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금융 상식 퀴즈
5월 9일 (753)
1.수도는 타이베이며, 아시아의 가장 오래된 공화국이자 파운드리 시장 1위 업체 TSMC 등을 보유한 ‘반도체 강국’이기도 한 나라는? ①태국 ②대만 ③싱가포르 ④필리핀 2.주가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될 때 현재 주식가격이 매입 당시보다 낮더라도 추가 손실을 막기 위해 주식을 팔아버리는 것은? ①공매도 ②환차손 ③손절매 ④셧다운 3.경제학의 세분화된 여러 분야 가운데 수학과 통계 기법을 활용해 경제이론을 실증적으...
-
키워드 시사경제
한국은 3년, 중국도 13년 뒤엔 노인 인구 20% 넘어
일본 도쿄에 있는 후추형무소는 지난해 5월부터 징역형을 받은 수감자가 의무적으로 하는 노역을 ‘기능향상작업’으로 일부 대체했다. 말이 노역이지 실질적으론 재활훈련에 가깝다. 사이클 기계에서 페달을 밟거나 보자기 공을 던지는 등 신체·인지능력을 끌어올리는 운동이 대부분이다. 3년 뒤부터 일본의 모든 수감자는 강제노역 대신 이런 재활훈련을 받게 된다. 감옥 안에서조차 고령화가 너무 심각해지고 있어서다. 수감자 네 ...
-
대학 생글이 통신
학교 수업 시간 100% 활용하는 방법
학교 수업시간에 집중해야 한다는 말은 많이 들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수시 전형에 주력하는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집중하고, 수업 내용을 복습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학교 내신 시험은 해당 과목 선생님께서 다루는 범위, 중요하다고 말씀하는 부분에서 출제되기 때문입니다. 대학에서 주요하게 평가하는 학생의 자질 중 하나가 학습 능력과 심화 탐구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학교 수업시간에 다뤘던 부분에 관심을 가지고, 진학하고자 하는 전공 또는 ...
-
과학과 놀자
구부러지는 스마트폰 화면 가능케 하는 신기한 플라스틱, 전도성 고분자
과천과학관과 함께 하는 과학 이야기 (11)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각종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플라스틱으로 덮여 있는 것도 전기가 밖으로 흐르는 것을 막아 주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상식과 달리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이 있다. ‘전도성 고분자’라는 물질이다. 전도성 고분자에 관한 이야기는 약 50년 전인 197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 도쿄공대의 시라카와 히데키 교수 연...
-
TESAT 공부하기 기타
'두 얼굴의 환율'…오르면 수출 늘지만, 인플레 우려도 커져
“6㎏ 무게인 엽전 6000개가 현재 환율로 1달러에 해당한다. 수백달러짜리 물건을 사려면 짐꾼들을 고용해 돈을 실어 날라야 한다.” 19세기 말 오스트리아인 에른스트 폰 헤세 바르텍은 조선을 여행한 뒤 쓴 《조선, 1894년 여름》에서 당시 사회경제상을 이렇게 남겼다. 엽전 6000개 가치가 겨우 1달러. 조선 말기의 경제가 엉망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오늘날 원화의 가치는 120여 년 전 엽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
-
위인들도 어렸을 땐 '말썽꾸러기'
초·중학생 경제논술신문 ‘주니어 생글생글’은 제11호 커버스토리로 ‘오늘의 주인공은 바로 나!’를 실었다. 어린이날(5월 5일)을 맞아 위인 7명의 어린 시절을 살펴보면서, 위대한 인물들도 한때는 평범하거나 혹은 말썽꾸러기였던 어린 시절이 있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집을 빌려주는 플랫폼을 만들어 여행·숙박업계에 혁신을 일으킨 세 명의 ...
-
민간주도 성장 vs 정부주도 성장
중·고교생 경제논술신문 ‘생글생글’은 ‘한 나라의 경제가 성장하는 길’을 제752호 커버스토리로 다뤘다. 이창용 신임 한국은행 총재가 취임사에서 민간이 주도하는 경제 성장을 강조한 이유를 좀 더 깊게 조명했다. 세상에는 민간 주도 성장과 정부 주도 성장이라는 두 개의 ‘충돌하는 비전’이 있다는 점을 먼저 소개하고, 이 중 민간 주도가 삶의 질을 높이고 번영을 더 많이 ...
-
생글 학습·진로 기타
환율
[문제1] 환율을 잘못 설명한 것을 고르시오. (1)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재 가격은 하락하고 수입재 가격은 상승한다. (2) 구매력평가설은 균형환율이 각 국가의 물가 수준 차이에서 결정된다고 본다. (3) 이자율평가설은 국가 간 자본이동이 자유로운 상황에서 이자율 격차에 의해 장기 균형환율이 결정된다는 견해다. (4) 단기 균형환율의 변동폭이 장기 균형환율의 변동폭보다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가격 변수가 단기에 경직적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