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곡식 싹을 뽑아올린다는 뜻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일을 더 부추김 -장자

    ▶ 한자풀이助  도울 조長  긴 장맹자가 제자 공손추에게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설명하면서 송나라 농부 얘기를 들려줬다. 송나라의 한 농부가 자기가 심은 곡식의 싹이 이웃집 곡식보다 빨리 자라지 않음을 안타깝게 여겨 그 싹들을 일일이 뽑아올렸다. 그가 집으로 돌아와 말했다. “오늘은 피곤하다. 싹 올라오는 게 더뎌 하나하나 빨리 자라도록 도와줬다.” 아들이 놀라 이튿날 밭으로 달려가 보니 싹들은 이미 말라죽어 있었다.맹자가 농부 이야기 말미에 한마디 덧붙였다. “호연지기를 억지로 조장하는 것은 싹을 뽑아 올려주는 것과 같다. 조장하면 무익할 뿐 아니라 해까지 끼친다.” 때를 기다리지 못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일을 더 심해지도록 부추긴다는 뜻의 조장(助長)은 《장자》 공손추편이 출처다.무르익기를 기다리지 못하는 조급증이 어디 송나라 농부만의 증상이겠는가. 황금알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른 농부, 우물가에서 숭늉 찾는 나그네, 부팅 몇 초 늦다고 모니터 노려보는 사람들…. 모두 조급증 환자다. 씨앗의 법칙은 단순하다. 씨앗을 심어야 싹이 트고, 싹이 자라야 꽃을 피우고, 꽃이 져야 열매를 맺는다. 열매 늦게 맺는다고 꽃을 흔들어 지게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만물은 익혀야 한다. 와인은 익혀야 명품이 되고, 자식도 익혀야 제구실을 한다. 익힌다는 건 때를 아는 지혜, 참고 견디는 인내, 더 나아질 거라는 희망이다.조금 더 여유로워지자. 조금 더 기다리자. 몇 초에 안달하지 말고, 몇 년에 한숨짓지 말자. 오늘 작은 상처가 내일 큰 병을 막아준다. 중턱을 밟지 않고 정상에 오르는 길은 없다. 알이 클수록 오래 품어야 한다. 그래야 생명이 태어난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제 분수를 잊고 남을 흉내내다 이것저것 다 잃음을 비유하는 말 -장자-

    ▶ 한자풀이邯  조나라 서울 한鄲  조나라 서울 단之  갈 지步  걸음 보전국시대 조나라 사상가 공손룡(公孫龍)은 언변이 뛰어났다. 자신을 천하제일의 논객으로 자처한 그에게 장자는 눈엣가시였다. 사람들의 입에 장자가 오르내리는 게 영 불편했다. 어느 날 위나라 공자 모(牟)를 찾아가 속마음을 털어놨다.모가 우물 안 개구리 등의 비유로 그를 나무란 뒤 얘기 하나를 들려줬다. “자네는 조나라 수도 한단(邯鄲)에서 그곳 걸음걸이를 배우려던 시골 사람 얘기를 들어봤는가. 한단 걸음걸이를 채 익히기도 전에 고향 걸음걸이를 잊어버려 기어서 고향으로 돌아왔다는 얘기 말일세. 자네가 이곳을 바로 떠나지 않으면 장자의 큰 지혜도 배우지 못하고 자네의 지혜마저 잊어버릴 걸세.” 공손룡은 모의 말을 듣고 황급히 조나라로 돌아왔다. 《장자》 추수편에 나오는 얘기다.한단의 걸음걸이, 한단지보(邯鄲之步)는 자신의 분수를 잊고 남만 따라하는 어리석음을 뜻한다.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 가랑이 찢어진다’는 우리 속담과 뜻이 같다. “들보로 성벽을 부수지만 구멍을 막을 수는 없다. 크기가 다른 까닭이다. 천리마는 하루 천길을 달리지만 쥐를 잡는 데는 고양이만 못하다. 재주가 다른 까닭이다.” 역시 추수편에 나오는 이 구절은 ‘닮지 말고 너로 살라’는 장자의 철학을 고스란히 담는다.고대 로마 철학자 세네카는 “분주한 사람들은 하나같이 처지가 딱하다. 그중 남의 걸음걸이에 자기 보조를 맞추는 자의 처지가 가장 딱하다”고 했다. 미국의 재즈피아노 연주자 델로니어스 몽크는 “천재는 가장 자기 자신다운 사람”이라고 했다. 천재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힘든 일도 노력과 끈기로 이뤄낸다는 의미 -당서-

    ▶ 한자풀이磨  갈 마斧  도끼 부爲  할 위針  바늘 침중국의 시선(詩仙) 이백(李白)도 ‘타고난 시인’은 아니었다. 그도 여느 아이들처럼 배움보다 노는 데 마음을 뒀다. 보다 못한 아버지가 이백을 상의산으로 보내 공부를 시켰다. ‘산중 과외선생’을 붙여준 것이다. 얼마 되지 않아 싫증이 난 이백은 공부를 포기하고 산을 내려가기로 했다. 하산 도중 산 입구 물가에서 도끼 가는 노파를 만났는데, 가는 모양새가 이상했다.이백이 물었다. “도끼날을 세우려면 날 쪽만 갈아야지 왜 이렇게 전부를 가는 겁니까.” 노파가 답했다. “이렇게 다 갈아야 바늘을 만들지.” 엉뚱하다 싶어 이백이 웃었지만 노파는 진지했다. “이리 갈다 보면 도끼도 언젠가는 바늘이 되겠지. 시간이 걸려도 포기하지만 않는다면.” 노파의 말이 이백 가슴에 꽂혔다. 그는 발걸음을 돌려 다시 산에 들어가 배움에 정진했다. 중국 당나라 역사책 《당서(唐書)》에 나오는 얘기다.마부위침(磨斧爲針),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아무리 힘든 일도 노력하고 버티면 결국은 이룰 수 있다는 의미다. 마부작침(磨斧作針)으로 바꿔 쓰기도 한다. 《시경》에 나오는 시 구절 절차탁마(切嗟琢磨·자르고 쓸고 쪼고 간다)도 뜻이 같다. 시는 학문과 인격을 끊임없이 갈고닦아야 비로소 군자에 가까워진다고 깨우친다.세상에 ‘타고난 천재’로 성공하는 사람은 의외로 적다. 성공한 사람의 99%는 남달리 노력한 자다. 처음에 앞서가다 ‘노력하는 자’에게 밀린 천재들은 역사에 무수하다. 세상에 노력만 한 재능은 없고, 인내만 한 용기는 없다. 세상 이치는 단순하다. ‘안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불가능해 보이는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이뤄진다 -열자

    ▶한자풀이愚  어리석을 우公  공평할 공移  옮길 이山  메 산먼 옛날 중국의 한 작은 마을에 우공(愚公)이라는 90세 노인이 살았다. 한데 사방 700리에 높이가 만 길이나 되는 두 산이 집 앞뒤를 가로막아 왕래가 너무 불편했다. 우공이 어느 날 가족을 모아 놓고 물었다. “나는 태행산과 왕옥산을 깎아 없애고, 예주와 한수 남쪽까지 곧장 길을 내고 싶다.”이튿날 새벽부터 우공은 산을 깎아내기 시작했다. 세 아들과 손자를 데리고 돌을 깨고 흙을 파서 삼태기로 발해에 갖다 버렸다. 한 번 버리고 오는 데 꼬박 1년이 걸렸다. 주변에서 사람들이 비웃었지만 우공은 태연했다. “내가 죽으면 아들이 하고, 아들은 또 손자를 낳고, 손자는 또 아들을 낳고, 그 아들은 또 아들을 낳겠지요. 산은 그대로이니 언젠가는 두 산이 평평해지겠지요.”우공의 얘기를 전해들은 옥황상제는 그 뜻에 감동해 명했다. “두 산을 업어 태행산은 삭동 땅에, 왕옥산은 옹남 땅에 옮겨놔라.” 우공 집을 가로막은 두 산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고, 지금은 작은 언덕조차 없다고 한다. 《열자》 탕문편에 나오는 얘기다. 우공이산(愚公移山). 90세 노인이 믿음 하나로 태산을 옮겼다는 뜻으로, 큰일도 믿음이 굳으면 반드시 이뤄진다는 의미다.세상에 단박에 이뤄지는 것은 없다. 태산은 티끌이 쌓이고 쌓여 저리 높아졌고, 바다는 물 한 방물이 모이고 모여 저리 깊어졌다. 낮다고 버리면 높아지기 어렵고, 작다고 버리면 커지기 어렵다. 큰 꿈을 꾸려면 작은 실천에 마음을 쏟고, 먼 미래를 내다보려면 오늘에 충실해야 한다. 믿음에는 묘한 힘이 있다. 그 힘은 생각보다 훨씬 세다. 믿음은 세상 최고의 우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본받을 만한 좋은 전례는 언제나 가까이에 있다는 뜻 - 시경

    ▶한자풀이殷  은나라 은鑑  거울 감不  아닐 불遠  멀 원폭군의 공통점은 술과 여자다. 걸왕은 고대 중국 하(夏)·은(殷)·주(周) 세 왕조 중 하왕조의 마지막 왕이다. 그는 원래 지용(智勇)을 겸비한 왕자였다. 한데 왕이 되어 유시씨(有施氏) 나라를 정벌했을 때 유시씨국에서 보내온 매희라는 여인에 빠져 정사를 팽개치고 술에 취해 살았다. 술이 연못을 이루고 고기가 숲을 이룬다는 ‘주지육림(酒池肉林)’은 방탕이 극에 달한 그의 주연에서 비롯된 말이다. 결국 탕왕이 중국 최초의 역성혁명으로 은나라를 세웠다.은나라는 약 600년 뒤 주왕에 이르러 망한다. 주왕도 지혜와 무용이 뛰어났지만 그 역시 유소씨(有蘇氏) 나라 정벌 때 공물로 보내온 달기라는 여자에 빠져 ‘주지육림’에서 세월을 보냈다. 삼공(三公) 중 두 사람은 주왕에게 간하다 죽임을 당했고 훗날 주나라의 문왕이 되는 서백은 옥에 갇혔다. 서백의 죄목은 ‘불순한 시 구절 인용’이다. 그는 《시경》 대아편 탕시 구절을 인용해 “은왕이 거울로 삼을 것은 먼 데 있지 않고(殷鑑不遠), 하나라 걸왕 때에 있다”고 간언했다.방탕으로 나라를 잃은 하나라 걸왕을 ‘거울(鑑)’로 삼으라는 충언이었다. 주색에 빠진 주왕은 모든 간(諫)을 물리쳤고 결국 걸왕의 길을 걸었다. 나라를 잃고, 목숨도 잃었다. 쓰다고 약을 뱉으면 병이 깊어진다. 역사의 폭군은 하나같이 간(諫)을 뱉었다.은감불원(殷鑑不遠), 주변은 온통 스승이다. 망한 나라는 흥하는 나라의 반면교사이고, 간신은 충신이 자신을 비추는 거울이다. 현자에게는 주변이 모두 거울이다. 그 거울로 자신의 내면을 살핀다. 우자는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먼 나라와는 화친하고 가까운 나라를 공격하다 - 전국책

    ▶ 한자풀이遠  멀 원交  사귈 교近  가까울 근攻  칠 공범수(范睡)는 전국시대 전략가다. 위나라 책사이던 그는 제나라와 내통한다는 모함을 받고 진나라로 도망쳤다. 당시 진나라는 소양왕 모후인 선태후의 동생 양후가 재상으로 있으면서 실권을 쥐고 있었다. 그는 제나라를 쳐서 자신의 영지를 넓히려 했다. 소양왕이 범수를 불러 의견을 물었다.범수가 진언했다. “전하, 멀리 떨어져 있는 제나라를 공격하는 것은 득책이 아닙니다. 적은 군대로 강국 제나라를 친다 하면 다른 제후들이 비웃을 것입니다. 더구나 두 나라 사이에 있는 한나라와 위나라가 길을 열어 줄지도 의문입니다. 또 설령 쳐서 이긴다 한들 그 땅을 진나라 영토에 편입시킬 방도가 없습니다. 옛날에 위나라가 조나라 길을 빌려 중산을 정벌했지만 정작 그 땅을 손에 넣은 것은 조나라였습니다. 위는 중산과 멀고 조와는 가까운 까닭이지요.”범수의 말에 일리가 있다 여겨 소양왕이 물었다. “그럼 어찌해야 하오.” 범수가 답했다.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략하는 ‘원교근공(遠交近攻)’ 전략이 상책입니다. 한 치의 땅을 얻어도, 한 자의 땅을 얻어도 전하의 땅이어야 하지 않습니까. 이해득실이 이처럼 분명한데 굳이 먼 나라를 치는 건 현책이 아니옵니다.”소양왕은 옳거니 싶었다. 소양왕의 신임을 얻은 범수는 승진을 거듭했고 재상에까지 올랐다. 또한 ‘먼 나라와 손잡고 가까운 나라를 친다’는 원교근공책은 천하통일을 꿈꾸는 진나라의 국시가 됐다. 《전국책》이 출처다.먼 나라와 손잡고 이웃 나라를 치는 ‘원교근공(遠交近攻)’이 전략의 전부는 아니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설길에서 듣고 바로 그 길에서 말하다 생각 없이 쉽게 말을 옮김을 이름 -논어-

    ▶한자풀이道   길 도聽   들을 청途   길 도說   말씀 설 공자에게 말은 군자 소인을 가르는 가늠자다. 군자가 말을 더듬듯이 하는 건 언변이 서툴러서가 아니다. 그건 행함이 말을 따르지 못할까 염려한 때문이다. 소인은 말을 앞세우고 군자는 행(行)을 앞세운다. 공자는 사람을 말로 취하고 용모로 취하면 실수가 잦다고 했다. 공자는 《논어》 양화편에서 말을 가볍게 하는 세태를 나무란다.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하는 것은 덕을 버리는 짓이다(道聽而塗說 德之棄也).”성악설을 주창한 순자 역시 《순자》 권학편에서 말의 가벼움을 신랄히 꼬집는다. “소인배의 학문은 귀로 들어가 입으로 바로 나올 뿐 마음속에 새겨 두려고 하지 않는다. 귀와 입 사이는 불과 네 치밖에 안 되는데 배움이 이리 짧은 거리를 지나갈 뿐이면 어찌 일곱 자 몸을 아름답게 닦을 수 있겠는가.”도청도설(道聽塗說)은 길에서 들은 말(道聽)을 길에 흘려 버린다(塗說)는 뜻이다. 근거 없는 허황한 소문을 이리저리 퍼뜨리고 다니거나 교훈이 될 만한 말을 깊이 새기지 않고 바로 옮기는 경박한 태도를 비유한다. 도(塗)는 진흙이란 뜻이니 가슴에 담아둬야 할 말을 바로 진흙에 흩뿌림을 의미한다. 길에서 들은 것을 남에게 아는 체하며 말하는 것을 꼬집을 때도 쓰인다.순자는 묻지 않은 말을 입 밖에 내는 것을 ‘잔소리’라 하고, 하나를 묻는데 둘을 말하는 것을 ‘수다’라 했다. 공자는 남의 말을 중간에 끊는 것을 ‘조급’이라 하고, 남의 말이 끝났는데도 자기 말을 하지 않는 것을 ‘숨김’이라 했다. 그리보면 쉬운 듯하면서 어려운 게 말이다. 험담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성큰 그릇은 늦게 이뤄진다 -삼국지, 후한서-

    ▶한자풀이大   큰 대器   그릇 기晩   늦을 만成   이룰 성정언약반(正言若反)은 도가(道家)의 시조 노자가 즐겨 쓴 기법이다. 반대인 듯한 표현으로 핵심을 찌르는 수법이다. “매우 밝은 도는 어둡게 보이고, 앞으로 빠르게 나아가는 도는 뒤로 물러나는 것 같다. 가장 평탄한 도는 굽은 듯하고, 가장 높은 덕은 낮은 듯하다.” 정언약반 기법으로 도(道)를 설명하는 《노자》 41장 구절이다.이어지는 구절도 기법이 같다. “그러므로 아주 큰 사각형은 귀가 없고(大方無隅), 큰 그릇은 늦게 완성된다(大器晩成). 아주 큰 소리는 고요하고(大音希聲), 아주 큰 형상은 모양이 없다(大象無形).” 여기에 나오는 만성(晩成)은 본래 ‘아직 이뤄지지 않음’을 뜻하는 말로, 거의 이뤄질 수 없다는 의미가 강하다.후일에 이 말이 ‘늦게 이룬다’는 뜻으로 쓰이게 된 것은 최염 장군의 일화에서 비롯된 듯하다. 최염은 삼국시대 위나라 장군이다. 그에겐 최림이라는 사촌동생이 있었는데 외모가 볼품없고 출세가 늦어 친척들이 그를 멸시했다. 하지만 그의 재능을 알아본 최염이 말했다. “큰 종이나 큰 솥은 쉽게 만들어지는 게 아니고, 큰 인물도 성공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법이네. 네가 보기에 자네는 대기만성(大器晩成)형이네.” 최염의 말대로 최림은 천자를 보좌하는 삼공(三公)의 직위에까지 올랐다. 《삼국지》 ‘후한서’에 전해오는 일화다.대기만성(大器晩成), 큰 그릇은 늦게 이뤄진다. 조급하면 되레 일을 망친다. 서너 번 실패했다고 주저앉고, 두렵다고 물러서고, 자신없다고 쭈뼛대면 기회는 결코 당신을 두드리지 않는다. 누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