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테샛 공부합시다

    점점 커지는 공공부문…바람직한 방향은?

    대통령선거 이후 주목받고 있는 회동이 있습니다. 대통령 당선인과 6개 경제단체장이 만났습니다. 당선인은 이 자리에서 “기업이 더 자유롭게 판단하고 투자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제도적 방해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정부가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경제단체장들도 규제로 기업 활동이 제약받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죠. 실제로 최근 5년간 정부의 예산 규모, 공무원 수, 규제 입법 건수가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발생...

  • 숫자로 읽는 세상

    러 원유 수출 8개월새 최저…우크라 침공 후 40% ↓

    러시아의 원유 수출량이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러시아 원유 수요가 시장에서 자취를 감췄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원자재정보업체 케플러 자료를 인용해 러시아 원유 수출량(해상 기준)이 지난주(3월 21~27일) 하루 213만9000배럴에 그쳤다고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최근 8개월 동안 가장 적은 양이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군사력을 투입한 주(2월 21~27일·하루 34...

  • 디지털 이코노미

    빅테크의 불공정 논란, 데이터 격차서 비롯

    알고리즘 공개에 대한 요구가 거세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적극적인 규제 움직임마저 나타난다. 유럽연합(EU)은 플랫폼 기업이 알고리즘을 활용해 자사 서비스를 우대하지 못하도록 디지털시장법 및 디지털서비스법을 마련 중이며 미국 하원에서도 플랫폼에 대한 반독점 법안 5개가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했다. 모두 불공정 경쟁의 중심에 알고리즘이 있다는 관점이다. 알고리즘 공개로 불공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해도 시장을 경쟁 상태로 되돌리는 것은 다른 이야...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전쟁·금융위기로 경제 불확실성 커지면…손실 위험 적은 '안전자산' 금 수요 늘죠

    여러분은 용돈을 어떻게 모으고 있나요? 서랍 속 저금통에 넣어두거나 은행 예·적금에 예치하거나 삼성전자 주식을 사거나. 방법은 다양합니다. 현금, 부동산, 주식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재산을 ‘자산’이라고 부릅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을 버는 것뿐만 아니라 자산을 불리는 것도 중요합니다. 주식 투자를 한다는 것은 원금을 모두 잃을 수도 있음에 동의하는 겁니다. 기대 수익률이 높은 만...

  • 생글기자

    동해안 산불 피해 키운 고온건조한 바람 '양간지풍'

    지난달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일대에서 큰 산불이 발생해 막대한 피해를 남겼다. 당시 산불은 무려 열흘 가까이 지속돼 2만5000㏊에 달하는 산림을 태웠다. 서울시 면적의 40%가 넘는 큰 규모다. 직간접적인 재산상 피해도 수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주민 7000여 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일었다. 동해안 산불이 여느 산불보다 더욱 빠르게 번지면서 큰 피해를 준 원인은 무엇일까. 크게 두 가지를 들 ...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꾸준함의 심리학…끝까지 하면 길이 보인다

    미지의 세계를 잘 헤쳐나가고 싶은데 누군가가 현명하게 안내해주면 좋겠다. 그런 바람을 가진 사람에게 《지치지 않는 힘》은 멋진 길을 안내하는 책이다. 독서를 즐기는 사람이라면 20여 권의 책을 낸 밀리언셀러 작가 이민규 교수를 모를 리 없다. 100만 권 넘게 팔린 《끌리는 사람은 1%가 다르다》 외에 여러 권이 베스트셀러에 올랐는데, 《지치지 않는 힘》을 선택한 이유는 저자의 마음을 듬뿍 담은 인생 이정표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저자는 201...

  • 대학 생글이 통신

    전공적합성에 매달리기보다 학교생활을 충실하게

    수시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학생부 종합전형에서는 전공 적합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자신의 진로를 확실히 정하고 그에 맞는 활동으로 생활기록부를 채워나가야 한다”는 말은 한 번쯤 들어봤을 것입니다. 저는 이 부분에 대해 고민이 많았습니다. 꿈이 확실하고, 생활기록부만 읽어봐도 자신이 희망하는 전공에 대한 사랑이 느껴지는 친구들을 보면서 열등감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대학교 입시를 마친 지금 시점에서 생각해보면 불필요한 고...

  • 시사 이슈 찬반토론

    佛 국민배우가 선택한 안락사, 국내서도 허용될 수 있나

    유명한 프랑스 국민 배우 알랭 들롱이 최근 국내에서도 다시 뉴스메이커가 됐다. 이번엔 영화나 문화 얘기가 아니다. 인간 최후의 단계, 죽음에 대한 그의 선택이 그를 기억하는 옛 팬들에게 전해진 메시지였다. ‘세기의 미남’이라는 들롱이 안락사를 결심했다는 것이다. 프랑스와 스위스 이중 국적자인 그는 현재 스위스에서 노년을 보내고 있다. 1935년생인 그는 자신이 세상을 떠날 순간을 결정하면 임종을 지켜봐달라고 아들에게 부탁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