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기업하기 좋은 나라 만드는데 집중해달라"

    경제계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한목소리로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들이 과감하게 투자에 나서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한국 경제가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당부다.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불안정한 국제 정세, 저성장 고착화 우려 확대 등 위기 요인이 많지만 차기 정부가 어떤 정책을 펼치느냐에 따라 이를 오히려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게 ...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국가부도' 위기에 처한 나라들 세금 더 걷자 주민들 대탈주…경제 상황은 더 나빠졌죠

    스페인은 1556~1696년 사이에 14차례에 걸쳐 채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행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1557년 카를 5세는 바야돌리드 칙령을 통해서 장기 국채인 후로스의 금리를 5%로 동결했다. 그런데도 1562년 스페인 왕실은 1년 예산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143만 두카트를 국가부채의 이자를 갚는 데 써야만 했다. 스페인 정부는 오늘날 미국 정부가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 전략으로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미국 중앙은행이 장기 국...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대막을 장식하다"…규범과 일탈의 줄타기

    “올 가을에는 유럽의 명문악단으로 꼽히는 영국 런던심포니오케스트라가 한국에서 열리는 ‘월드클래스 콘서트 시리즈’의 대막을 장식한다.” “KGC인삼공사가 DB와 접전 끝에 1점 차 승리를 거두며 2021년 프로농구 대막을 장식했다.” 대중매체의 보도언어는 늘 ‘규범’ 준수와 ‘일탈’의 유혹 사이에서 줄타기를 한다. 규범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납세 의무' 강조 속에 부각되는 '납세자 권리', 무엇이 우선인가

    민주 사회에서 권리와 의무는 보통 함께 간다. 참정권, 선거권이 대표적이다. 동전의 양면 같지만 그래도 100%의 완전 등가적 가치는 아니다. 투표는 일종의 국민적 의무지만, 본질은 권리에 더 가깝다. 역시 ‘4대 국민 의무’ 가운데 하나인 국방(병역) 의무도 ‘입대할 권리’와 나란히 비교하기 어렵다. ‘교육을 받을 권리’도 ‘(학교에 가야 할) 교육의 의무’...

  • 생글기자

    힘있는 나라만이 평화를 지킬 수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다. 세계 곳곳에서 러시아에 비판적인 여론이 형성되고 있고, 심지어 러시아에서도 반전 시위가 일어났다고 한다. 미국을 포함한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에 경제 제재를 하는 등 압력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발생한 전쟁으로 무고한 사람들이 목숨을 잃고 삶의 터전을 버리고 피란길에 올라야 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 유럽의 중심부에 있는 우크라이나는 옛날부터 서유럽...

  • 과학과 놀자

    나와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이 좋아한 콘텐츠, OTT 서비스 업체가 나에게도 추천해주죠

    코로나 덕분에 급성장한 회사가 있다. 전 세계 OTT(Over-the-top)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넷플릭스다. 닐슨코리아가 발간한 ‘2020년 하반기 미디어 리포트’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코로나 영향 속에서도 순이용자수가 64.2% 늘었다. 한국수출입은행 보고서 역시 넷플릭스뿐 아니라 왓챠, 웨이브, 티빙과 같은 국내 OTT 서비스도 2012년 이후 연평균 28%의 고속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고 밝혔다. 바야흐로 대OTT 시...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웹소설 작가로 생존 꿀팁 가득…나도 도전해볼까

    일반소설의 매출이 점점 줄어들고 있지만 웹소설은 팽창을 거듭하는 중이다. 웹소설을 드라마로 만든 ‘구르미 그린 달빛’(KBS) ‘김비서가 왜 그럴까’(tvN)를 비롯한 여러 편이 공전의 히트를 쳤고, 현재 SBS에서 인기리에 방영 중인 ‘사내 맞선’의 원작도 웹소설이다. 2013년에 100억원이었던 웹소설 매출은 2018년에 4000억원으로 40배 상승했다. 2020년의 시장 규...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루이스 전환점

    [문제]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은 경제 발전 초기 농촌의 값싼 인력이 도시로 진출하면서 제조업이 발전을 거듭하지만, 점차 값싼 인력 공급이 어려워지면서 임금이 오르고 성장도 둔화되는 시점을 맞게 된다. 이를 가리키는 용어는? ① J-커브 효과 ② 루이스 전환점 ③ 전략적 변곡점 ④ 따라잡기 효과 ⑤ 외부효과의 내부화 [해설] 루이스 전환점(Lewisian turning point)은 개발도상국이 산업화 초기에 농촌의 값싼 인력이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