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사회적 경제' 보다 시장경제 원리 먼저 배워야
‘사회적 경제는 양극화와 실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협동조합은 경제위기에서도 안정적인 일자리를 확보하는 등….’ 서울 초·중·고등학생이 오는 2학기부터 정규 수업시간에 배울 ‘사회적 경제 교과서’에 나오는 내용 중 일부다. 서울시와 서울교육청이 ‘돈보다 사람을 우선하는 경제 교육’이라는 명분을 앞세워 지난해부...
-
커버스토리
"신문을 읽으면 성공이 보인다"
성공한 사람 중에는 ‘신문읽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많다. 이들은 신문에서 아이디어를 얻고, 지식을 쌓고, 상상을 키우고, 경영 노하우를 터득했다고 말한다. ‘투자의 귀재’로 불리며 세계 최고 갑부 수위를 다투는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은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것은 신문에서 배우라”고 조언한다. 신문을 읽으면서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알게 되면 어느 시점에 진짜 관심을...
-
커버스토리
"신문 읽으면 수능 평균 6~8점 높아진다"
“신문을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가정의 고교생은 비구독 가정 학생보다 수능 점수가 과목별로 평균 6~8점 높다.” 지난해 10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직능원)이 ‘신문읽기·독서와 학업성취’의 연관성을 연구 분석해 발표한 결론이다. 한마디로 신문을 읽는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월등히 뛰어나다는 얘기다. 연구팀은 “신문을 꾸준히 읽으면 어휘력, 분석력, 이해력이 좋아져 ...
-
커버스토리
경제기사 어떻게 읽을까?…경제신문 잘 읽기 팁 7가지
세계 최고의 갑부 워렌 버핏은 새벽에 ‘종이 신문 읽기’로 하루 일과를 시작한다. 왜 그럴까? 신문은 정보의 보고(寶庫)이자 치열하고 냉정한 세계에서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길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모바일 시대, 학생들은 책이나 종이신문을 보기 보다는 스마트폰으로 서핑하기 바쁘다. 기사를 읽더라도 폰 화면을 스크롤하며 스쳐 지나가듯 넘어간다. 이렇게 해선 지식과 판단력을 키울 수 없다. 시시각각 변화하고 하루가 멀다하고 ...
-
숫자로 읽는 세상
'민스키 모멘트' 공포에 떠는 중국…은행 부실채권 '눈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실채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 유럽 등 서구 은행이 휘청거리는 동안 중국 은행은 매년 두 자릿수 성장세를 지속해왔다. 은행권 부실대출 규모도 5921억위안(2013년 말 기준)으로 전체 은행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 2월 중국 은행의 부실채권 규모는 1조4000억위안으로 불어났고, 부실채권 비중도 1.83%로 크게 높아졌다. 공상은행 중국은행 건설은행 등 중국 핵심 은행의 지난...
-
경제 기타
불꺼져 가는 울산과 거제 조선소 "13년전 '스웨덴 말뫼의 눈물' 기억해야"
대한민국 경제를 이끌어왔던 제조업이 중병을 앓고 있다. 조선 철강 석유화학 IT(정보기술) 자동차 해운 등 거의 전 산업 분야에서 일본의 반격과 중국의 거센 추격 등으로 설자리가 좁아져가는 추세다. 문제는 이런 흐름이 구조적이라는 데 있다. 자칫 잘못하다가는 대한민국 호(號)가 선진국 문턱에서 좌초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말뫼의 눈물’은 우리 경제가 처한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단어다. 스웨덴은 20세기 세계 조...
-
교양 기타
온 마음을 다해 원한다면…반드시 그렇게 된다는 거야!
파울로 코엘료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특별히 사랑하는 작가이다. 코엘료가 새 책을 내면 어김없이 베스트셀러에 오른다. ‘연금술사’‘11분’‘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같은 작품을 읽고 매료된 사람들이 코엘료를 ‘믿고 보는 작가’로 수첩에 등재시켰기 때문이리라. 1987년 발간한 ‘연금술사’는 168개국에서 73개 언어로 번역되어 3000만...
-
경제 기타
(44) 오남용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관한 개념적 혼란과 오·남용이 심각하다. 지난해 말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동의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을 조성하겠다는 발표만 해도 그렇다. FTA는 관세 인하 및 철폐를 통해 정부 개입에 의한 거래비용을 낮추고 시장교환과 경쟁을 촉진하기 때문에 국민의 경제적 후생을 높이는 효과가 크다. 따라서 국회가 이를 반대할 이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정치권과 정부는 한&m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