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박희성의 맛깔난 잉글리시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 - 이 세상에 각도가 없었다면… 백억대 부자인 김주연 여사가 금고에 돈을 넣기 위해 금고의 다이얼을 돌리고 있다. 김주연 여사 : '일단 오른쪽으로 5/16바퀴 돌리고, 이번엔 왼쪽으로 3/32바퀴 돌….' 금고 : 삐이익~! 다이얼이 너무 많이 돌아갔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해주시기 바랍니다. 김주연 여사 : '에구구, 다시~! 먼저 오른쪽으로 5/16바퀴 돌리고, 왼쪽으로 3/32바퀴, 다시 오른쪽으로 7/4...

  • 학습 길잡이 기타

    Smart한 논술의 법칙 <39> 제시문 간의 관계를 찾아야 답이 보인다

    ▧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수시 2차도 이제 막바지에 접어들었습니다. 11월10~11일 이틀간 성균관대, 서강대, 중앙대, 경희대, 숭실대, 단국대 논술이 끝났고 11월17~18일 고려대, 한양대, 한국외대, 숙명여대, 아주대, 광운대, 인하대, 경기대의 논술시험이 진행 됐습니다. 이제 이번 주말에 있을 국민대와 서울여대 논술을 끝으로 2013학년도 수시 논술시험은 모두 끝이 납니다. 아직 국민대와 서울여대 논술을 치러야 하는 학생들은 논마무...

  • 학습 길잡이 기타

    수시대비 유형익히기 : 국민대 · 서울여대

    ▨ 국민대 국민대는 유형이 정해져 있지 않은 대학입니다. 작년에 출제된 4개의 문제에서 발견되는 공통 유형이라고는 두 개뿐입니다. 제시문에 대해 특별한 관계를 언급하지 않고 모아서 글을 쓰게 하는 유형이 하나 있었고, 또 하나는 유일무이한 그래프 그리기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대비하기가 더 쉽지 않은 대학입니다. 뽑는 인원은 341명이고, 현재 경쟁률은 60.81 대 1입니다. 작년에는 200 대 1을 돌파했으니, 그에 비해 많이 줄었습니다...

  • 학습 길잡이 기타

    <176> 고려대학교 2012학년도 수시기출 분석

    최준원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vach2357@gmail.com

  • 학습 길잡이 기타

    <77> 나는 화살

    옛글자 현재글자 이어공부하기 고사성어 -효시(嚆矢) : 1. 우는살. 2. 어떤 사물이나 현상이 시작되어 나온 맨 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의 <재유편(在宥篇)>에 나오는 말로, 전쟁을 시작할 때 우는살을 먼저 쏘았다는 데에서 유래했다. - 이발지시(已發之矢): 이미 쏘아 놓은 화살이라는 뜻으로, 이왕에 시작한 일이라 중도에 그만두기 어려운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어공부하기 한자어 -유시(流矢):...

  • 학습 길잡이 기타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박희성의 맛깔난 잉글리시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 - 10원은 어디 갔을까? '햄버거, 오늘만 한 개에 970원~!!' 모처럼 버거왕에서 햄버거세일을 하는 것을 알게 된 정화는 친구 승미와 목련이에게 500원씩을 빌려 햄버거를 산 후 거스름돈 30원을 승미와 목련이에게 각각 10원씩 주고, 남은 10원은 둘로 나눌 수가 없어서 자신이 가졌다. 그런데 이렇게 햄버거를 사서 맛있게 먹고 있던 정화에게 갑자기 이상한 생각이 들었다. '일단 승미와 목련이에게 10원씩 ...

  • 학습 길잡이 기타

    Smart한 논술의 법칙 <38> 논술은 생각보다 단순하게 출제되지 않는다!

    ▧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수능이 끝났습니다. 시험을 치른 모든 수험생들, 고생이 많았습니다. 모두 원하는 결과를 얻었으면 좋겠습니다. 수능으로 고생한 수험생들에게 마지막 남은 과제는 수시 2차 논술 시험일 것입니다. 이미 성균관대, 서강대, 중앙대, 경희대, 숭실대, 단국대 논술이 끝이 났고 이번 주말에는 고려대, 한양대, 한국외대, 숙명여대, 아주대, 광운대, 인하대, 경기대 시험이 남아 있습니다. 모두 논술 대비와 마무리를 잘 하시길 바...

  • 학습 길잡이 기타

    수시대비 유형익히기 : 한양대·한국외대

    ■ 한양대 (인문/사회) 한양대(인문/사회계열)가 현재 가지고 있는 문제조건인 <조건이 달린 변증법 문제> 유형은 이미 오래 전부터 시도되었습니다. 물론 그때는 지금처럼 한 문제가 아니라 두 문제였기 때문에 비교를 기반으로 한 비판-설명 문제도 있었지요. 하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똑같은 점은 일정한 수준의 독해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입니다. 현재의 유형은 2012년 모의인 <지도자> 문제부터 지금의 1문제 1400자 문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