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빅데이터 시대…한국은 뒤처지는가 등

    빅데이터 시대…한국은 뒤처지는가 우리는 정보의 홍수, 곧 데이터의 범람 속에서 살아간다. 트위터에서는 매일 1억1000만개가 넘는 게시글이 발신되고 있고, 신용카드를 결제할 때마다 우리의 휴대폰엔 사용 내역을 기록한 문자가 도착한다. 그야말로 일상생활의 행동 하나하나가 빠짐없이 데이터로 저장되고 있는 셈이다. 이렇듯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기술(IT)과 기기의 비약적인 발달과 보편화로 데이터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 경제 기타

    '불완전한 미래'를 읽고 미래가 더 궁금해지다 등

    ‘불완전한 미래’를 읽고 미래가 더 궁금해지다 현대 사회를 흔히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사회라고 표현한다. 그만큼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을 정도로 과학과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우리가 맞이하게 될 미래 사회는 지금보다 변화의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이다. 하지만 과연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이 상상만 하던 이상사회를 실현시켜줄까? 아니면 상상만 해도 끔찍한 반이상향을 낳게 될까? 10~20년 후에는 모기만 한 크기에 모...

  • 경제 기타

    한국의 구글 '제니퍼 소프트'를 만나다 등

    한국의 구글 ‘제니퍼 소프트’를 만나다 제니퍼 소프트는 소프트웨어 개발 벤처기업으로 2012년 4월 파주 헤이리 예술 마을에 정착했다. 소프트웨어 기업이기에 보다 좋은 제품 개발을 위해 구성원이 편안한 환경에서 자유로운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회사를 헤이리 마을로 옮길 정도로 기업 복지를 가장 중요시 여기는 기업이다. 이 회사는 삶과 일의 균형을 중시한다. 소통과 공감, 신뢰를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스며 나오는 창의성과 열정...

  • 경제 기타

    '선취업 후진학 제도' 찬반토론

    생글기자 4명이 색다른 주제를 놓고 찬반 토론을 벌였다. ‘고교 졸업 후 취업을 할 것인가, 대학 졸업 후 취업을 할 것인가’라는 것이다.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하기 힘들다는 이야기가 많다. 반면 마이스터 고교 출신은 졸업 전에 거의가 취업한다. 대학 졸업장이 필요하다는 측과 필요없다는 측이 맞부딪쳤다. 찬성 / “취업 먼저 한 뒤 대학 가도 안 늦다” 최근 인터넷에서는 ‘아버지는 일가지...

  • 경제 기타

    '영웅' 안중근의 조국을 향한 사랑 등

    ‘영웅’ 안중근의 조국을 향한 사랑 ‘영웅’은 지혜와 재능이 뛰어나고 용맹하여 다른 사람이 하기 힘든 일을 해내는 사람을 뜻한다. 우리는 대부분 영웅이란 말을 들으면 스파이더맨이나 베트맨 등 판타지적 요소가 강한 인물들을 대게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그들과 다르게 초능력도 없고 강력한 운명적 요소가 없어도 자신의 애국심 하나로 나라를 지킨 영웅이 있으니 바로 ‘안중근 의사’이다....

  • 경제 기타

    동아마이스터고는 취업 강자다 등

    동아마이스터고는 취업 강자다 2010년 마이스터고교가 된 동아마이스터 고등학교는 전국 최고의 취업률을 자랑한다. 지난 2월 발표한 (주)현대자동차의 마이스터고 채용에는 2학년 학생 6명이 합격했다. 3월 발표된 삼성그룹 ‘2015 마이스터고 장학생 선발’에서도 취업 강자의 저력은 다시 한 번 입증됐다. 총 22명(삼성전자 18명, 삼성디스플레이 2명, 삼성전기 2명)의 2학년 장학생이 최종 합격한 것이다. 이렇게 취업이 ...

  • 경제 기타

    경제적 효율로 보는 '카 셰어링' 등

    경제적 효율로 보는 ‘카 셰어링’ 최근 자동차를 빌려 타는 일명 ‘카 셰어링’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차를 단기간 빌려 타는 방식으로 렌터카의 응용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현재 약 60개국에서 선보이고 있다. 스마트폰 앱으로 간단하게 결제한 뒤, 업체들이 지정한 특정 공간에 주차된 차를 이용한다. 차가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고, 사용료 외에 별도로...

  • 경제 기타

    아직도 피케티에 열광하십니까? 등

    아직도 피케티에 열광하십니까? 토마 피케티 파리경제대 교수가 저서 ‘21세기 자본’의 오류를 시인했다. 그의 이론이 21세기 부의 불평등을 설명하는 데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피케티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의 불평등이 심화되는 원인이 ‘자본 수익률이 경제성장률보다 크기 때문’이라 주장한 바 있다. ‘21세기 자본’에 사용된 통계의 정확성 여부도 도마에 올랐다. 피케티가 사용한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