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철현 박사의 인문학 산책 (2) 현대인의 고독
스위스 조각가 알베르토 자코메티(1901-1966)는 자신의 예술, 특히 조각 작품들로 19세기 근대사회가 20세기 현대사회로 넘어가는 과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그는 유럽 한 복판에서 세계 1,2차 대전을 경험하면서 유럽 지식인들이 주도한 다양한 철학적인 시도들을 조각 작품이라는 가시적인 물질에 담아 대담하면서도 선명하게 제시하였다. 그의 관심은 시간이 인간의 시선을 왜곡하는 환영 안에서 인간의 모습을 재현하는 것이다.그는 1940년대 후반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실제 장소에서 재현하는 방법을 두 가지 사상을 통해 발견하였다. ‘현상학’과 ‘실존주의 철학’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자의식’, ‘타인’, ‘허무’와 같은 철학적인 담론을 현대인들의 우울, 소외, 고독으로 표현하였다.
‘외로움’
현대인들은 외롭다. 손안의 핸드폰은 한 순간도 놓치지 않고 우리의 관심을 유발할 만한 뉴스로 우리의 눈과 귀를 엄습한다. 우리는 왼손으로 핸드폰을 잘 볼 수 있도록 눈 가까이 올리고, 오른 손가락으로 그 매력적인 뉴스에 탐닉하기 위해 잠시도 쉬지 않고 스크롤을 내린다. 그러면 우리는 한 순간에 그 화면 속으로 들어가 한 참 동안 무아지경에 빠진다. 그러나 나는 외롭다. 내가 간절히 원하는 나의 모습을 찾지 못할 때, 그리고 그것을 향해 지금 이 순간을 직시하고 장악하지 못할 때, 나는 외롭다. ‘외롭다’는 감정은 누군가의 존재를 갈망하지만, 그것이 나를 충족시키지 못할 때 생긴다. 핸드폰은 현대인의 빈 공간에 들어와 외로움을 달래주는 노예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제는 안주인 노릇을 한다. 현대인들은 핸드폰의 노예다. 핸드폰이 전달해주는 정보는 내가 경험한 적이 없는,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편집하여 정리한 내용이다.
현대인들은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괴물인 핸드폰과의 싸움에서 완패를 당했다. 우리는 핸드폰에 중독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핸드폰이 전달해주는 정보를 통해 세상을 본다.
핸드폰은 21세기의 ‘손도끼’다. 인류가 진화하면서 약 300만년 전에 길바닥에 널 부러져 있는 돌을 주어다 자신의 손에 딱 들어오는 무기를 만들면서 ‘만물의 영장’이 되기위한 위대한 여정을 시작하였다. 현대인들은 핸드폰에서 무슨 정보든지 캐낼 수 있다. 이 편리함이 오히려 현대인들에게 실(失)이 되었다. 핸드폰은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해 주는 문명의 이기기면서 동시에 그들을 자신의 정보로 시야를 가리는 색안경(色眼鏡)이다. 자신이 보고자 하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혹은 그 대상 안으로 들어가 대상을 이해하려는 마음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킨다. 인간이 다른 동물과는 달리, 자신이 관찰하는 대상을 오랫동안 관조하여, 그 대상의 마음속으로 들어가 생각하려는 ‘거울신경계’를 뇌 속에 장착하였다. 창의성의 작동원리인 거울신경계가 마비되어, 누군가가 편집한 정보만 편식하는 인간이 되었다.
‘고독’(孤獨)
나는 나의 두 발로 땅을 디디고 굳건히 서서 고개를 치켜들고 내가 가고 싶은 장소를 정해 뚜벅뚜벅 가고 싶다. 나는 두 눈으로 내가 확인한 대상을 이해할 것이다. 내가 지하철에서 마주친 수많은 사람들의 얼굴들, 내가 탐독하는 성현들을 지혜가 담겨있는 책들, 내가 손을 통해 찾아가 두 눈으로 읽는 신문 사설들, 내 마당에 자리 잡고 시시각각으로 변신하는 능수 벚나무...이 모든 것이 나를 변화시키는 나의 스승이다. 나의 의지와 상관없이 나를 혼미하게 만드는 정보는 내 기억에 남지 않고 흘러가 버린다. 내가 간절히 원해 정색을 하고 관조하는 대상에 몰입하는 훈련을 ‘고독’(孤獨)이라고 부른다.
유대인들의 1세기 경전인 <피크레 아보트>(‘선조들의 어록’)이란 책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등장한다. 히브리어로 표현하면 이렇다. “아쩨이후 하캄? 하 로메드 미콜 아담.” 이 구절을 번역하면 이렇다. “누가 지혜로운 사람인가? 모든 사람으로부터 배우는 사람이다.”
매일 매일을 자신을 위한 배움의 시간으로 만들기 위한 마음가짐이 바로 ‘고독’이다.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침착하게 있는 그대로 보려는 마음이다. 고독은 우리가 필요한 최고의 선물이자 사치다. 자코메티는 아주 왜소한 작품에서 이 고독을 절실하게 표현하였다.
‘왜소’
자코메티는 어려서부터 왜소한 물체를 조각으로 만들었다 다시 해체하는 작업에 중독되어있었다. 그는 그러한 편집증적인 행위를 반복하는 이유를 알 수 없었다. 그가 제작한 10cm 이하 조그만 조각상은 수백 개 혹은 수천 개이지만 지금은 20여개만 남았다. 그는 자신이 재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규정하는 공간을 이해할 수 없었다. 동일한 대상이지만, 거리에 의해 크기가 달라지고 조명에 따라 보이는 양도 달라진다. 자코메티는 자신이 재현하려는 대상을 오래보면 볼수록, 그 대상이 점점 작아지고 사라진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는 대상을 보면 볼수록 그 대상이 점점 작아지고 마침내 사라지는 것을 경험한다. 그 대상의 전체를 보기 위해서는, 자신이 그 대상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야만했다. 무엇이 자코메티로 하여금 이런 생각을 하도록 만들었을까?
■배철현 작가·고전문헌학자
고대 오리엔트 문자와 문명을 전공한 고전문헌학자. 미국 하버드대에서 셈족어와 인도-이란어를 전공해 석·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를 지냈다. 저서로 《수련》《심연》《신의 위대한 질문》《인간의 위대한 질문》《인간의 위대한 여정》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