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부문 20개·고교 21개팀…초·중대상 주니어 테샛도 6개팀
"취업·대입에 도움" 인식 확산…"실물경제 보는 시야도 넓혀줘"
[대학·취업문 여는 한경 TESAT] 테샛 동아리 대항전 후끈…사상 최대 47개팀 참가
한양대 경제금융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이상철 씨는 요즘 한국경제신문이 시행하는 경제이해력검증시험인 테샛(TESAT) 공부에 한창이다. 학과 친구 4명과 함께 지난달부터 스터디 모임을 결성해 ‘진현조’라는 이름으로 동아리 대항전에 참가했다. 이씨는 “동아리 대항전에 참가하면 동기 부여가 더 될 것 같아서 신청했다”고 말했다. 이씨는 친구들과 기출문제를 풀면서 어려운 문제를 함께 토론하고 있다. 이씨는 이번 시험에서 최고 등급인 S급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는 “은행·증권사 등 금융계에서 테샛 고득점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며 “최근 금융권 입사에 성공한 학과 선배가 S급을 받은 게 면접관에게 크게 어필했다고 하더라”고 설명했다.

오는 19일 치러지는 제16회 테샛의 동아리 대항전이 치열하다. 지난 7일 현재 동아리 대항전 참가를 신청한 동아리는 대학 부문 20개 팀, 고교 부문 21개 팀에 달한다.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주니어 테샛도 6개 팀이 참가를 신청했다. 이번 테샛 동아리 대항전 참가 팀은 총 47곳으로 사상 최대다.

이같이 참여 동아리가 늘어난 이유는 테샛이 경제지력을 정량화해 보여줄 수 있어 취업과 대입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확산된 덕분으로 풀이된다. ‘YEcon’이란 이름으로 참여한 연세대 정기영 씨(경제·4)는 “경제이론 기초를 점검하는 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시사경제 분야는 실물 경제를 보는 시야를 넓혀준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정씨는 현재 금융감독위원회와 한국은행 시험을 같이 준비하고 있다. ‘돈우’라는 이름으로 동아리 대항전에 참가한 서울대 최현화 씨(경제·4)는 “경제학뿐만 아니라 금융이나 경영 관련 내용도 많아서 폭넓게 공부할 수 있어 좋다”며 “이번에 동아리 대항전 1등 상금이 300만원으로 대폭 늘었다는데 꼭 입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테샛에는 투자 관련 동아리들이 대거 참여했다. 한동대 증권동아리 ‘청지기투자학회’로 참가한 이재준 씨(경제경영·4)는 “투자 결정에서 주식이나 기업 분석뿐만 아니라 거시 경제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테샛 응시가 관련 공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립대 ‘증권연구회’ 소속 이동규 씨(통계·3)도 “테샛을 통해 경제 시사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어 동아리 활동에 큰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경희대 금융경제분석학회 ‘KECOBUGS’, 상명대 부동산연구모임 ‘S.E.R’도 동아리 대항전에 참여했다.

민족사관고, 과천외고, 목동고, 해성국제컨벤션고 등 고교 동아리들도 대거 참여했다. 공주 한일고 2학년에 재학 중인 김지훈 군은 “상경계 학과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어서 오래전부터 테샛을 준비해왔다”며 “기출문제집을 풀고 신문 기사를 읽으며 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영동고 2학년 최현수 군은 “조금 어렵지만 공부를 할수록 여러모로 도움이 되는 시험”이라며 “고교 경제논술신문인 ‘생글생글’을 샅샅이 읽으며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시험에 특히 고교생 참가자가 많은 이유는 테샛이 명문대 상경계에 진학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자격증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대치동에서 경제 전문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문모씨(45)는 “학부모들로부터 의뢰가 들어와서 6월부터 테샛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며 “상경계 진학을 위해 공부를 했다는 사실을 검증할 수 있는 스펙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특강 의뢰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 문씨는 “서울대를 목표로 하는 최상위권 학생들을 중심으로 외고 특목고뿐만 아니라 일반고까지 이런 인식이 퍼지고 있다”며 “생활기록부에 테샛 등급 기재가 가능해지면서 응시 학생들은 앞으로도 꾸준히 늘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학생과 초등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주니어 테샛도 동아리 대항전 참가가 늘었다. 3회 주니어테샛 동아리 대항전 참가팀은 서울 신도중 ‘나눔경제’, 서울지역 연합 ‘EconoMin’, 부산지역 연합 ‘주머니’, 광주지역 연합 ‘솔로몬 지혜’ 등 6곳에 달한다.

조귀동 기자 claymo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