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한국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각 질병관리 기관은
전염병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요인으로부터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됐고, 현재까지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세계 각국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가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고 종식시키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질병통제예방센터(CDC), 한국은 질병관리청(KDCA), 중국은 질병관리본부(CCDC)를 중심으로 대응하고 있다.전염병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요인으로부터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됐고, 현재까지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미국 CDC는 1946년 애틀랜타에 있는 작은 건물에서 말라리아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시작됐다. 1000만달러의 예산과 400여 명의 직원으로 출범한 이 기관은 말라리아 퇴치에 필요한 트럭과 분무기, 삽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에서 시작됐다. 발전을 거듭한 CDC는 현재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에 있으며, 미국 외 54개국에 센터를 두고 있다. 전염병 외에도 만성 질환, 신체장애, 부상 관리, 작업장 내 위험요소, 환경 보건, 테러 대비 등의 다양한 분야를 관할한다. 연간 예산은 120억달러에 달하며 2만 명 넘는 직원이 국내외에서 활동하고 있다.
한국의 질병관리청은 역사적으로 더 오랜 기원을 가진 것으로 기록돼 있다. 1894년 고종의 칙령으로 설치된 위생국이 그 뿌리다. 그 후 1935년 설립된 보건원 양성소를 모태로 1945년 해방 이후 조선방역연구소, 국립화학연구소 등으로 개칭됐다. 1963년 12월 16일 독립적으로 설립 운영되던 국립방역연구소, 국립화학연구소, 국립보건원, 국립생약시험소가 국립보건원으로 통합 발족됐다. 보건복지부 산하의 질병관리청(옛 질병관리본부)은 국립보건원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는 것이 현실적인 해석일 것이다. 질병관리청은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유행으로 감염병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설립됐다. 코로나19가 심각해지면서 권한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020년 질병관리본부에서 질병관리청으로 승격됐다.
최근 코로나 백신 개발로 각국은 코로나 백신의 선정, 확보, 우선 접종 순위 결정 등 다양한 의사결정 문제에 직면해 있다. 각국에 국가적 질병관리 조직이 있음에도 방역지침, 백신 확보 및 접종 방식 등 다양한 부분의 통제 요소가 정치적, 경제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받고 있다. 미국과 한국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각 기관은 전염병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요인으로부터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됐고, 현재까지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지금은 무엇보다 코로나와 싸우는 최전방 전사들의 전략적 판단에 귀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박민우 생글기자(동성고 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