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으로 보는 세상
코로나 이후 2년 만에 풀린 '특별여행주의보'
정부가 지난 14일 코로나19 확산 이후 2년여 만에 특별여행주의보를 해제했다. 이에 따라 싱가포르, 캐나다 등 22개 나라와 괌, 사이판 등 2개 지역은 여행경보 1단계로 하향 조정되며 미국 본토, 영국, 독일 등 129개 나라는 여행경보 2단계로 조정된다. 14일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에서 탑승객들이 출국 수속을 밟고 있다. 연합뉴스
-
과학과 놀자
천동설을 무너뜨린 밝은 별, 금성
과천과학관과 함께 하는 과학 이야기 (8) 부지런한 사람이라면 요즘 새벽 동쪽 하늘에서 아주 밝은 별 하나를 볼 수 있다. 금성이다. ‘샛별’이라고도 불리는 금성은 태양에 가까워 달을 빼면 가장 밝게 보이는 천체다. 한창 밝을 때의 금성은 1등급 별보다 100배 가까이 밝아 별(행성)이 아닌 UFO나 비행기, 인공위성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하늘에 금성이 떠 있다면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다른 별보다 월등히 밝기 때문이...
-
커버스토리
잘사는 나라에는 '선택할 자유'가 있다
《선택할 자유(free to choose)》라는 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경제 서적을 잘 읽지 않는 한국 독서계에서 매우 이례적인 ‘사건’이죠. 《선택할 자유》는 1976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1912~2006)이 펴낸 책이랍니다. 40년도 더 된 책이죠. 《선택할 자유》가 왜 뒤늦게 필독서 목록에 오른 걸까요? 윤석열 당선인이 지난 대통령선거 때 이 책을 읽고 자유시장경제 신봉자가 됐다고 말...
-
커버스토리
정부가 간섭할수록 경제는 망가져요 자유시장경제가 '부자 나라' 만든다
만약에 어떤 상점 주인이 고객에게 다른 상점보다 질이 좋지 않고 값이 비싼 상품을 판매한다면 고객들은 그 상점을 이용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동시에 그 상점 주인이 고객의 욕구를 충족지 못하는 상품을 판매한다면 고객은 그 상품들을 구입할 리 없을 것이다. 따라서 상인들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채워줄 수 있고 그들에게 환심을 살 수 있는 상품을 준비해서 거래하기 마련이다. 소비자가 어떤 상점에 들어갔을 때, 물건을 사야 한다고 강요...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민족 간 충돌·구성원 간 갈등이 판치는 시대…단군신화는 조화·합일 통한 상생 사상 추구
일연은 《삼국유사》 첫머리에 ‘고조선(왕검조선)’ 조항을 세 부분으로 구성해 기록했다. 1부와 3부는 역사 서술의 형태고, 2부는 ‘석유환인(또는 석유환국) 호왈 단군왕검’인데, 24개의 신화소를 이용해 치밀하게 논리를 구성했다. 필자는 이 신화에 담긴 논리와 사상을 분석해서 세 가지로 정리했다. 첫째, 천손의 후손이면서 농경문화를 선택한 집단이라는 자의식을 선언했다. 원조선의 성립과 우리 문화의 근...
-
시네마노믹스
근로시간 못채워 주거 보조금 수령 실패…엄마 헬리, 결국 딸 위해 도둑질까지
“이번주 방세 아직 못 받았어요.” “몰라서 안 줬겠어요?” 또 방세가 밀린 엄마 헬리는 초조해진다. 주거 보조금을 받기 위해 복지센터를 찾지만 필요한 근로시간을 채우지 못했다며 거절당한다. “헬리, 미안하지만 보조금 못 줘요. 제발 주 30시간 이상 일하는 직장을 찾아봐요.” 빈곤 완화정책의 대표적 부작용 중 하나는 수혜자의 근로 의욕을 꺾는다는 것이다. 예컨대 최저생활 수준을...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봄 맞은 대학 캠퍼스
완연한 봄 날씨가 이어진 7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학생들이 벚꽃을 촬영하며 봄을 만끽하고 있다. 뉴스1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소금상인들이 화가 후원…학문과 예술의 전성시대 열려
정치·경제적 측면에서 모두 청나라의 전성기라고 하는 건륭제 시대, 당시 장쑤성(江蘇省)의 상업도시 양저우에는 상인문화가 가미된 독특한 도시문화가 형성됐다. 양저우는 신사와 문인들에게 생계수단을 모색하고 문화·사교계에서 지위 상승을 도모하기에 적합한 도시로 인식됐다. 융성하던 고증학의 대가들이 양저우를 중심으로 활동하거나 배출됐고, 이를 기반으로 ‘양주학파’가 형성됐다. 사대부가 아니더라도 학문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