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보호막 벗는 게 무서워! 개인도 기업도 '그냥 이대로…'
피터팬 신드롬은 한마디로 보호받고 싶은 인간의 속성이다. 책임은 회피하고 보호는 받고 싶은 유아적 생각이다. 기업이 정부의 보호에 안주해 대기업으로의 도약을 기피하고, 개인이 독립하는 것이 부담스러워 부모의 곁을 맴도는 것은 전형적인 피터팬 신드롬이다. 성장을 원하면서도 그에 따른 책임이나 실패가 두려워 자꾸 움츠리는 심리다. 하지만 인간이나 기업이 피터팬 신드롬에 머물면 더 이상의 성장은 하지 못한다. 불안하고 두려워도 보호라는 알을 깨고 나...
-
커버스토리
혼자서는 못하는 '어른 아이'…의존형 소년기로 U턴
피터팬 증후군은 어른이 되고 싶지 않은 청소년들의 정신적 신드롬을 말한다. 이 말을 책에서 처음 쓴 댄 카일러 박사는 신체적으로 어른이 됐지만 그에 따른 책임과 역할을 거부하는 심리적 퇴행 상태를 동화 주인공 피터팬에 비유했다. 피터팬 증후군 감지 배경은 1970년대 미국 경제 상황에서 비롯됐다. 경기 침체로 남성들의 사회적, 정치적 힘이 약해지면서 여성에게 의존적인 모습을 보이는 남성들이 증가한 것이다. 당시엔 남성들의 이런 사회병리적 현상으...
-
경제 기타
미국 덮친 '살인 독감'…경제회복 브레이크 걸리나
미국이 '살인 독감'에 끙끙 앓고 있다. 미국 50개주 중 47개주에 독감바이러스가 퍼지면서다(15일 현재 기준). 독감 사망자 수는 100명을 넘어섰다. 보스턴시와 뉴욕주는 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병원으로 사람들이 몰리면서 일부 지역에선 백신 부족 사태까지 일어났다. 사회·경제적 손실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환자 2만명·사망자 100명 넘어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지난 12일 “미국 122개 도시의 전체 사망자 중 7.3...
-
경제 기타
<93> 우산(牛山)이 황폐해진 까닭은?
전국시대 제나라에는 우산(牛山)이라는 민둥산이 있었다. 우산은 본디 크고 울창한 나무로 뒤덮인 산이었으나, 대도시의 근교에 위치해 많은 사람들이 건축 자재와 땔감을 구하기 위해서 벌채를 일삼았다. 그러니 어찌 그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었겠는가? 우산은 그런 역경을 스스로 딛고 일어서 인간에 맞서려 했으나 목동이 소와 양에게 꼴을 먹이니 큰 나무와 풀들이 자라지 못하는 땅이 돼 버리고 말았다. 사람들이 우산이 원래 민둥산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
경제 기타
"이익집단에 포획된 정부, 그릇된 정책 내놔"…규제 폐단 지적
(7) 규제이론의 개척자 조지 스티글러 정부규제의 원인과 효과에 관한 연구로 198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의 조지 스티글러(George Stigler)는 아버지는 독일, 어머니는 헝가리 출신인 가난한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가 거시 분야의 밀턴 프리드먼과 나란히 미시 분야에서 시카고학파의 기둥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시카고대에서 프랭크 나이트 교수에게 배우고 익혔던 진리탐구의 소명의식 때문이었다. 스티글러의 사상이 추구하는 최고의 ...
-
경제 기타
기초 연금 확대 바람직 할까요
찬 "노후 준비못한 세대를 국가가 부양해야" 반 "재원 조달 막막한데 재벌까지 준다고?" 65세 이상 노인들에게 지급하는 기초노령연금의 수령 대상과 금액을 확대하는 것을 둘러싸고 찬반 논란이 뜨겁다. 현재 기초노령연금은 65세 이상 중 소득 하위 70%(약 405만명)에 월 9만7100원을 지급하고 있다. 문제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선거 공약으로 기초노령연금을 기초연금으로 개편해 65세 이상 전원에게 지급하고 금액도 20만원으로...
-
TESAT 공부하기 기타
"테샛 덕분에 대학 입학 성공했어요"
테샛등급 생활기록부 기재…상경계 입학에는 필수 스펙…SKY대 합격 사례 줄이어 테샛은 상경계 대학 입학의 필수 스펙 중 하나다. 국가공인 시험으로 고교 생활기록부에 공식 기재할 수 있어 테샛 우수 등급 획득은 대입 전형에서 큰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실제로 고등학생 가운데 테샛으로 대학 입학에 성공한 사례가 많다. 고양시 저동고를 졸업하고 입학사정관제 전형으로 연세대 상경계열에 입학한 김민우 씨는 “테샛은 경제학과나 경영학과 진학을 생각하...
-
학습 길잡이 기타
강현민의 신나는 수학여행-박희성의 맛깔난 잉글리시
강현민의 신나는 수학여행 -통계의 오류에 속지 말자구요! '지난해 결혼한 세 커플 중 한 커플이 이혼한 것으로 밝혀져 사회적 충격을 주고 있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작년에 결혼한 커플은 1만9034쌍이었으며, 이에 반해 작년 한 해 이혼한 커플은 6321쌍으로 나타났다. 이혼사유는 성격차이 39.8%, 가정문제 27.5%,…젊은 부부들의 신중하지 못한….' 이상은 '현민일보'의 기사 중 일부이다. 혹시 여러분들은 이 기사 내용 중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