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절대 잊지 말아야 할 투자원칙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투자 경험이 없는 생글생글 독자들도 한 번쯤 들어봤을 유명한 투자 격언이다. 계란을 한 곳에 몰아서 보관하면 실수로 떨어뜨렸을 때 전부 깨질 수 있듯, 투자할 때도 한 자산에 ‘몰빵’하지 말라는 얘기다. 이 말을 남긴 사람은 고(故) 제임스 토빈 예일대 교수. 그는 ‘포트폴리오 이론’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1981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토빈...
-
교양 기타
"관찰 중시해야 진실 보여"…실증학문 토대 놓은 논리학 저서
아리스토텔레스(BC 384~322)의 사상과 지식은 2000년 동안 서구 사회의 ‘진리’였다. ‘무거운 것이 빨리 떨어진다’는 그의 단언을 갈릴레오 갈릴레이(1564~1642)가 직접 실험해보기 전까지 아무도 의심하지 않았던 것처럼…. 프랜시스 베이컨(1561~1626)은 ‘아리스토텔레스 제국’에 반기를 든 최초이자 대표 주자다. 《신기관(Novum Organum)》...
-
커버스토리
이윤창출 → 사회적 책임 → ESG…기업의 책임도 진화한다
기업들은 오랜 세월 이익과 효율을 강조했다. 1976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의 ‘경영자는 법률이 요구하는 이상의 사회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 ‘이윤 극대화는 선이다’라는 주장은 기업 경영의 원칙처럼 여겨졌다. 하지만 단기 이익만을 추구하는 일부 기업의 위험하고 불법적 행위는 때로 사회적 문제를 야기했다. 미국 화학기업 듀폰은 1931년 ‘기적의 냉매’라...
-
경제 기타
일주일여 남은 미국 대선…트럼프 vs 바이든, 누가 웃을까?
다음달 3일 치러지는 미국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현직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다. 지난 19일 트럼프 대통령(왼쪽)은 ‘공화당 텃밭’인 애리조나주 투손에 있는 투손 국제공항에서 유세를 벌였다. 바이든 후보가 같은 날 CBS 시사프로그램 ‘60분’과 인터뷰를 하기 위해 델라웨어주 윌밍턴에 있는 극장 ‘퀸 시어터’로 들어가며 취재진에게 ...
-
역사 기타
로마의 무상복지 정책은 왜 실패했을까
리들리 스콧 감독이 2000년 제작한 영화 <글래디에이터>에 등장하는 로마제국의 17대 코모두스 황제는 실존 인물이고, 막시무스 장군은 실제 인물을 토대로 한 가공 인물이다. 코모두스는 오현제(五賢帝)의 마지막 황제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아들로, 부친이 황제일 때 태어나 다음 황제가 된 최초 인물이다. 그전까지는 주로 조카, 양자, 부하 등이 황위를 이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명상록》을 쓴 스토아학파(금욕주의)의 철학자이기도 해서 ...
-
숫자로 읽는 세상
내년부터 내국인 감소…'경제 충격' 본격화
‘2021년 내국인 감소 시작 → 2024년 국내 이주 외국인 비중 5% →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 → 2029년 총인구 감소 시작’. 앞으로 10년간 우리나라에서 벌어질 인구 구조 변화다. 인구 절벽에 따른 경제 활력 저하는 물론 외국인 증가로 사회 갈등이 커지는 것에 대한 대비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다. 통계청은 2040년까지 인구 구조 변화를 담은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
-
숫자로 읽는 세상
OTT 앞세운 디즈니, 넷플릭스와 정면승부
세계 최대 엔터테인먼트 기업 월트디즈니가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를 중심으로 사업을 대대적으로 재편하고 나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콘텐츠 소비의 축이 스트리밍 시장으로 넘어가자 타깃을 영화관에서 ‘집콕족’으로 옮기며 ‘콘텐츠 제국’의 틀을 다시 짜고 있다. OTT 1위인 넷플릭스를 정조준한 것이기도 하다. 세계적 극장가인 뉴욕 브로드웨이는 코로나19 여파로 &...
-
숫자로 읽는 세상
코로나 집콕族 노린 보이스피싱 기승…모바일 악성 앱 급증
코로나19 확산을 틈타 보이스피싱과 스미싱 사기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한국경제신문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을 통해 확인한 결과 올 1~8월 스미싱 탐지 건수는 70만783건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 6월까지 2년6개월 새 18개 시중은행 계좌에서 보이스피싱으로 빠져나간 금액은 1조원을 넘어섰다. 기업 내부 업무자료를 빼낸 뒤 이를 볼모로 잡아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도 극성을 부리고 있다. 보안업계에 따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