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이슬람 원리 - 세속주의 '뿌리 깊은 갈등'…정권 교체 혼란 악순환

    무함마드 무르시 이집트 대통령이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겪으면서 지난 3일 1년 만에 권좌에서 밀려났다. 2011년 아랍 전체를 휩쓴 ‘아랍의 봄’ 사태 이후 이집트는 물론 튀니지, 바레인, 리비아, 예멘,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북아프리카 국가들은 크고 작은 시위와 내전에 끊임없이 시달리고 있다. 같은 이슬람 문화권인 터키에서도 최근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고 있다. 범이슬람권에서 벌어지고 있는 시위 혹은 내전의 배경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이면에는 ‘이슬람 원리주의’와 ‘세속주의’의 뿌리 깊은 갈등이 깔려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겉으로는 ‘민주화’를 내세우지만 실상은 종교 갈등이나 다를 바 없다는 얘기다. 결국 대규모 시위로 정권을 무너뜨린 뒤에도 사회가 안정되는 것이 아니라 혼란과 갈등의 악순환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원리주의 대(對) 세속주의 이집트에선 아들리 만수르 헌법재판소 소장이 4일 임시 대통령에 취임했다. 만수르 임시 대통령은 무르시 전 대통령을 지지하던 이슬람 원리주의 단체인 ‘무슬림형제단’에도 “국민의 일부로 국가 재건에 참여할 기회를 주겠다”며 우호적인 제스처를 보냈다. 실제 움직임은 달랐다. 이집트 검찰은 이날 무슬림형제단 지도부 200여명에게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게다가 이집트 군은 무르시 지지자들에게 발포, 최소 3명이 숨졌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무르시 세력 축출에 나선 것이다. 무르시 지지자들은 카이로 나스르시티에서 집회를 열고 “선거를 통해 선출된 대통령을 강제로 몰아내는 것이 민주주의냐”며 강하게 항의했다. 독재 대 반독재(민주화) 구도의 싸움이라기보다는 원리주의 대

  • 경제 기타

    "빵을 달라" 글로벌 시위 화두는 민생…SNS 타고 빠르게 번졌다 쉽게 시들기도

    인종도 지역도 경제 수준도 다른 국가들에서 적게는 수천명에서 많게는 수백만명이 거리로 나서고 있다. 과거엔 ‘민주화’ 등 거대 담론이 반정부 시위의 주제였지만 최근엔 대중교통요금 인하, 인프라 건설 요구 등 생활 밀착형 이슈가 많다. 한마디로 ‘민생 문제’를 해결하라는 요구다. ○‘중산층의 반란’ 브라질에선 상파울루시(市) 정부의 버스요금 인상안에 항의하기 위한 시위가 시작됐다. 시간이 지나면서 시위대는 문제의 본질이 브라질의 부실한 교통 인프라에 있다는 것을 파악했고, 월드컵 경기장에만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는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불가리아도 마찬가지다. 재벌 언론인을 국가보안청장에 앉혔다는 것이 이유였지만, 결국 정부의 정실 위주 인사 시스템을 비난하는 데까지 이어졌다. 이 같은 현상의 핵심에는 고학력 중산층과 경제난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중산층은 정부의 작은 부패에도 민감한 편이다. 경제 수준이 높아지면서 이전보다 정부나 사회의 모순을 더 잘 파악하게 된 까닭이다. 운전면허증을 따기 위해 뇌물을 내야 하는 것 등이 대표적이다. 중산층은 빈민층보다 시위할 시간도 많다. 미국의 유명한 사회학자 베링턴 무어가 “부르주아가 없으면 민주주의도 없다”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프랜시스 후쿠야마 미 스탠퍼드대 선임연구원도 “최근 정치적 소요들의 핵심에는 ‘글로벌 중산층’의 성장이 있다”고 설명했다. 아시아개발은행에 따르면 1990년 21%였던 아시아의 중산층(하루 소득 2~20달러)은 2008년 56%로 늘었다. 실제 브라질에선 최근 8년간 4000만명이 빈곤층에서 벗어났다. 터키에선 지난 10년간 대학 졸업자가 8%나 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