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붕정만리 (鵬程萬里)
▶ 한자풀이鵬 : 붕새 붕程 : 법 정萬 : 일만 만里 : 마을 리붕새는 단번에 만 리를 난다는 뜻으로앞길이 매우 멀고도 큼을 일컬음 -《장자(莊子)》노자와 장자로 대표되는 도가(道家)는 무위자연(無爲自然) 네 글자로 압축된다. 순리를 인위적으로 거부하지 말고, 자연의 뜻을 거스르지 말라는 뜻이다. 장자의 사상이 고스란히 담긴 책이 《장자》다. 장자는 풍자적이고 비유적인 이야기로 도가 사상의 본질을 짚어준다. 그런 점에서 장자는 뛰어난 이야기꾼이다.《장자》 첫머리에 ‘붕(鵬)’이라는 새 이야기가 나온다. 북쪽 바다에 물고기가 있으니 그 이름이 곤(鯤)이다. 곤의 크기가 몇천 리인지는 알지 못한다. 곤이 변해 새가 되는데 그 이름이 붕(鵬)이다. 붕 또한 크기가 몇천 리인지는 알지 못한다. 한데, 이 새가 한번 힘을 써 날면 그 날개가 마치 하늘 전체를 뒤덮는 구름과 같고 바다를 뒤집을 만큼 큰바람이 인다. 붕은 그 바람을 타고 북쪽 바다 끝에서 남쪽 바다 끝까지 날아간다. 붕새가 남쪽 바다로 날아갈 때는 물결치는 것이 3000리다. 회오리바람을 타고 9만 리나 올라간 붕새는 6개월 동안 계속 난 다음에 비로소 날개를 쉰다.붕정만리(鵬程萬里)는 ‘붕새가 회오리바람을 타고 9만 리를 올라간다’는 글에서 유래했다. 붕새가 단번에 1만 리를 난다는 뜻으로, 앞길이 매우 멀고도 큼을 일컫는다. 대자연의 웅대함이 형용할 수 없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붕정(鵬程)은 붕새가 나는 것과 같이 지극히 먼 거리를 뜻한다. 붕새가 9만 리를 날 듯, 보통 사람들은 생각지도 못할 원대한 꿈이나 계획을 빗대어 붕정만리라는 표현을 쓴다. ‘참새가 어찌 대붕의 뜻을 알겠는가’라는 말도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연작홍곡 (燕雀鴻鵠)
▶ 한자풀이燕 : 제비 연 雀 : 참새 작 鴻 : 큰기러기 홍 鵠 : 고니 곡제비가 어찌 기러기의 마음을 알겠냐는 뜻으로소인은 대인의 뜻을 헤아리지 못한다는 의미 -《사기(史記)》진(秦)나라는 수백 년이나 지속된 전국시대에 종지부를 찍고 기원전 221년에 중국 천하를 통일했다. 하지만 폭정으로 민심을 잃어 15년 만에 망했다. 진 멸망의 첫 봉화는 양성(陽城)에서 남의 집 머슴살이를 하는 진승(陳勝)이라는 자가 올렸다. 그가 밭에서 일을 하다 잠시 쉬고 있는데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탄식이 새어 나왔다. “이놈의 세상, 뭔가 뒤집어 놓아야지. 이래가지고는 어디 살 수가 있겠나.” 주위의 머슴들이 일제히 비웃었다. “여보시게, 머슴 주제에 무엇을 하겠다고?” 진승이 탄식하듯이 말했다. “제비나 참새가 어찌 기러기와 고니의 뜻을 알리오(연작안지홍곡지지: 燕雀安知 鴻鵠之志).”진시왕이 죽고 아들 이세(二世)가 왕위를 이었지만 포악함과 사치는 아버지보다 더했다. 백성들은 삼족을 멸한다는 형벌이 두려워 불만조차 말할 수 없었다. 후에 진승은 오광(吳廣)과 함께 징발되어 일행 900여 명과 함께 장성(長城)을 수비하러 갔다. 한데 대택(大澤)이라는 곳에서 큰비를 만나 기일 내에 목적지까지 도달하기는 불가능했다. 늦게 도착하면 참형(斬刑)에 처해지니 차라리 반란을 일으키는 게 더 나을 것 같았다.진승·오광은 뜻을 같이하고 인솔자인 징병관을 죽인 뒤 군중을 모아 놓고 말했다. “어차피 늦었으므로 목적지에 도착해도 우리는 죽게 된다. 이렇게 죽을 바에는 사내대장부답게 이름이나 날리자, 왕후장상(王侯將相)이 어찌 씨가 있다더냐?”징집자들은 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파죽지세(破竹之勢)
▶ 한자풀이破 : 깨뜨릴 파竹 : 대 죽之 : 갈 지勢 : 기세 세대나무를 쪼갤 때의 맹렬한 기세라는 뜻으로세력이 강대해 대적할 상대가 없음을 비유 -《진서(晉書)》사마염(司馬炎)은 조조가 세운 위(魏)나라를 없애고 스스로 제위에 올라 국호를 진(晉)으로 바꿨다. 그가 곧 무제(武帝)로, 서기 265년의 일이다. 이때는 유비가 세운 촉(蜀)나라도 이미 멸망한 뒤여서 삼국 중에서는 오찍 동쪽의 오(吳)나라만 남아서 버티고 있었다. 중국 천하를 놓고 진나라와 오나라가 대립하고 있는 형국이었다.나라 안을 정비한 무제는 오나라 정벌에 나섰다. 진남대장군 두예(杜預)가 파견 군대의 지휘관으로 사마염의 명을 받아 20만 군대를 거느리고 오나라를 침공했다. 힘들게 무창을 점령해 교두보를 확보한 두예는 휘하 장수들과 오나라군에 결정적 타격을 가할 작전 회의를 열었다. 한데 한 장수가 나서 엉뚱한 주장을 했다. “얼마 있으면 봄비로 강물이 범람하고, 장마에 전염병이 돌지 몰라 걱정입니다. 당장 오나라 도읍 점령이 어려우니 일단 회군한 뒤 가을철에 다시 오는 게 어떻겠습니까.”순간, 장수들이 술렁대고 그의 의견에 찬성하는 목소리가 하나 둘 나타났다. 그러자 두예가 단호히 말했다. “그 무슨 소린가. 지금 우리 군사들의 사기는 하늘을 찌를듯이 높아, 마치 대나무를 쪼갤 때의 맹렬한 기세(破竹之勢)와 같네. 대나무는 일단 쪼개지기만 하면 그 다음부터는 칼날을 대기만 해도 저절로 쪼개지는 법인데, 어찌 이런 절호의 기회를 놓칠 수 있단 말인가.”두예는 곧바로 군사를 재정비해 글자 그대로 파죽지세처럼 단숨에 오나라 수도 건업을 함락시켰다. 오왕 손호(孫晧)는 손을 뒤로 묶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吮疽之仁(연저지인)
▶ 한자풀이吮 : 빨 연疽 : 종기 저之 : 어조사 지仁 : 어질 인144종기를 입으로 빨아주는 어짊이란 뜻으로부하를 극진히 아끼고 사랑함을 비유 - 《사기(史記)》연저지인오기(吳起)는 손자(孫子)와 더불어 중국 춘추전국시대를 대표하는 병법가다. 위(衛)나라 사람으로, 젊은 시절 벼슬자리를 얻기 위해 애썼지만 가산만 탕진했다. 그러다 자기를 비웃는 마을 사람 30여 명을 죽이고 노나라로 도망쳐 증자(曾子)의 문하에 들어갔다. 재상이 되기 전에는 고향에 돌아가지 않겠다는 맹세를 지키기 위해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도 고향에 가지 않았다.이런 연유로 증자의 미움을 사 문하에서 쫓겨났고, 장수가 되기 위해 병법을 공부했다. 몇 년 뒤 제나라가 노나라를 침공하자 장수가 될 기회가 생겼지만, 부인이 제나라 출신인 것이 걸림돌이었다. 그러자 오기는 부인을 죽였고, 장수가 되어 제나라와의 싸움에서 큰 공을 세웠다. 하지만 노나라 왕은 오기의 성품이 잔인하고 위나라에서 큰 죄를 짓고 도망쳐온 탓에 양국 관계가 껄끄럽다는 이유로 오기의 병권을 몰수했다.낙심한 오기는 위나라의 문후(文侯)가 현명하다는 말을 듣고 위나라로 돌아가 뛰어난 지휘력과 용병술로 수많은 공을 세웠다. 오기는 병사들과 함께 먹고 자면서 노고를 나눠 병사들의 신망이 두터웠다. 어느 날, 심한 종기로 괴로워하는 병사의 고름을 오기가 직접 빨아줬다. 그 소식을 전해 들은 병사의 어머니가 통곡했다. 사람들이 연유를 물었다.“일개 병졸인 아드님의 종기 고름을 장군이 직접 빨아주었는데 어찌 그리 슬피 우는 거요?” 어머니가 슬픔을 억누르며 답했다. “내 말 좀 들어보시오. 작년에 그 애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타초경사(打草驚蛇)
▶ 한자풀이打 : 칠 타草 : 풀 초驚 : 놀랄 경蛇 : 뱀 사풀을 두드려 뱀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을(乙)을 징계해 갑(甲)을 깨우침을 비유 - 《유양잡조(酉陽雜俎)》당나라의 한 현령(縣令)이 온갖 명목으로 세금을 거둬들여 사복을 채웠다. 견디다 못한 백성들은 일부러 현령에게 그 부하들의 부정부패 사실을 일일이 열거해 고발장을 올렸고, 이를 읽던 현령은 “너희는 비록 숲을 건드렸지만, 나는 이미 풀숲 속에 숨어 있던 뱀처럼 놀랐다 (여수타초 오이경사: 汝雖打草 吾已驚蛇)”고 했다. 백성들이 자기 부하들의 비리를 고발한 것은 곧 우회적으로 자신의 비리를 고발하는 것이라고 생각해 지레 겁을 먹은 것이다. 을(乙)을 징계해 갑(甲)을 깨우치게 하려 한 백성들의 의도가 달성된 것이다. 당나라 단성식(段成式)의 수필집인 《유양잡조(酉陽雜俎)》에 나오는 이야기다.중국의 병법서 《삼십육계》에도 타초경사(打草驚蛇)가 나온다. 뱀을 잡기 위해서는 스스로 놀라는 척하며 풀밭을 두드리라는 것이다. 즉, 변죽을 울려 적의 정체를 드러나게 함을 비유하는 말이다.《삼십육계》에 나오는 타초경사의 대표적 사례는 중국의 마오쩌둥(毛澤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마오쩌둥은 반공사조(反共思潮) 완화정책으로 명방운동(鳴放運動)을 펴 지식인과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발표할 수 있도록 보장해 준다고 선포했다. 명방운동은 ‘온갖 꽃이 같이 피고 많은 사람이 각기 주장을 편다(백화제방 백가쟁명: 百花齊放 百家爭鳴)’는 구호로 표현되었다. 중국 공산당은 또 “말한 자는 죄가 없고 들은 자는 반성해야 한다”며 잘못이 있다고 생각되면 지위고하를 불문하고 과감히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철면피(鐵面皮)
▶ 한자풀이鐵 : 쇠 철面 : 낯 면皮 : 가죽 피철면피鐵面皮‘쇠처럼 두꺼운 낯가죽’이라는 뜻으로 뻔뻔스럽고 염치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 《북몽쇄언(北夢言)》중국 오대 말기와 북송 시대 초기 학자 손광헌이 쓴 《북몽쇄언》에는 다음과 같은 얘기가 나온다.학식이 풍부하고 재능도 많아 진사(進士) 시험에 합격한 왕광원(王光遠)은 출세를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인물이었다. 그는 세도가의 집을 수시로 드나들면서 온갖 아첨을 했다. “어찌 이리 시를 잘 지으시는지요.” “무엇을 입으셔도 이리 눈이 부시는지요.”사람들이 옆에서 지켜봐도 그는 개의치 않았다. 한번은 어떤 권세가가 술에 취해 매를 들고는 “내가 그대를 때린다면 어찌하겠는가?” 하고 물었다. 왕광원이 선뜻 대답했다. “내 저항하지 않겠소.”그러자 그 권세가는 마구 매질을 했다. 이를 지켜보던 사람들이 모두 비아냥거렸다. “그대는 어찌 수모를 모르는가. 많은 사람 앞에서 그런 모욕을 당하고도 가만히 있다는 게 말이 되는가.” 하지만 왕광원은 평소와 다름없는 얼굴로 말했다. “그런 사람에게 잘 보이면 나쁠 게 없지 않은가.”사람들은 “왕광원의 얼굴이 열 겹의 철갑(鐵甲)과 같이 두껍다(光遠顔厚如十重鐵甲)”고 했고, 여기에서 철면피(鐵面皮)라는 말이 생겼다.철면피(鐵面皮)는 말 그대로 ‘쇠로 만든 낯가죽’이라는 뜻으로, 지나치게 뻔뻔한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낯가죽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후안무치(厚顔無恥)도 뜻이 같다.수치를 알고 염치를 아는 게 인격이고 품격이다. 인간은 이익 앞에서 민낯이 드러나고 얼굴이 두꺼워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千慮一失(천려일실)
▶ 한자풀이千 : 일천 천慮 : 생각할 려一 : 한 일失 : 잃을 실천 가지 생각 가운데 한 가지 실책이란 뜻으로 생각을 많이 해도 하나쯤 실수가 있다는 의미 -《사기(史記)》한(漢)나라가 중국 천하를 통일할 즈음의 일이다. 명장 한신(韓信)이 한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명을 받들어 조(趙)나라를 침공했다. 당시 조나라에는 명장 이좌거가 있었다. 그는 전략이 뛰어나 조정과 백성들 사이에서 신임이 높았다. 한신은 이좌거를 생포해 자신의 부하로 쓰고 싶었다. 한신이 병사들에게 공언했다. “누구든지 적장 이좌거를 사로잡으면 천금을 주겠다.”전투는 치열했고, 결과는 한나라군의 승리였다. 이좌거가 포박돼 한신 앞에 끌려나왔다. 한신은 황급히 손수 포박을 풀어주고 그를 상석에 앉혀 주연을 베풀어 극진히 예우했다. 술잔이 몇 차례 오가자, 한신이 천하통일의 마지막 장애가 되는 연(燕)나라와 제(齊)나라를 공략할 방법을 넌지시 물었다. 이좌거는 대답을 피했다. “황공하옵지만 패한 장수는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는 법입니다.”한신이 예를 갖춰 거듭 묻자 마지못한 듯 서두를 꺼냈다. “그렇게까지 말씀하시니 어쩔 수 없군요. 그런데 ‘아무리 지혜로운 사람도 생각이 많다 보면 반드시 하나쯤은 실수가 있고(智者千慮 必有一失), 어리석은 사람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반드시 하나쯤은 득책(得策)이 있다(愚者千慮 必有一得)’고 했습니다. 그러니 패장이 지금부터 말하는 이야기 가운데 하나라도 득책이 있다면 다행이겠습니다.” 한신은 이좌거의 전략으로 많은 전쟁에서 승리했고, 이좌거는 한신의 참모로 크게 활약했다. 《사기(史記)》 회음후열전에 나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부중지어(釜中之魚)
▶ 한자풀이釜 : 솥 부中 : 가운데 중之 : 어조사 지魚 : 물고기 어부중지어釜中之魚솥 안에 든 물고기라는 뜻으로피할 수 없는 궁지에 몰린 상황 -《자치통감》중국 후한(後漢) 때 양익(梁翼)이란 대신이 있었다. 황제의 외척인 그는 동생과 함께 무려 20년간이나 권력을 휘두르며 온갖 비행을 저질렀다. 어느 해 양익은 황제의 승인을 받아 각 지방을 순찰할 여덟 명의 사자(使者)를 뽑았다. 그중의 한 사람인 장강(張綱)은 기개가 있는 선비였다. 사자로 선발되기는 했으나 평소에 양익의 횡포를 매우 못마땅하게 여기던 그는 낙양의 숙소에다 수레바퀴를 파묻어 버리면서 개탄했다.“들개와 이리 같은 양익 형제가 조정의 요직을 차지하고 앉아서 온갖 비리를 저지르고 있는데, 여우나 살쾡이에 지나지 않는 지방 관리를 조사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장강은 황제에게 양익 형제를 탄핵하는 15개 조항의 상소문을 올렸고, 이로 인해 장강은 양익 형제의 미움을 사 광릉군의 태수로 쫓겨났다. 그곳은 장영이 이끄는 도적떼의 근거지였다. 하지만 그것은 장강에게 오히려 기회였다. 불평 한마디 없이 광릉군에 부임한 장강은 곧바로 장영을 찾아가 새로운 삶을 살라고 설득했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초연히 자기를 찾아온 장강에게 감복한 장영은 머리를 조아리며 말했다.“이런 생활을 하는 것이 어찌 올바른 길이겠으며 오래 지속될 수 있겠습니까. 저희들도 ‘솥 안에 든 물고기(釜中之魚)’ 신세나 다름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희들이 살길을 열어 주십시오.” 1만여 명의 도적은 모두 항복했고, 장강은 잔치를 열어 그들을 위로한 뒤 각자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