이나 평가원 모의고사에 로봇 관련 지문이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2022 수능 9월 모의평가 영어 37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