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세가 된 구독경제

    제847호 생글생글 커버스토리 주제는 구독 경제다. 구독 경제는 소비자가 상품을 소유하지 않고 정기적으로 일정한 요금을 내고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구독 경제의 범위는 e커머스, 음악·동영상, 가전제품,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넓고 다양하다. 최근 시장 지배력이 큰 사업자가 구독료를 큰 폭으로 올리는 ‘구독플레이션’이 논란을 낳고 있다. 대입 전략에선 육군·해군·공군...

  • 커버스토리

    대세가 된 구독경제…피로감은 어쩌지?

    요즘 가장 유행하는 용어 중 하나가 ‘구독경제(subscription economy)’죠. 소비자가 제품을 소유하는 대신 정기적으로 일정한 요금을 내고 제품을 쓰거나 서비스를 받는 비즈니스 모델을 뜻합니다. 최근엔 유튜브에 이어 쿠팡이 구독료를 크게 올려 적지 않은 논란이 일었습니다. 평상시엔 구독경제가 제공하는 편리함을 잘 이용하다가도 이렇게 난데없이 요금이 급등하면 속된 말로 ‘호구’가 된 느낌이 ...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임명장 받은 외국인 한국문화 홍보 활동가들

    세계 각국에 한국을 알릴 외국인 한국 문화 홍보 활동가 2600여 명이 임명장을 받고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한국콘텐츠진흥원 CKL스테이지에서 ‘2024년 외국인 한국 문화 홍보 활동가 발대식’을 열었다. 문체부는 앞서 제14기 코리아넷 명예기자단으로 93개국 1387명, 제5기 K-인플루언서로 97개국 1254명 등 외국인 한국 문화 홍보 활동가 2641명을 공개 선발했다. 참가...

  • 숫자로 읽는 세상

    '세계 수출 5위' 한일전이 시작됐다

    올해 1분기 한국 수출이 달러화 환산 기준으로 일본의 97%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자동차, 기계 등 주력 제품의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올 들어 반도체 수출마저 완연한 회복세를 보인 결과다. 반도체 수출에 가속도가 붙으면 올해 한국은 연간 7000억달러 수출 목표를 달성하며 처음으로 일본을 따돌리고 세계 수출 5강에 진입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를 지키려는 일본의 반격도 거센 상황이라 양국의 수출 5위...

  • 숫자로 읽는 세상

    4년제 대학 26곳 등록금 올렸다

    전국 4년제 대학 26곳이 올해 등록금을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는 18곳이 등록금을 올렸다. 29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따르면 전국 분석 대상 4년제 대학 193곳 중 26곳(13.5%)이 2024학년도 학부 등록금을 인상했다. 지난해 17곳(8.8%)이 올린 것과 비교하면 인상을 선택한 학교가 대폭 늘어난 셈이다. 분석 대상 중 166곳(86.0%)은 등록금을 동결했고, 1곳(0.5%)은 인하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ldq...

  • 시사 이슈 찬반토론

    편의점 주인도 노조식 단체협상권, 위헌 요인 없나

    편의점 주인 같은 가맹사업 점주들 단체에도 노동조합의 고유 권한인 단체교섭권을 부여하는 법안이 나왔다. 개인 사업자에게 노동자(노동조합)의 고유 권한인 단체교섭권을 부여하자는 것이어서 헌법 위반이라는 논란이 일고 있다. 가맹사업 본사의 갑질을 막으려다 오히려 갈등을 키운다는 비판도 있다. 반면 소상공인 등 자영 사업자들의 형편이 어려운 데다, 프랜차이즈 본사 기업과의 관계에서 약자 처지인 개별 가맹점주의 사정을 법이 보호해줘야 한다는 주장도 있...

  • 교양 기타

    윤동주 시집 원래 제목은 '병원'이었다 [고두현의 아침 시편]

    병원 윤동주 살구나무 그늘로 얼굴을 가리고 병원 뒤뜰에 누워, 젊은 여자가 흰 옷 아래로 하얀 다리를 드러내놓고 일광욕을 한다. 한나절이 기울도록 가슴을 앓는다는 이 여자를 찾아오는 이, 나비 한 마리도 없다. 슬프지도 않은 살구나무 가지에는 바람조차 없다. 나도 모를 아픔을 오래 참다 처음으로 이곳에 찾아왔다. 그러나 나의 늙은 의사는 젊은이의 병을 모른다. 나한테는 병이 없다고 한다. 이 지나친 시련, 이 지나친 피로, 나는 성내서는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吹毛覓疵 (취모멱자)

    ▶한자풀이 吹: 불 취 毛: 털 모 覓: 찾을 멱 疵: 흠 자 남의 약점을 악착같이 찾아내려는 야박하고 가혹한 행동을 이르는 말 - <한비자> 다산 정약용은 “곱게 보면 꽃이 아닌 풀이 없고 밉게 보면 잡초가 아닌 풀이 없다”고 말했다. 털어서 먼지 안 나는 옷은 없다. 남의 눈 속 티끌은 들보만큼 커 보이고, 자신의 들보만 한 흠집은 티끌처럼 보이는 게 인지상정(人之常情)이다. 인지상정은 사람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