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 어려운 개념을 이해하는 방법
몸으로서의 나는 사물과 같은 세계에 속하는 동시에 의식으로서의 나는 사물과 다른 세계에 속한다.

이에 대한 객관주의 철학의 입장은 두 가지로 나뉜다. 의식을 포함한 모든 것을 물질로 환원하여 의식은 물질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거나, 의식을 물질과 구분되는 독자적 실체로 규정함으로써 의식과 물질의 본질적 차이를 주장한다. 전자에 의하면 지각은 사물로부터의 감각 자극에 따른 주체의 물질적 반응으로 이해되며, 후자에 의하면 지각은 감각된 사물에 대한 주체, 즉 의식의 판단으로 이해된다. 이처럼 양자 모두 주체와 대상의 분리를 전제하고 지각을 이해한다. 주체와 대상은 지각 이전에 이미 확정되어 각각 존재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각은 주체와 대상이 각자로서 존재하기 이전에 나타나는 얽힘의 체험이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과 손이 맞닿을 때 내가 누군가의 손을 만지는 동시에 나의 손 역시 누군가에 의해 만져진다. 감각하는 것이 동시에 감각되는 것이 되는 얽힘의 순간에 나는 나와 대상을 확연히 구분한다. 지각이라는 얽힘의 작용이 있어야 주체와 대상이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체와 대상은 지각이 일어난 이후 비로소 확정된다. 따라서 지각과 감각은 서로 구분되지 않는다.

지각은 물질적 반응이나 의식의 판단이 아니라, 내 몸의 체험이다. 지각은 나의 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고, 지각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은 모두 나의 몸이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 평가-
[지문 키워드]몸으로서의 나는 사물과 같은 세계에 속하는 동시에 의식으로서의 나는 사물과 다른 세계에 속한다.대구와 대조의 문장 구조를 기억해 두면 글 읽기에 도움이 된다. 지문의 “몸으로서의 나는 사물과 같은 세계에 속하는 동시에 의식으로서의 나는 사물과 다른 세계에 속한다”를 이해할 때도 그러하다.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은 도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이처럼' '다시 말해' 나오는 문장에 주목하자
여기서 ‘나’는 1인칭 대명사 ‘I’가 아니다. 지문에서는 그것이 ‘지각’, 즉 ‘몸의 감각기관을 통해 사물에 대해 아는 것’과 관련된 자아(自我) 개념으로 쓰였다. ‘몸’과 ‘의식’은 철수 쌤이 외워 두고 있는 이항대립적 개념의 대표적 사례이다. 이 내용에 따르면 ‘몸으로서의 나’와 ‘의식으로서의 나’는 각각 ‘사물과 같은 세계’, ‘사물과 다른 세계’에 속한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즉 몸으로서의 나는 사물이고 의식으로서의 나는 사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지문 키워드]이처럼 …는 것이다.…다시 말해철수 쌤은 어려운 내용을 글쓴이가 쉬운 말로 설명해 주지 않는다면 굳이 이해하지 않으려 한다. 전문 영역에 속하는 내용을 알고 있지 않다면 철수 쌤이라도 글을 이해할 수는 없는 것이다. 물론 참고 자료를 찾아보거나 전문가에게 질문해 알아 볼수 있지만, 그럴 수 없는 경우에는 이해하는 수고를 들이지 않는다. 이러는 이유는 애써 이해하려 진을 빼다가 글 읽기를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언젠가 이와 관련한 글을 읽게 되면 그때 가서는 이해하겠지 하는 여유를 가져야 꾸준히 글을 읽지 않겠는가?

그런데 어려운 내용을 읽을 때 철수 쌤에게는 버릇이 하나 있다. ‘이처럼(요컨대)’ ‘~는 것이다’ ‘다시 말해(즉)’와 같은 말의 뒷부분을 유심히 본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앞의 말을 뒤에서 쉬운 말로 설명해 줄 때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문에서 “이처럼 양자 모두 주체와 대상의 분리를 전제하고 지각을 이해한다”고 했는데, 이를 통해 앞의 내용이 무슨 말인지 잘 몰라도 ‘주체와 대상의 분리를 전제하고 지각을 이해한다’고 철수 쌤은 이해한다. 그런데 그 내용 또한 학생들에게 어려울 것이라 생각했는지 출제 선생님은 친절하게도 “주체와 대상은 지각 이전에 이미 확정되어 각각 존재한다는 것이다”라고 쉽게 풀이해 주고 있다. 이러한 친절은 지문의 뒷부분에도 나타나 있다. “지각이라는 얽힘의 작용이 있어야 주체와 대상이 분리될 수 있다”고 한 뒤 “다시 말해”라고 하면서 “주체와 대상은 지각이 일어난 이후 비로소 확정된다”고 쉽게 풀이해 준 것이다. [지문 키워드]객관주의 철학의 입장은 두 가지로 나뉜다.…하지만철수 쌤은 ‘입장’, 즉 대상에 대한 생각을 설명하는 글을 읽을 때 입장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며 읽는 버릇이 있다고 했다. 지문에서도 몇 가지 입장이 설명되어 있다.

우선 ‘객관주의 철학의 입장’들이 설명되어 있다. ‘의식은 물질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는 입장과 ‘의식과 물질의 본질적 차이를 주장’하는 입장이다. 언뜻 보면 두 입장은 정반대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후 두 입장의 공통점을 설명하고 있는데, 그것은 바로 “양자 모두 주체와 대상의 분리를 전제하고 지각을 이해한다”, 즉 “주체와 대상은 지각 이전에 이미 확정”된다는 것이다. 나아가 두 입장과 다른 입장이 설명되어 있다. 그것은 바로 “주체와 대상은 지각이 일어난 이후 비로소 확정된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서 대구와 대조를 고려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이처럼' '다시 말해' 나오는 문장에 주목하자
이상의 내용을 파악하면서 철수 쌤은 다음과 같이 이해한다.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이처럼' '다시 말해' 나오는 문장에 주목하자
포인트
성보고 교사
성보고 교사
1. 대구와 대조의 문장 구조, 이항대립적 개념을 고려하면 글 읽기에 도움이 된다.

2. 쉽게 설명해 주지 않는다면 굳이 이해하려 않는 것도 글을 꾸준히 읽는 데 도움이 된다.

3. ‘이처럼(요컨대)’, ‘다시 말해(즉)’와 같은 말의 뒤 부분을 이해하면 글 읽기가 쉬워진다.

4. 생각을 설명하는 글을 읽을 때 입장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며 읽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