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 사실의 원인을 밝히는 연구
레벤달은 감정적 반응을 ‘공포 통제 반응’, 인지적 반응을 ‘위험 통제 반응’이라 불렀다. 그리고 후자가 작동하면 수용자들은 공포 소구의 권고를 따르게 되지만, 전자가 작동하면 공포 소구로 인한 두려움의 감정을 통제하기 위해 오히려 공포 소구에 담긴 위험을 무시하려는 반응을 보이게 된다고 하였다.[지문키워드] 레벤달은…위티는어떤 사실(결과)은 밝혀졌지만 원인은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괌 섬의 원주민들이 리티코-보딕이라는 병에 많이 걸렸는데, 연구 결과 리티코는 루게릭 병, 보딕은 파킨슨 병이고, 선진국에 비해 원주민들의 발병률이 많게는 100배나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래서 수십 년간 그 원인을 찾는 연구가 이뤄졌는데, 마침내 과일 박쥐를 즐겨 먹는 식습관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지문에서도 이와 비슷한 연구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레벤달은 ‘후자(=위험 통제 반응)가 작동하면 수용자들은 공포 소구의 권고를 따르게 되지만, 전자(=공포 통제 반응)가 작동하면 … 공포 소구에 담긴 위험을 무시하려는 반응을 보이게 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위티는 ‘공포 소구의 설득 효과를 좌우하는 두 요인’을 밝혀 사실의 원인을 알아냈다. 이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지문키워드] 위협과 효능감의 수준이 모두 높을 때…위협의 수준은 높지만 효능감의 수준이 낮을 때…위협의 수준이 낮으면,…효능감의 수준에 관계없이철수 쌤은 경우의 수를 파악하며 내용을 정리하는 버릇이 있다고 했다. 지문에서도 ‘위협’과 ‘효능감’의 수준, ‘위험 통제 반응’과 ‘공포 통제 반응’ 그리고 ‘공포 소구에 대한 반응’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위의 (가) 또는 (나) 중 자신이 편리한 방식을 선택해 내용을 정리하면 되겠지만, 그 이면에는 (가) (나) 모두 경우의 수를 따지는 수학적 사고가 있어야 함을 명심하자. 즉 위협과 효능감 각각 ‘높음(↑)’ ‘낮음(↓)’이라는 두 가지 경우가 있으므로, 가능한 총 경우의 수는 2×2, 즉 네 가지임을 계산하면서 내용을 정리해야 하는 것이다. [지문키워드] 위티는 이 두 요인을 레벤달이 말한 두 가지 통제 반응과 관련지어…결론을 도출하였다.철수 쌤은 내용을 관련지으며 읽는 버릇이 있다. 예컨대 ‘국어 능력이 있는 사람은 성적이 높다’ ‘길동이에겐 국어 능력이 있다’를 ‘국어 능력이 있다’는 매개념(대개념과 소개념을 매개해 결론을 성립시키는 개념)을 이용해 ‘길동이는 성적이 높다’고 추리하며 읽는 것이다. 지문에서도 그렇게 읽어야 할 부분이 있다. 레벤달은 ‘전자(=위험 통제 반응)가 작동하면 수용자들은 공포 소구의 권고를 따르게 되’는 것으로 말했다. 그런데 위티는 ‘위협과 효능감의 수준이 모두 높을 때에는 위험 통제 반응이 작동’한다고 했다. 두 정보에는 ‘위험 통제 반응’이라는 매개념이 있다. 그래서 철수 쌤은 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며 읽는다. 또한 레벤달이 말한 ‘전자(=공포 통제 반응)가 작동하면 … 공포 소구에 담긴 위험을 무시하려는 반응을 보이게 된다’와 위티가 말한 ‘위협의 수준은 높지만 효능감의 수준이 낮을 때에는 공포 통제 반응이 작동한다’는 내용도 위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포인트 1. 어떤 사실(결과)을 먼저 밝히고 그 원인은 나중에 연구하는 사례가 수없이 많다.
… 위티는 우선 공포 소구의 설득 효과를 좌우하는 두 요인으로 ‘위협’과 ‘효능감’을 설정하였다. 수용자가 공포 소구에 담긴 위험을 자신이 겪을 수 있는 것이고 그 위험의 정도가 크다고 느끼면, 그 공포 소구는 위협의 수준이 높다. 그리고 공포 소구에 담긴 권고를 이행하면 자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자신에게 그 권고를 이행할 능력이 있다고 느끼면, 효능감의 수준이 높다. 한 동호회에서 회원들에게 ‘모임에 꼭 참석해 주세요. 불참 시 회원 자격이 사라집니다’라는 안내문을 보냈다고 하자. 회원 자격이 사라진다는 것은 그 동호회 활동에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높은 수준의 위협이 된다. 그리고 그가 동호회 모임에 참석하는 일이 어렵지 않다고 느낄 때, 안내문의 권고는 그에게 높은 수준의 효능감을 주게 된다.
위티는 이 두 요인을 레벤달이 말한 두 가지 통제 반응과 관련지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위협과 효능감의 수준이 모두 높을 때에는 위험 통제 반응이 작동하고, 위협의 수준은 높지만 효능감의 수준이 낮을 때에는 공포 통제 반응이 작동한다. 그러나 위협의 수준이 낮으면, 수용자는 그 위협이 자신에게 아무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느껴 효능감의 수준에 관계없이 공포 소구에 대한 반응이 없게 된다.
-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 평가 -
2. 경우의 수를 따지는 수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읽어야 하는 글이 있다.
3. ‘매개념’은 대개념과 소개념을 매개해 결론을 성립시키는 개념이다.
4. 매개념을 이용해 정보들을 관련지으며 글을 읽는 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