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유럽 등 세계 각국 공적 자금 투입액 '눈덩이'…결국 가계에 큰 부담
부실 금융회사에 대한 세계 각국의 공적자금(구제금융) 투입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미국과 유럽 각국이 금융사에 투입한 공적자금은 100조엔(약 1조달러 · 160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4일 보도했다.
이는 일본 정부가 1990년대 장기불황 당시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쏟아부은 12조엔의 8배에 달하는 규모다.
금융사의 손실 확대로 공적자금 투입액은 앞으로 더 불어날 가능성이 높아 각국의 재정 압박 요인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
국가별 공적자금 투입액을 보면 미국이 7650억달러(예정분 포함)로 가장 많았다.
미 정부는 지난 2일 추가 구제금융을 결정한 아메리칸인터내셔날그룹(AIG)과 씨티그룹 등 총 400여개 금융회사에 공적자금을 지원했다.
유럽에서도 공적자금 투입액은 약 1600억달러에 달했다.
영국은 RBS 등 3개 은행에 370억달러, 독일은 코메르츠은행에 145억달러를 투입했다.
프랑스도 BNP파리바 등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공적자금 투입으로 인한 정부지출 확대는 재정 악화 요인이 된다.
또 자금조달을 위해 국채 발행 증가를 가져와 장기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공적자금을 투입한 금융사들이 부실해져 손실이 발생할 경우 결국 국민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인한 한국경제신문 기자 janus@hankyung.com
- 공적자금은 결국 국민의 세금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공적자금을 마련하기위해 국채를 발행한다면 미래에 세금을 많이 내야할 젊은세대와 청소년 세대들의 몫입니다.
부실 금융회사에 대한 세계 각국의 공적자금(구제금융) 투입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미국과 유럽 각국이 금융사에 투입한 공적자금은 100조엔(약 1조달러 · 160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4일 보도했다.
이는 일본 정부가 1990년대 장기불황 당시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쏟아부은 12조엔의 8배에 달하는 규모다.
금융사의 손실 확대로 공적자금 투입액은 앞으로 더 불어날 가능성이 높아 각국의 재정 압박 요인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
국가별 공적자금 투입액을 보면 미국이 7650억달러(예정분 포함)로 가장 많았다.
미 정부는 지난 2일 추가 구제금융을 결정한 아메리칸인터내셔날그룹(AIG)과 씨티그룹 등 총 400여개 금융회사에 공적자금을 지원했다.
유럽에서도 공적자금 투입액은 약 1600억달러에 달했다.
영국은 RBS 등 3개 은행에 370억달러, 독일은 코메르츠은행에 145억달러를 투입했다.
프랑스도 BNP파리바 등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공적자금 투입으로 인한 정부지출 확대는 재정 악화 요인이 된다.
또 자금조달을 위해 국채 발행 증가를 가져와 장기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공적자금을 투입한 금융사들이 부실해져 손실이 발생할 경우 결국 국민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인한 한국경제신문 기자 janus@hankyung.com
- 공적자금은 결국 국민의 세금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공적자금을 마련하기위해 국채를 발행한다면 미래에 세금을 많이 내야할 젊은세대와 청소년 세대들의 몫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