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경제를 배우는 김포외고의 '경제 골든벨' 등

    경제를 배우는 김포외고의 '경제 골든벨' 김포외국어고는 최근 제2회 경제 골든벨 대회를 열었다. 경제 골든벨 대회는 학교 경제동아리 UHEC(United Highschool Economy Community)가 주최하는 대회로 이번이 2회째다. 경제 골든벨 대회는 UHEC의 경제부서 부원들과 부장 차장들이 한 달간이나 준비할 만큼 학교에서 비중 있는 행사다. 이 기간이 학생들이 정식문제와 난센스 퀴즈를 만들고, 규칙 등을 제정한다. 모든 일정을...

  • 경제 기타

    교육부의 역사교과서 수정 지시 따라야 등

    교육부의 역사교과서 수정 지시 따라야 요즘 한국사 수능 필수 제정을 비롯해 한국사 교육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교학사에서 출판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가 우익 성향이 짙어 그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교학사 교과서는 다른 교과서의 2배 정도로 수정 및 보완 사항을 지적받았으며, 검정 통과 이후 열흘 동안 298곳에서 오류가 드러났다. 네이버, 위키 백과 등 출처가 분명하지 않은 인터넷 자료들을 무분별하게 갖다 ...

  • 경제 기타

    '독도 지우개'와 코즈마케팅 등

    '독도 지우개'와 코즈마케팅 최근 학생들 사이에서는 '독도 지우개'가 열풍이다. M문구업체에서 출시한 이 지우개에는 독도의 사진과 더불어 '수익금의 일부는 독도후원기금으로 쓰입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이 색다른 지우개의 등장은 소비자에게 독도를 돕는다는 자부심과 동시에 애국심을 심어주고, 일본 등의 외국산 필기구를 즐겨 쓰던 학생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주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와 같이 기업이 사회적 이익, 공익을 내세우며 제품을 홍보...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291)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www.sgsgi.com)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290회 스도쿠여행 정답: ⓐ-7 ⓑ-4 ⓒ-1 ⓓ-6 ⓔ-9 ⓕ-3 ⓖ-8 ⓗ-3 ⓘ-7 ★ 289회 당첨자: 박현빈 김예리 석원영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2월 9일자

    1. 한국 정부가 최근 참여에 관심을 표명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의 영어 약자는 이것이다.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12개국이 참여한 복수국 간의 자유무역협정(FTA)인 이것은? ①RCEP ②GCC ③TPP ④FDA 2. 투자 목적으로 모았지만 실제 투자 집행이 이뤄지지 않은 자금을 뜻한다. 총포류 발명 초창기 전쟁 준비를 위해 마른 화약을 비축했던 것이 현대 금융시장으로 쓰임이 확대된 이 말은? ①드라이 파우더 ②핫 머니 ③...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290)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www.sgsgi.com)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289회 스도쿠여행 정답: ⓐ-1 ⓑ-9 ⓒ-5 ⓓ-1 ⓔ-8 ⓕ-7 ⓖ-2 ⓗ-9 ⓘ-6 ★ 288회 당첨자: 서진영 고하영 이주원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2월 2일자

    1. 최근 국회 파행으로 내년에 이른바 '한국판 셧다운'인 이 상황이 벌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정부 예산안이 연내 국회에서 의결되지 못할 경우 정부가 제한된 범위에서 임시로 집행하는 예산인 이것은? ①균형예산 ②추경예산 ③준예산 ④보정예산 2. 벤 버냉키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최근 가상화폐 '이것'이 위험성이 있지만 장래성 있다는 입장을 밝혀 눈길을 끌었다. 2009년 등장 이후 거래가 활발하지만 범죄 악용이 우려되기도 하는 ...

  • 경제 기타

    가족끼리 싸움하면 안되듯이… 등

    가족끼리 싸움하면 안되듯이… 우리는 하루 안에 비행기를 타고 아침은 베트남에서 간단하게 시작하고 점심은 일본에서 먹고 저녁은 중국에서 먹을 수도 있다. 그리고 베트남, 일본, 중국을 돌아다니면서도 다저스의 류현진 선수가 경기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이러한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우리 집에서도 지구 반대편의 소식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를 지구촌 시대라고 부른다. “지구촌 시대라면 각각의 나라는 집이라고 비유할 수 있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