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대학 생글이 통신
겨울방학 알차게 보내기 위한 계획 세우기
2023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맞이 신년 계획은 세우셨나요? 수험생 여러분에게는 이번 겨울방학이 재정비 및 도약의 기회여서 더 중요하게 다가올 것 같아요. 그러나 막상 계획을 세우려고 하면 막막하게 느껴지거나, 세운 계획을 제대로 지키지 못해 좌절감을 느껴본 분들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겨울방학 동안 학습 계획을 세우는 방법을 소개하고, 계획을 효과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겨울방학 학습 계획을...
-
경제 기타
기업은 상품차별화를 통해서도 독점력 갖게 돼
앞서 설명한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은 현실적으로 시장과 정확히 일치하는 시장이라고 할 수 없다. 동일한 상품을 생산하는 공급자가 무수히 많기도 어렵지만, 전기나 철도처럼 공기업으로 운영되는 몇 가지 사례를 제외하고는 하나의 기업만 생산하는 독점도 찾아보기 어렵다. 시장에서는 소수의 생산자가 상품을 공급하거나, 생산자가 많아 완전경쟁시장 같아 보이지만 완전경쟁이 아닌 방식으로 공급이 이뤄진다. 생산자가 많지만 완전경쟁으로 작동하지 않는 독점적경쟁...
-
대입전략
모의고사 6회…3·6·9월 시험 결과 분석 중요 6월까지 국어, 수학 공통과목에 최대한 집중
올해는 통합수능 3년째다. 통합수능의 윤곽이 어느 정도 잡히고 있다. 수학에서의 이과생 강세, 이과생의 인문계 학과 교차지원 등은 통합수능의 고질적 문제로, 올해도 논란이 예상된다. 종로학원은 2024학년도 대입 주요 일정을 살펴보고, 시기별로 점검해야 할 포인트를 짚어본다. 3월 학평과 6·9월 모평 터닝포인트 올해 수능 전 고3 및 재수생을 대상으로 한 모의고사는 총 6회가 계획돼 있다. 각 시·도 교육청이 주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만 나이'에 대한 오해와 진실
시중에는 요즘 “올해부터 나이가 한 살씩 줄어든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6월부터 시행된다는 ‘만 나이’ 제도 때문이다. 만 나이는 관습적으로 써오던 나이, 즉 ‘세는나이’보다 많게는 두 살까지 줄어드는 마법의 셈법이다. 하지만 오해도 있다. 이게 마치 새해부터 달라지는 제도인 양 말하는 게 그렇다. 사실은 예전부터 있던 것이다. 우리 민법에선 1958년 제정될 때부터 만 나이를 ...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확실하지 않으면 확률 높은 이해를 택하자
통계학에서 제1종 오류란 올바른 가설이 기각되는 것이고, 제2종 오류란 잘못된 가설이 받아들여지는 것을 말한다. (중략) 법은 사고 방지를 위한 적정 주의를 1수준으로 정하고 있으며 법원은 제1종 오류와 제2종 오류를 각각 20%의 확률로 범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을 가해자도 알고 있다고 하자. 이 경우 가해자는 어느 수준의 주의를 선택할까? 가해자가 0수준의 주의를 선택하면 가해자는 80% 확률로 기대 사고 비용 60원을 부담하게 되므로...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경쟁시장
[문제] 독점적 경쟁시장과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비가격경쟁이 많이 발생한다. ② 시장 내에 다수의 생산자가 존재한다. ③ 생산자에 의해 제품 가격이 결정된다. ④ 기업은 시장가격에 대한 가격 순응자이다. ⑤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은 기업마다 조금씩 다르다. [해설] 시장은 판매자 수에 따라 완전경쟁, 독점, 과점, 독점적 경쟁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독점적 경쟁시장은 진입과 퇴거가 자유롭고, 다수의 기업이 존재하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賊反荷杖 (적반하장)
▶한자풀이 賊: 도둑 적 反: 되돌릴 반 荷: 멜 하 杖: 몽둥이 장 '도둑이 되레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잘한 사람을 나무람 - <순오지(旬五志)> 적반하장(賊反荷杖)은 ‘도둑이 되레 매를 든다’는 뜻이다.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잘한 사람을 나무라는 것을 꼬집는 말이다. 조선 인조 때의 학자이자 시평가 홍만종(洪萬宗)의 문학평론집 <순오지(旬五志)>에 적반하...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청 강희제, 민족간 충돌 빌미 백두산 경계선 확정, 두만과 토문 동일성 여부 논쟁…최종 결론 못내려
강희제는 두만강과 압록강 이북에서 조선인들과 여진인 한인들이 충돌하는 상황을 빌미로 백두산 일대를 측량하고, 경계선을 확정하는 2차 작업에 착수했다. 드디어 1712년 3월 강희제의 명을 받은 오라(길림) 총관인 목극동은 조선 관원들의 참여를 막은 채 백두산 대택(천지)에 올라갔다. 내려온 그는 주위를 유심히 관찰한 뒤 천지(대택)의 동남쪽 4㎞ 지점(해발 2150m)을 지정하고 높이 70.6㎝, 폭 54.6㎝의 돌비를 세워 82글자를 새겨 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