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국·영·수만으로 잘나갈 수 없는 시대

    대한민국 학생들, 특히 인문계 고등학생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은 무엇일까. 대학교 진학이다. 주로 수도권에 위치한 유명 대학에 가기 위해 학생들은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도 끊임없이 노력과 열정을 불태운다. 좋은 대학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높은 내신과 성적, 높은 등급의 수능 성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대학교에 가려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미래를 위해서다. 좋은 대학을 졸업해서 좋은 직장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 많다. 하지만...

  • 경제·금융 상식 퀴즈

    2월 1일 (693)

    1. 기업이 주가 관리와 투자 유치 등을 위해 투자자를 대상으로 홍보하는 활동을 가리키는 말은? ①IR ②XR ③VR ④AR 2. 금, 달러, 미국 국채의 공통점은? ①안전자산 ②기축통화 ③사치재 ④캐시카우 3. 기업에 안정적인 현금 창출원이 되는 사업을 가리키는 말은? ①안전자산 ②기축통화 ③사치재 ④캐시카우 4. 정부가 법정 최고금리를 인하하자 저신용자와 서민들이 불법 대부업체를 이용하는 사례가 늘었다면 이 상황에 가...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573)

  • 생글기자

    인정받아야 성공한 삶일까

    나의 인생 책이라고 할 수 있는 《열일곱 살의 인생론》이란 책을 통해 감명받은 부분을 이야기하고 싶어 기사를 써 내려간다. 인정을 받으면 당연히 기분이 좋을 것이고, 인정을 받지 못하면 기분이 나쁘고 이것은 곧 열등감으로 표출될 수 있다. 그러나 때론 이 열등감도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다. 어쩌면 우리가 의식을 하지 못할 뿐 열등감의 도움을 받고 살아왔을 수도 있다. 책의 내용에도 있듯이, 예를 들어 자기 성적을 다른 사람이 안다는 것은 큰 ...

  • 생글기자

    청소년도 주식투자 통해 경제공부하자

    최근 코로나19로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청소년 금융교육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강조되고 있다. 은행 예금 이자가 연 1%대에 머무르는 초저금리 시대에 청소년기부터 올바른 금융 가치관을 형성하고 투자에 대한 지식을 쌓을 필요가 있다. 투자란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돈을 대거나 시간, 정성을 쏟는 것이다. 최근 ‘동학개미운동’ 등으로 투자에 대한 관심이 커진 가운데 주식 투자가 또다시 주목...

  • 생글기자

    20~30대의 치매, 영츠하이머

    인터넷 검색창을 열었을 때 무엇을 검색하려고 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았던 적이 있었는가? 중요한 약속을 잊어버려 곤란한 적이 있었는가? 혹시 어떤 일을 하다가 뭘 해야 할지 잊은 적은? 이러한 행동이 반복된다면 영츠하이머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영츠하이머란 20~30대의 젊은 세대에서 건망증 증세를 보이면서 생겨난 신조어다. 젊음(Young)과 알츠하이머(Alzheimer)를 결합한 용어로 젊은 나이에 겪는 건망증을 의미한다. 영츠하이머의...

  • 생글기자

    좋은 습관 만들기는 변화의 시작이다

    2020년도에 했던 활동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나는 학교에서 한 ‘좋은 습관 만들기’라고 주저하지 않고 말할 것이다. 좋은 습관 만들기 활동이란 빈 종이를 받아 나의 목표를 하나 적고 60일 정도 꾸준히 반복해서 이룬 후 담당 멘토 선생님이나 가족에게 확인을 받은 활동이다. 나는 이 활동을 통해 좋은 습관을 하나 가졌을뿐더러 습관의 중요성을 배우게 됐다. 습관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행...

  • 생글기자

    수필 《인생에서 너무 늦은 때란 없습니다》가 준 감동

    단 하루의 차이지만 새해 아침 벽에 거는 달력은 경건한 마음을 불러온다. ‘아프지 말기, 더 긍정적인 사람 되기, 매일 감사하며 살기, 너무 늦었다는 생각 말기.’ 2021년을 이런 마음가짐으로 시작하게 된 것은 새해 첫 책으로 읽었던 애나 메리 로버트슨 모지스의 자전적 수필 《인생에서 너무 늦은 때란 없습니다》의 영향이다. 시작을 앞둔 이들을 응원하고 마음을 다독여주는 제목도 좋았지만, 할머니의 삶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