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一以貫之 (일이관지)
▶ 한자풀이一:한 일以:써 이貫:꿸 관之:갈 지유가는 인(仁)이 뿌리다. 인 위에 서지 않으면 모든 것이 틀어진다는 게 유가적 생각이다. 공자는 인이라는 바탕에 의(義)·예(禮)·지(智)를 쌓았다. 공자는 늘 배우고 익혔다. 《논어》 첫 장 첫 구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는 공자의 삶을 한마디로 응축한다. 그는 타고난 성인이 아니라 평생을 갈고닦은 성인이다.증자(曾子)는 효심과 배움이 깊은 공자의 제자다. 공자의 도(道)를 계승했으며, 그의 가르침은 공자의 손자 자사를 거쳐 맹자에게까지 전해졌다. 동양 5성(五聖) 중 한 사람이다. 증자 역시 여느 제자들처럼 스승의 앎을 부러워한 모양이다. 어느 날 공자가 물었다. “삼(參·증자의 이름)아, 너는 내가 모든 걸 배워서 알고 있다고 생각하느냐?” 증자가 답했다. “그렇지 않습니까, 스승님.” 공자가 말을 이었다. “아니다. 나는 하나로써 꿰었다(一以貫之).”공자가 나가자 증자의 제자들이 증자에게 물었다. “무슨 말씀입니까?” 이번엔 증자가 답했다. “선생님의 도는 충(忠)과 서(恕)뿐이다.” 《논어》 위령공·이인 편에 나오는 얘기다. 처음부터 끝까지 흔들림이 없다는 뜻인 일관(一貫)은 일이관지의 줄임이다.증자는 공자를 꿰는 두 축을 충과 서로 봤다. 충은 자신의 마음을 다하는 거다. 진심을 다하고, 정성을 다하는 거다. 서는 자신을 헤아려 그 마음으로 남을 헤아리는 거다. 공자가 강조한 추기급인(推己及人), 즉 나로 미뤄 상대를 보는 거다. “네가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시키지 말라”는 성경의 말씀과 뜻이 하나다. 인은 충과 서를 아우른다. 인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일거양득 (一 擧 兩 得)
▶ 한자풀이一 : 하나 일擧 : 들 거兩 : 둘 량(양)得 : 얻을 득속석은 중국 진(晉)나라 혜제(惠帝) 때 저작랑을 지내고, 진사(晉史)를 편찬한 인물이다. 그가 농업 정책을 왕에게 진언하면서 “위나라 때의 개척지인 양평으로 들어가 살게 한 백성들을 다시 서쪽으로 이주시키자”고 했다. 왕이 이유를 물으니 그가 답했다. “백성들을 서주로 이주시킴으로써 변방을 보강하고, 10년 동안 부세(賦稅)를 면제해 줌으로써 이주의 고달픔을 위로합니다. 이렇게 하면 밖으로는 실질적인 이익이 있고, 안으로는 관용을 베풀어 일거양득(一擧兩得)이 됩니다.” 《진서》 속석전에 나오는 얘기다.《춘추후어》에는 힘이 장사인 변장자(辨莊子) 얘기가 나온다. 호랑이 두 마리가 마을에 나타나 가축들을 잡아가자 동네 사람들이 변장자를 불렀다. “걱정 마시오. 내가 그놈들을 때려잡을 테니.” 변장자가 여관에 투숙한 이튿날 호랑이 두 마리가 나타나 소를 몰고 달아났다. 그가 활과 칼을 들고 호랑이를 쫓았다. 호랑이 잡는 장면을 보려고 여관의 사동도 뒤를 따랐다.산속에서 으르렁거리는 호랑이 소리가 들렸다. 변장자가 살금살금 호랑이 곁으로 다가가 활을 겨눴다. 순간, 사동이 그의 옷자락을 잡아챘다. “무슨 짓이냐?” 그가 험악한 표정을 짓자 사동이 목소리를 죽였다. “지금 호랑이 두 마리가 서로 소를 차지하려고 싸우는데, 한 놈은 결국 죽지 않겠습니까. 이긴 놈도 크게 다칠 테고요. 그때를 기다렸다 한 번에 두 마리를 잡아야지요.” 변장자는 무릎을 쳤고, 잠시 후 호랑이 두 마리를 어깨에 걸치고 마을로 내려왔다. 《춘추후어》는 ‘하나로 두 가지 이익을 얻는’ 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이심전심 (以 心 傳 心)
▶ 한자풀이以 : 써 이心 : 마음 심傳 : 전할 전心 : 마음 심석가는 노자의 무언지교(無言之敎)를 몸소 실천한 성인이다. 석가는 큰 스승이다. 송나라 승려 도언은 석가 이후 고승들의 법어를 기록한 《전등록》에서 “석가는 말이나 글이 아니라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제자들을 가르쳤다”고 적었다. 불교의 진수는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해지면서 고통받는 중생에게 ‘마음의 길’을 터줬다. 석가는 제자들의 물음을 늘 칭찬했고, 자신의 가르침을 강요하지 않았다.송나라 스승 보제의 《오등회원》에는 석가가 이심전심으로 제자들을 가르치는 장면이 나온다. 어느 날 석가가 영취산에 모인 제자들에게 연꽃 한 송이를 집어들고 줄기를 살짝 비틀어 보였다. 제자들은 스승의 그 뜻을 헤아리지 못했다. 오직 가섭만이 석가의 뜻을 깨닫고 미소를 지었다. 말이 아니라 마음으로 통한다는 염화미소(拈花微笑)는 이 영취산 설법에서 나왔다. 석가가 연꽃을 집어드니(拈華), 제자 가섭이 그 뜻을 헤아려 미소를 지었다(微笑)는 의미다.연꽃은 탁한 연못에서 피어난다. 하지만 더없이 청아하고 맑고 깨끗하다. 속세도 탁하다. 흐리고 탐심이 가득하다. 하지만 스스로 깨달으면 탁한 연못에서 피어나는 연꽃처럼 중생도 맑고 깨끗하게 거듭난다.참고로 사성제(四聖諦)는 불교의 기본 교리다. 사제(四諦)로도 불리는 이 교리는 고(苦)·집(集)·멸(滅)·도(道) 네 진리가 핵심이다. 고(苦)의 진리(고제)는 고통으로 가득찬 현실을 바로 보라는 거고, 집(集)의 진리(집제)는 탐심 욕망 이기심 등 고통이 생기는 원인을 바로 보라는 거다. 멸(滅)의 진리(멸제)는 온갖 번뇌를 벗고 해탈을 얻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옥석혼효 (玉 石 混 淆)
▶ 한자풀이玉:구슬 옥石:돌 석混:섞을 혼淆:뒤섞일 효동진(東晉) 시대 갈홍은 도가 계열의 사상가다. 그의 《포박자》는 도교가 하나의 사상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크게 기여한 저술이다. 그는 이 책 ‘상박편’에서 배움의 도(道)를 이렇게 적고 있다.“《시경》이나 《서경》이 도의(道義)의 큰 바다라면, 제자백가의 글은 이것을 보충하는 냇물이다. 방법이 다를지언정 덕을 닦는 데 무슨 다름이 있겠는가. 옛사람들은 재능 얻는 게 어렵다고 탄식했지만, 곤륜산 옥이 아니라고 야광주를 버리거나 성인의 글이 아니라고 수양에 도움되는 말을 버리지 않았다. 한나라와 위나라 이후로도 ‘본받을 만한 좋은 말(嘉言)’이 많이 나왔지만, 식견이 좁은 사람들은 자구(字句)에만 매달려 오묘한 이치를 가벼이 한다.”갈홍은 큰 것에만 매달려 정작 작은 것에 담긴 뜻을 소홀히 하는 세태를 나무란다. 《시경》이나 제자백가들의 가르침이 근본은 크게 다르지 않은데도 세속의 크기에만 매달리는 어리석음을 꾸짖는다. 이어지는 말도 함의가 같다.“뿐만 아니다. ‘작은 길(小道)’이라 일고의 가치도 없다 하고, 너무 넓고 깊어서 머리를 혼란시킨다고도 한다. 티끌이 쌓여 태산이 되고 색들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무지개를 이룬다는 걸 모른다. 천박한 시부(詩賦)를 감상하고, 뜻이 깊은 제자백가의 글을 가볍게 여기며, 유익한 금언을 하찮게 생각한다. 그러하기에 참과 거짓이 뒤바뀌고, 옥과 돌이 뒤섞이며(玉石混淆), 아악(雅樂)이 속악(俗樂) 취급을 받고, 아름다운 옷이 누더기로 보이는 것이다. 이 얼마나 개탄할 노릇인가.”옥석혼효(玉石混淆), 옥과 돌이 섞여 있는 게 세상이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옥상가옥 (屋 上 架 屋)
▶ 한자풀이屋 : 집 옥, 휘장 악上 : 윗 상架 : 시렁 가屋 : 집 옥, 휘장 악서평이 베스트셀러를 만든다. 낙양지귀(洛陽紙貴), 낙양의 종이가 귀해졌다. 책이 누군가의 호평으로 잘 팔린다는 뜻이다. 진(晉)나라 문장가 좌사는 어려서는 글을 잘하지 못하고 인물도 변변찮았으나 후엔 붓만 들면 구구절절이 명문이었다. 그가 10년간 가다듬기를 거듭해 위·촉·오 세 나라 도읍의 변화를 묘사한 삼도부(三都賦)를 완성했지만 알아주는 이가 없었다.그러던 어느 날, 장화라는 시인이 이 책을 읽고 대문장가 반고와 장형의 글과 같다고 칭찬했다. 삼도부는 하루아침에 유명해졌고, 당대 고관대작은 물론 낙양 사람들이 다투어 책을 필사하는 바람에 ‘낙양의 종이값이 뛰어올랐다(洛陽紙貴)’.동진의 문장가 유천은 양도부를 지어 당시 세도가 유량에게 평을 부탁했다. “좌사의 삼도부와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다.” 이번에도 사람들이 양도부를 앞다퉈 베껴 종이값이 오를 정도였다. 하지만 당시의 고관 사안은 달랐다. 그의 눈에 유천은 반고나 장형, 좌사의 아류에 불과했다. 그의 평가는 냉혹했다. “(유량의 호평은) 말도 안 되는 소리다. 그의 글은 ‘지붕 위에 또 지붕을 얹은 꼴(屋上架屋)’이다. 《진서》에 나오는 얘기다.옥상가옥(屋上架屋), 지붕 위에 또 집을 세운다는 말로 일을 번잡하게 중복해 볼품없게 만드는 것을 비유한다. 옥상가옥은 본래 옥하가옥(屋下架屋)이라 했으며, 지금은 흔히 옥상옥(屋上屋)으로 줄여 쓴다. 형식에 치우친 불필요한 서류, 이중삼중 규제는 대부분 옥상옥이다.중언부언(重言復言)은 말에 말이 얹히는 거다. 말에 말을 보태면 잔소리가 된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읍참마속 (泣 斬 馬 謖)
▶ 한자풀이泣:울 읍斬:벨 참馬:말 마謖:일어날 속삼국지는 위·촉·오 세 나라가 천하통일을 꿈꾸는 얘기다. 전술과 지략, 음모와 술수가 얽히고설켜 있다.북벌에 나선 제갈량이 위나라 군사를 크게 무찔렀다. 조조는 이를 갈았다. 천하의 명장 사마의에게 20만 대군을 내주며 설욕을 명했다. 제갈량도 사마의 군대를 깰 계책을 세웠다. 문제는 보급로였다. 군량 수송로인 가정(街亭)을 지켜야 제갈량이 마음 놓고 계책을 펼 수 있었다. 마속(馬謖)이 자청하고 나섰다. 마속은 제갈량과 문경지교를 맺은 마량의 친동생이다. 제갈량도 누구보다 그를 아꼈다. 하지만 제갈량은 썩 내키지 않았다. 사마의 군대를 대적하기에는 아직 어리다고 판단한 것이다. 마속이 ‘비장의 카드’를 썼다. “만약 명을 지키지 못하면 저는 물론 일가권속까지 참해도 원망하지 않겠습니다.”가정의 지형을 살핀 마속은 욕심이 생겼다. 제갈량이 “지키기만 하라”고 수차 명했지만 적을 잘만 유인하면 몰살시킬 수 있다고 판단했다. 마속은 수하 장수들의 진언을 무시하고 산꼭대기에 진을 쳤다. 하지만 사마의 군대는 마속의 생각대로 산위로 올라오지 않았다. 결국 식량과 물이 끊긴 마속은 사마의 수하 장합이 이끄는 군대에 대패했다. 제갈량이 마속의 죄를 묻는 자리는 숙연했다. 제갈량이 무겁게 입을 열었다. “마속은 정말 아까운 장수다. 하지만 사사로운 정에 끌려 군율을 저버리는 것은 마속이 지은 죄보다 더 큰 죄가 된다.” 마속이 형장으로 끌려가자 제갈량은 소맷자락으로 얼굴을 가리고 마룻바닥에 엎드려 울었다. ‘눈물로 마속을 참한(泣斬馬謖)’ 것이다.공정해지려면 사사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우직지계 (迂 直 之 計)
▶ 한자풀이迂:돌아갈 우直:곧을 직之:갈 지計:꾀 계부드러움이 단단함을 이기고, 양보하는 자가 앞서간다. 정언약반(正言若反), 바른말은 반대인 듯하다. 특히 노자는 정언약반 기법을 즐겨 썼다. “공을 세우고도 이름을 내세우지 않고, 빛나도 눈부시지 않고, 곧아도 방자하지 않다.” 《도덕경》에는 정언약반으로 깨우침을 주는 문구가 빼곡하다.병법의 대가 손자는 “가까운 길을 먼 길인 듯 가는 방법을 적보다 먼저 아는 자가 승리한다(先知迂直之計者勝)”고 했다. 가까운 길을 바로 질러가지 않고 돌아갈 줄도 알아야 한다는 우직지계(迂直之計)는 《손자》 군쟁편에 나온다. 손자는 여기에 말을 덧붙였다. “군쟁(軍爭)의 어려움은 돌아가는 길을 직행하는 길인 듯 가고 불리한 우환을 이로움으로 만드는 데 있다. 그 길은 돌기도 하고, 미끼로 적을 유인하기도 하고, 상대보다 늦게 출발해 먼저 도착하기도 한다. 이런 사람이 우직지계를 아는 사람이다.” 때로는 빠른(直) 길을 돌아가는 것(迂)이 세상을 사는 지혜(計)다. 적이 한 손에 잡힐 듯하다고 직선으로 돌진하다간 몰살당하기 십상이다.《열자》에 나오는 얘기다. 어떤 사람이 자신의 그림자를 싫어했다. 그림자를 자신에게서 떼어내려고 발걸음을 빨리했다. 한데 그림자는 여전히 붙어다녔다. 자신의 발걸음이 늦기 때문이라고 생각한 그는 뛰기 시작했다. 그래도 그림자는 떨어지지 않았다. 뜀박질이 늦은 탓이라고 여긴 그는 숨이 멎을 때까지 뛰었다. 그는 몰랐다. 나무 아래 그늘에서 쉬면 그림자도 사라지고 숨도 차지 않는다는 것을.속도에 얽매인 시대다. 남이 뛰니 방향도 모르고 까닭도 모른 채 너도나도 앞다퉈 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오십보백보 (五 十 步 百 步)
▶ 한자풀이五:다섯 오十:열 십步:걸음 보百:일백 백步:걸음 보양혜왕이 맹자를 초청해 물었다. “선생이 천 리를 멀다 하지 않고 이리 와주셨으니 저희에게 어떤 이익을 주시려는지요.” 맹자가 답했다. “어찌 이익만을 말씀하시는지요. 위로는 왕에서 아래로는 선비까지 이익만을 논하면 나라가 망합니다. 저는 인(仁)과 의(義)를 먼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뒤통수를 맞은 양혜왕이 다시 물었다. “주변국 왕들과 견줘보면 나는 그들보다 백성을 잘 다스리고 있습니다. 한데 이웃 나라 백성들이 우리 땅으로 넘어오지 않는 까닭은 무엇인지요.”맹자가 다시 답했다. “왕께서 전쟁을 좋아하시니 비유를 하나 들어보지요. 양쪽 군사가 북을 울리고 싸움을 하는데 한 병사가 겁을 먹고 도망을 쳤습니다. 그런데 오십 걸음쯤에서 멈춰서 백 걸음 도망친 자를 보고 비겁하다고 삿대질을 한다면 가한 일인지요?” “말이 안 되지요. 오십 보나 백 보나 비겁하게 도망친 것은 마찬가지 아닙니까.” 맹자가 속뜻을 꺼냈다. “그렇습니다. 오십 보나 백 보나 그게 그거지요. 왕께서 이웃 국가보다 정치를 잘한다고 하지만 그건 오십 보 백 보 차이입니다. 그 차이로는 백성들이 목숨을 걸고 국경을 넘지 않습니다.” 흔히 쓰는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가 생겨난 연유다.오십보백보는 피차의 차이는 있지만 본질은 같다. 겉만 다를 뿐 속은 그게 그거다. 뿌리가 같으면 가지도 비슷하다. 생각이 고만고만하면 행동도 거기서 거기다. 한데 발상 자체를 바꾸면 얘기가 달라진다.흔히 거꾸로 보고, 뒤집어 보고, 흔들어 보라 한다. 통념이나 상식에서 멀찍이 떨어져 사물을 바라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