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고 최경석 쌤의 '술술 읽히는 한국사' (11)

(10) 진흥왕 한강을 차지하다
(12) 원효와 의상, 서로 다른 길을 가다
(13) 발해는 결코 중국사가 될 수 없다
(14) 지금 내 옆에는 누가 있나?
(15) 역발상으로 국가를 지키다
지난 2013년 뉴욕에 있는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서 ‘신라:한국의 황금 왕국’전이 개최되었습니다. 세계적인 박물관에 신라의 금관을 비롯 황금 유물이 당당히 소개된 것이지요. 여기에 전시된 유물 중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가 되었던 것은 바로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입니다. 도난과 훼손의 우려가 있어 반출할 것이냐 말 것이냐를 놓고 논쟁이 있었는데요. 결국 뉴욕 한복판에 그 진짜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습니다.
국보 83호
국보 83호
중생 구제를 고민하는 미륵보살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대립과 조화의 완벽한 미를 보여주는 최고의 국보 중 하나입니다. 자세히 보면 동그란 얼굴에 양눈썹에서 콧마루까지 내려오는 날카로운 선과 잔잔한 미소, 왼쪽 다리를 수직으로 세운 것에 대조적으로 오른다리를 편안하게 들어올리고 있습니다. 여기에 오른손을 뺨에 댄 듯, 턱을 괸 듯한 신비로운 자세를 잡고 있지요. 그리고 상반신과 반대되는 오메가형(Ω) 옷주름이 하반신에 두드러지면서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지요.

국보 118호
국보 118호
이 불상에 대해 먼저 ‘미륵’이라는 개념에서부터 살펴볼까 합니다. 얼핏 여러분도 백제 ‘미륵사지석탑’이나 살아있는 미륵이라 자칭한 궁예를 통해 ‘미륵’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거예요. 미륵은 원래 석가모니불의 ‘친구’라는 ‘미트라’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그래서인지 석가모니 이후 무려 56억7000만년이 되면 이 땅에 내려와 용화수 아래에서 부처가 되어 남아있는 중생들을 구제해 준다고 합니다. 그만큼 민중에게 미륵불은 구세주이므로 매우 대중적인 신앙으로 퍼지게 됩니다. 삼국시대의 쟁탈전과 통일 전쟁으로 어수선한 상황에서 더욱 더 미륵신앙은 유행할 수밖에 없었지요. 아니면 백제 무왕처럼 미륵사를 창건하거나 궁예처럼 자칭 미륵이라고 내세우는 일도 벌어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반가사유상은 무엇일까요? 원래 왕자였던 석가모니가 생로병사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유하던 모습에서 유래하였는데요. 이것이 점차 변화하여 아직 부처가 아닌 보살의 모습으로 도솔천에 있으면서 먼 훗날 이 땅의 중생들을 어떻게 구제할 것인가 명상에 잠겨 있는 미륵보살의 반가사유상으로 형성됩니다.

자연스럽고 대칭적인 조화의 미를 선보이다

국보 78호
국보 78호
이 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삼국시대 중에서도 6~7세기에 집중적으로 만들어집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 경쟁하듯 만들었지요. 가장 치열하게 삼국 간 전쟁이 벌어지던 시기이기도 했고요. 조형적으로는 이 반가사유상은 얼굴과 팔, 다리와 허리 등 반가좌의 형상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신체적 조화를 잘 맞춰야 하기에 쉬운 작업은 아니었습니다. 특히 국보 제83호의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처럼 거의 완벽에 가까운 반가좌 형상은 실제 살아있는 사람의 모습에서 표현될 수 없지요. 그만큼 허리를 더 숙여야 하거나 팔이 매우 길어야 하거나 해야 가능한 모습이기 때문이지요. 국보 제118호인 고구려 금동미륵반가사유상이나 일본 도쿄국립박물관에 있는 백제 금동반가사유상 등을 보면 결국 오른팔의 모습이나 휘어진 등과 허리가 실제와는 닮아보이지만 미술적으로는 어색하고 조화롭지 못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런 점에서 국보 제83호와 가장 많이 비교되는 것이 국보 제78호인 금동 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일본 국보 제1호인 고류사 목조 미륵보살반가사유상입니다. 이 두 반가상 모두 자연스러움과 조화의 미가 잘 어우러져 있어요. 국보 제78호는 머리에 쓰는 ‘보관’이 매우 복잡한 형태이고 상반신에도 옷을 걸치고 있는 듯한 모습에서 차이가 날 뿐 전체적으로 날렵하고 유기적인 조화의 미는 매우 비슷합니다.

일본 고류사 목조
미륵보살반가사유상
일본 고류사 목조 미륵보살반가사유상
한편, 일본 국보 제1호 목조 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우리나라 금동 반가상과 자주 비교되곤 하는데요. 특히 『일본서기』에 고류사의 창건자가 신라계 도왜인으로 알려진 진하승으로 나옵니다. 또한 당시 실세였던 쇼토쿠 태자가 세상을 떠나자 그를 애도하며 신라 장인을 불러 미륵보살반가사유상을 제작하게 되는데 일본산이 아닌 신라의 적송을 재료로 사용했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 모습도 거의 국보 제83호와 대동소이하여 이 일본 국보 1호의 반가상 역시 신라의 영향으로 보기도 합니다. 다만 최근 그 제작 기법과 조각의 조형적 특징이 백제 미술의 영향을 받은 것 아니냐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얼굴 모습은 분명 차이점이 나타납니다.

근현대 시기 일본에서 문화재를 수정·보완하면서 얼굴 모습을 좀 더 일본인에 맞게 고쳤다는 설도 있지요. 한편 국보 제83호는 학계에선 대체적으로 신라에서 제작한 것으로 보지만 확정적이지는 않아 고등학교 교과서까지는 보통 ‘삼국시대’ 제작으로 나옵니다. 그러다 2013년 메트로폴리탄 전시전에는 ‘신라전’의 이름으로 이 국보 제83호가 뉴욕 한복판에 신라의 작품으로 소개된 것이지요.

신라 화랑도에 영향을 준 미륵 신앙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 자신들의 종교로 불교를 믿었으며, 미륵 신앙을 적극 수용한 것은 공통 분모입니다. 그런데 특히 신라는 미륵 신앙을 화랑도에도 수용하는 남다른 면이 있습니다. 우두머리인 화랑이 바로 중생 구제를 위해 도솔천에서 내려온 미륵이라는 것이지요. 그래서 화랑도를 때론 ‘용화 향도’라고 불렀다고도 합니다. 불교적 세계관을 화랑도에 수용하고 이를 호국 불교로 활용하며 결국 통일의 지름길로 달려간 것이 신라이기도 하지요. 특히 황금 문화로 명성을 떨친 신라에서 어쩌면 금동 미륵보살반가사유상이 많이 나오는 것은 당연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한국사 공부] 뉴욕으로 날아간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세계 4대 박물관 중 하나인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소개된 우리의 아름다운 금동 미륵보살반가사유상. 이제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고민하는 미륵의 모습이 21세기에 되살아난 기록적인 사건을 돌아보며, 그 완벽한 예술적 완성도와 중생을 구제하는 은은한 미소를 떠올려봅니다.

■최경석 선생님

최경석 선생님은 현재 EBS에서 한국사, 동아시아사 강의를 하고 있다. EBS 진학담당위원도 맡고 있다. 현재 대원고 역사교사로 재직 중이다. ‘청소년을 위한 역사란 무엇인가’ ‘생각이 크는 인문학 6-역사’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