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두 점 사이의 거리 거리란 어떤 사물들이 서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한 점에서 다른 한 점으로 이동하는 데 움직인 경로 길이의 최솟값을 두 점 사이의 거리라고 약속하자.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때 좌표를 이용하면 매우 편리하다. 1. 직교좌표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 - 피타고라스 정리 이용 좌표평면 위의 두 점 P(x₁,y₁), Q(x₂,y₂)가 주어져 있을 때 삼각형...

  • 학습 길잡이 기타

    (52) 내가 떳떳하면 천만 명도 두렵지 않아요 - 맹자

    * 縮(축) 오그라들다, 바르다, 곧다 『맹자』 ‘공손추상’에 실려 있는 글로, “스스로 돌이켜서 정직하지 못하면 비록 가난하고 천한 사람이라도 내 두려워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스스로 돌이켜서 정직하다면 비록 천만 명이라도 내가 가서 대적할 수 있다”의 일부에요. 사람들은 싸우기 전에 상대할 사람의 수가 많고 적음을 살피고, 지위가 높고 낮음을 살피고, 재력이 있는지 없는지를 살펴요. 그런데 먼저...

  • 진학 길잡이 기타

    "우수 교육시스템으로 실전에 강한 인재 양성"

    김정호 입학처장에게 듣는다 김정호 입학처장(정치외교학과 교수·사진)은 “인풋보다 아웃풋이 더 좋은 대학인 인하대에서는 자신을 업그레이드할 인재들의 도전을 기다린다”고 말했다. “전년도에 학과제로 전환하며 기존 학부제의 장점을 흡수한 교육 커리큘럼, 융·복합교육과 산학협력의 활성화, 취업에 특화된 상담 프로그램, 전과·복수전공, 비교적 자유로운 학사제도 등은 모두 &lsquo...

  • 학습 길잡이 기타

    홍상수의 맛있는 과학논술 (12) 쌍극자 모멘트

    홍상수 < S·논술 자연계 논술강사 immanuel78@gmail.com

  • 학습 길잡이 기타

    <35> 논술 유형탐구 (8) - 자기 의견 쓰기 (1)

    이제 중급 수준은 끝나게 되는군요. 이 지점만 지나면 이제 본격적으로 ‘답맞히기 게임’이 펼쳐집니다. 어떻게 해야 정답률을 높일 수 있는가에 대해 고민할 때이지요. 그러므로 문제 유형도 답이 딱딱 떨어지는 유형들만 남게 됩니다. (설마 논술에 정확한 답이 있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은 아니겠지요? 이 게임이란 결국 합격자와 불합격자를 가려내기 위한 게임이랍니다.) 그렇다면 오늘 배울 <자기 의견 쓰기-변증법 유형>은...

  • 학습 길잡이 기타

    교육대학 면접· 자기소개서 <3>

    Ⅰ. 들어가며 면접이란 무엇일까? 그 답은 ‘百聞不如一見(백번 듣는 것보다 한번 보는 것이 더욱 낫다), 스스로를 증명하라’이다. 특히, 교육대학교 면접은 더욱 그러하다. 이는 한서(漢書)에 나오는 것으로, 한(漢)나라의 조충국(趙充國) 장군이 흉노(匈奴)와의 싸움에서 한 말이다. 전쟁에서 전략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그 결과는 사람의 목숨 및 나라의 존망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략을 세울 때 전령의 몇 마디...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잘못 사용하면 위험한 '수학적 귀납법' 어떤 명제가 모든 자연수에 대해 성립함을 설명하는 데 수학적 귀납법이 아주 유용하다. 무한개의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 먼저 ‘첫 번째 명제가 참임을 증명하고 그 다음에는 명제들 중에서 어떤 하나가 참이면 그 다음 명제도 참임을 증명하는 방법으로 이뤄진다. 이를 좀 더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Ρ(n)은 정수 n에 대해 정...

  • 학습 길잡이 기타

    (51) 옳으면 옳다 말하고, 그르면 그르다 말하는 것을 '곧다'라고 하다 - 순자

    『순자』 ‘수신편’에 실려 있는 글로, “옳은 것을 옳다 하고 그른 것을 그르다 하는 것을 ‘지혜롭다’라고 하고, 옳은 것을 그르다 하고 그른 것을 옳다하는 것을 ‘어리석다’라고 한다. (중략) 옳으면 옳다 말하고, 그르면 그르다 말하는 것을 ‘곧다’라고 하며, 재물을 훔치는 것을 ‘도둑’이라고 하고, 행동을 숨기는 것을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