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정밀탐사 로봇 ‘큐리오시티(Curiosity)’가 최근 화성 표면에 착륙해 활동에 들어갔다. 큐리오시티는 화성 표면에서 토양의 화학조성, 동위원소 비율과 광물학적인 특성을 조사한다. 또 과거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한 환경이었는지도 알아볼 예정이다. 미국은 이번 로봇의 화성 착륙을 통해 우주기술의 확고한 선두주자임을 전 세계에 과시했다. 이번 큐리오시티 프로젝트에 참여한 인력은 총 7000명에 달해 고용 창출 효과도 상당한 것으로 보고 있다.
#큐리오시티 화성 표면 착륙
지난 6일 오후 2시21분(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에 있는 미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수십 명의 연구원들이 숨죽인 채 ‘큐리오시티’를 실은 탐사선이 보내오는 정보를 지켜보고 있었다. 22분께 “대기권에 진입했다”는 신호가 왔다. 화성 대기권을 통과하는 ‘공포의 7분’이 시작된 것이다. 섭씨 2100도의 고열에 큐리오시티가 손상을 입으면 탐사 준비에 쏟은 지난 8년과 25억달러(약 2조9000억원)는 날아가버린다.
다시 손에 땀을 쥐는 긴장 상태. 29분께 “낙하산이 펴졌다”는 목소리가 들렸다. 진입에 성공했다는 뜻이다. 간간이 박수 소리가 들렸다. 이때부터 고도 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 1㎞, 200m, 50m…. 고도 20m에 닿자 스카이 크레인이 큐리오시티를 줄에 매달아 내리기 시작했다. 예정 시간보다 1분 정도 늦은 32분께. “착륙했다”는 연구원들의 환호성과 박수가 곳곳에서 터졌다. 2분 뒤엔 큐리오시티가 찍은 사진 두 장이 도착했다. 화성의 지평선과 큐리오시티의 그림자가 담긴 화성 지표면 사진이었다.
“태양계에 인간 말고 다른 생명체가 있을까”라는 인류의 오랜 호기심을 풀어주기 위해 탐사로봇 큐리오시티가 이날 화성 표면에 성공적으로 도착했다. 지난해 11월 지구를 출발한 뒤 약 2억5000만㎞를 날아갔다.
큐리오시티는 900㎏으로 중형자동차 정도의 무게다. 이전에 화성을 탐사했던 6개의 로봇과 달리 자유자재로 늘어나는 로봇팔, 드릴, 레이저 등 첨단 장비를 갖췄다. 암석을 뚫어 안에 있는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최대 7m 밖에 있는 암석에 고출력 레이저를 쏘아 플라즈마를 형성하고 그 빛을 분광기로 측정해 성분을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는 스틸사진뿐 아니라 3D 이미지도 촬영이 가능하다. 태양전지가 아닌 별도의 플루토늄 에너지원을 갖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화성에서 생명체의 흔적 조사
화성에 착륙해 활동에 들어간 탐사로봇 큐리오시티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과거나 현재에 미생물체가 생존할 수 있는 조건을 갖췄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큐리오시티는 10개의 첨단 장비를 장착하고 있는데 그 중에는 바위에 레이저를 쏴 생명체의 구성 요소인 유기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지 분석할 수 있는 알파 입자X선 분광기가 포함돼 있다.
큐리오시티가 착륙한 게일 분화구 지역의 중앙에는 높이 5㎞의 ‘샤프산’이 있다. 샤프산의 지층들은 10억년 훨씬 이전부터 화성 환경의 기록을 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큐리오시티는 이들 지층을 하나씩 분석해 붉은 별 화성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파악하게 된다.
화성 궤도를 돌고 있는 위성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샤프산의 밑부분에서 점토와 황산염의 흔적이 발견됐다. 이 물질은 물이 있어야 생성되는 것이어서 과거 화성에 물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물과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큐리오시티는 과거나 현재에 물이 존재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샤프산의 밑부분을 파서 성분을 분석할 예정이다.
화성의 습한 시기와 건조한 시기에 형성된 샤프산 지층 간의 경계를 넘기 위해 큐리오시티는 지표면에서 700m 높이까지 올라가야 한다. 큐리오시티가 실제 이런 탐사 작업을 벌이기까지는 2주에서 한 달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큐리오시티가 화성의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큐리오시티가 토양 샘플을 내부에 설치된 장비에 넣어 분석하기까지는 한 달에서 두 달 정도가 소요되고, 샤프산을 향해 출발하기까지는 두 달에서 석 달이 걸릴 예정이다.
#고용창출 효과도'톡톡'
큐리오시티의 성공적인 화성 착륙으로 우주 프로젝트의 고용 창출효과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웹스터 NASA 대변인은 7일 “현재 큐리오시티 프로젝트에 직·간접적으로 종사하고 있는 인력 규모는 약 700명이지만 지금까지 8년간 계획이 진행되면서 약 7000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냈다”고 밝혔다.
큐리오시티 프로젝트에 투입된 예산 규모는 총 25억달러(약 2조8200억원)다. NASA의 연구개발진과 전문인력들뿐만 아니라 계약을 체결한 항공우주·방위산업체들에도 고용효과가 미친다. 웹스터 대변인은 “사람들은 화성 탐사계획에 얼마가 쓰였는지 궁금해하지만 그 돈은 화성이 아닌 지구에서 쓰였다”고 강조했다. 큐리오시티 프로젝트의 예산은 탐사가 이어지는 2년 동안 계속 쓰이게 된다.
김동현 한국경제신문 기자 3code@hankyung.com
#큐리오시티 화성 표면 착륙
지난 6일 오후 2시21분(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에 있는 미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수십 명의 연구원들이 숨죽인 채 ‘큐리오시티’를 실은 탐사선이 보내오는 정보를 지켜보고 있었다. 22분께 “대기권에 진입했다”는 신호가 왔다. 화성 대기권을 통과하는 ‘공포의 7분’이 시작된 것이다. 섭씨 2100도의 고열에 큐리오시티가 손상을 입으면 탐사 준비에 쏟은 지난 8년과 25억달러(약 2조9000억원)는 날아가버린다.
다시 손에 땀을 쥐는 긴장 상태. 29분께 “낙하산이 펴졌다”는 목소리가 들렸다. 진입에 성공했다는 뜻이다. 간간이 박수 소리가 들렸다. 이때부터 고도 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 1㎞, 200m, 50m…. 고도 20m에 닿자 스카이 크레인이 큐리오시티를 줄에 매달아 내리기 시작했다. 예정 시간보다 1분 정도 늦은 32분께. “착륙했다”는 연구원들의 환호성과 박수가 곳곳에서 터졌다. 2분 뒤엔 큐리오시티가 찍은 사진 두 장이 도착했다. 화성의 지평선과 큐리오시티의 그림자가 담긴 화성 지표면 사진이었다.
“태양계에 인간 말고 다른 생명체가 있을까”라는 인류의 오랜 호기심을 풀어주기 위해 탐사로봇 큐리오시티가 이날 화성 표면에 성공적으로 도착했다. 지난해 11월 지구를 출발한 뒤 약 2억5000만㎞를 날아갔다.
큐리오시티는 900㎏으로 중형자동차 정도의 무게다. 이전에 화성을 탐사했던 6개의 로봇과 달리 자유자재로 늘어나는 로봇팔, 드릴, 레이저 등 첨단 장비를 갖췄다. 암석을 뚫어 안에 있는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최대 7m 밖에 있는 암석에 고출력 레이저를 쏘아 플라즈마를 형성하고 그 빛을 분광기로 측정해 성분을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는 스틸사진뿐 아니라 3D 이미지도 촬영이 가능하다. 태양전지가 아닌 별도의 플루토늄 에너지원을 갖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화성에서 생명체의 흔적 조사
화성에 착륙해 활동에 들어간 탐사로봇 큐리오시티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과거나 현재에 미생물체가 생존할 수 있는 조건을 갖췄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큐리오시티는 10개의 첨단 장비를 장착하고 있는데 그 중에는 바위에 레이저를 쏴 생명체의 구성 요소인 유기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지 분석할 수 있는 알파 입자X선 분광기가 포함돼 있다.
큐리오시티가 착륙한 게일 분화구 지역의 중앙에는 높이 5㎞의 ‘샤프산’이 있다. 샤프산의 지층들은 10억년 훨씬 이전부터 화성 환경의 기록을 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큐리오시티는 이들 지층을 하나씩 분석해 붉은 별 화성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파악하게 된다.
화성 궤도를 돌고 있는 위성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샤프산의 밑부분에서 점토와 황산염의 흔적이 발견됐다. 이 물질은 물이 있어야 생성되는 것이어서 과거 화성에 물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물과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큐리오시티는 과거나 현재에 물이 존재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샤프산의 밑부분을 파서 성분을 분석할 예정이다.
화성의 습한 시기와 건조한 시기에 형성된 샤프산 지층 간의 경계를 넘기 위해 큐리오시티는 지표면에서 700m 높이까지 올라가야 한다. 큐리오시티가 실제 이런 탐사 작업을 벌이기까지는 2주에서 한 달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큐리오시티가 화성의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큐리오시티가 토양 샘플을 내부에 설치된 장비에 넣어 분석하기까지는 한 달에서 두 달 정도가 소요되고, 샤프산을 향해 출발하기까지는 두 달에서 석 달이 걸릴 예정이다.
#고용창출 효과도'톡톡'
큐리오시티의 성공적인 화성 착륙으로 우주 프로젝트의 고용 창출효과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웹스터 NASA 대변인은 7일 “현재 큐리오시티 프로젝트에 직·간접적으로 종사하고 있는 인력 규모는 약 700명이지만 지금까지 8년간 계획이 진행되면서 약 7000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냈다”고 밝혔다.
큐리오시티 프로젝트에 투입된 예산 규모는 총 25억달러(약 2조8200억원)다. NASA의 연구개발진과 전문인력들뿐만 아니라 계약을 체결한 항공우주·방위산업체들에도 고용효과가 미친다. 웹스터 대변인은 “사람들은 화성 탐사계획에 얼마가 쓰였는지 궁금해하지만 그 돈은 화성이 아닌 지구에서 쓰였다”고 강조했다. 큐리오시티 프로젝트의 예산은 탐사가 이어지는 2년 동안 계속 쓰이게 된다.
김동현 한국경제신문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