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스토리 - 민경국 교수와 함께하는 경제사상사 여행
(4) 자유주의 경제학의 선구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
사유재산·자유 내세워 새 경제 인식체계 확립
"불평등·독점 문제 시장 자체서 해결 가능
국가 개입하면 모든 경제주체 불행해져"
(4) 자유주의 경제학의 선구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
사유재산·자유 내세워 새 경제 인식체계 확립
"불평등·독점 문제 시장 자체서 해결 가능
국가 개입하면 모든 경제주체 불행해져"

주목을 끄는 것은 오스트리아학파의 전통을 이끈 미제스의 방법론이다. 그는 우리가 가격, 화폐, 시장, 법과 도덕, 관습 등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싶다면 개인의 행동에서 출발해(개인주의), 그런 경제 현상을 개인들끼리의 상호작용 결과로 설명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인간 행동은 자신의 목표(동기)와 지식(인지)을 통해 나타나는데, 그 행동목표와 지식은 개인 각자에게 있어 고유하다는 의미에서 주관적(주관주의)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그래서 인간을 다루는 경제학은 자연과학과 달라야 한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다.

미제스의 자유시장 비전도 흥미롭다. 시장경제는 정확하게, 그리고 적시에 분업적 경제를 조정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와 유인을 산출한다. 그래서 시장사회는 자유와 문명의 불가분의 조건이다. 그것은 소비자 중심 사회라는 점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생산의 최종 목적은 소비이기 때문이다. 어느 한 기업이 돈을 번 것은 그만큼 소비자들에게 봉사했다는 증거다. 동네 빵집이 어려워진 것은 대기업에 속한 빵집 때문이 아니라 대형 빵집을 찾는 소비자들 때문이다.
시장경제의 소비자 중심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면 필연적으로 국가의 개입을 부르게 되는데 그 결과는 모두에게 불리하다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 이는 대기업 규제와 중소기업 보호를 특징으로 하는 ‘경제민주화’도 소비자 중심 원리에 저촉되고 그래서 위험하다는 의미다.

미제스의 이런 주장은 신(新)경제사가들이 미국의 독점금지 정책사를 분석해 입증했다. 미국은 1890년 셔먼의 독점금지법과 그 이후 다양한 입법으로 시장경제에 개입했지만 싼값으로 질 좋은 상품을 공급하는 경쟁적인 기업의 활동만을 억제하는 어리석음을 범했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우리나라 공정거래법도 재고돼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말해준다.
미제스는 시장경제의 불평등에 대해서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불평등은 과학기술과 노임 상승, 높은 생활수준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인 자본 축적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는 시장경제가 빈익빈 부익부를 야기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강력히 반대한다. 시장경제의 변화와 역동성, 불확실성으로 계층 사이의 이동성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미제스 사상은 개인주의와 주관주의를 기초로 해 통화이론, 자본론, 이자이론을 개발하고 이들을 통합, 개척한 경기변동이론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그 핵심 내용은 경기변동은 순전히 화폐적 현상이고 이는 통화신용팽창으로 시장이자율이 낮아져 투자자들에게 잘못된 투자를 유도, 당장은 호황이지만 장기적으론 불황이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재정과 통화를 늘릴 경우 이는 정상 회복을 방해할 뿐이라고 말한다. 이는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의 장기불황을 설명해주는 미제스의 지혜다.

‘노벨상을 수상할 단 한 명의 경제학자를 꼽으라면 단연 미제스’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경제학 방법론에서부터 경제이론과 경제철학에 이르기까지 제대로 된 경제학의 발전을 위한 그의 선구자적 공헌은 지대했다. 균형이론의 미시, 수리와 통계, 그리고 거시경제학으로 척박한 경제지식계에 숨통을 터주는 그의 자유주의 경제학은 영원히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