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이 동양보다 우월하다는 편견이 오리엔탈리즘을 낳았다”

⊙ 왜 이 책을 읽어야 하는가?


<사례1> 2006년 3월부터 서울시내 모든 초중학교로 확대 운영된 방과후 학교제도.

갑씨의 아들이 다니는 서울 ○○중학교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에 원어민 영어강사가 초빙된다고 한다.

학교 운영위원인 갑씨는 공고를 통해 미리 지원한 원어민 영어강사들을 뽑는 회의에 참가했다.

학교운영위원회는 서류전형을 통해 최종 두 명을 추렸다.

A는 국적은 미국이고 남성 백인이며 그리 유명하지 않은 4년제 대학을 졸업했고 전공은 역사학이다.

B 역시 국적은 미국,그러나 남성 흑인이며,유명한 4년제 대학에서 영어교육학을 전공하고 석사자격증까지 있다.

갑씨를 비롯한 학교운영위원들은 고민에 빠졌다.

실력으로 보자면 당연히 B가 나은데,흑인이라는 점이 영 걸린다.

왠지 원어민 영어강사라면 파란 눈의 백인이 가르쳐야 되는 것 같기 때문이다.

당신이라면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영어 광풍이 언제나 부는 대한민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원어민 영어 강사들의 선호도는 국적보다 피부색에,실력과 경력보다도 피부색에 우선하는 경향이 짙다.

흑인보다는 백인,재미교포보다도 백인을 더 선호하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사례2> 몇 년전 서울 시내에서 한 사건이 벌어졌다.

술에 취한 취객이 옆 테이블에서 술을 마시고 있던 동남아시아 근로자들과 시비가 붙은 것이었다.

취객이 시비를 건 이유는 한국에 와서 한국에서 돈을 벌어가면,한국어를 열심히 배울 생각을 해야지 왜 자기네들 말로 시끄럽게 떠드냐는 것이었다.

만약 옆 테이블의 사람들이 한국에 근로 중인 백인들이었다면 어땠을까?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왠지 동남아시아 사람들보다는 백인들이 우월해 보이고,심지어 우리보다도 백인들이 나아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한 대답을 1935년 팔레스타인 예루살렘에서 태어난 영문학자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으로부터 찾을 수 있다.

⊙ 에드워드 사이드와 오리엔탈리즘

[실전 고전읽기] ⑥ 에드워드 W.사이드「오리엔탈리즘」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1935~2003)는 현재 참혹한 사태가 일어나고 있는 예루살렘,팔레스타인 자치지구에서 태어났다.

1948년 그가 살던 예루살렘이 이스라엘의 수도로 강점되자 이집트의 카이로로 이주한 뒤 미국에서 건너가 하버드대학에서 학위를 받고 컬럼비아대학의 석좌교수로 활동한다.

그는 1978년 오리엔탈리즘이라는 명저를 통해 서구사회가 창출해낸 동양에 대한 오랜 편견과 허위의식을 드러내게 된다.

그렇다면 사이드가 말하는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은 무엇인가.

그의 저서 오리엔탈리즘 '1부 오리엔탈리즘의 범위'에서,그는 "오리엔탈리즘은 서양이 동양에 관계하는 방식이며,'동양'과 '서양'이라고 하는 것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존재론적이자 인식론적인 구별에 근거한 하나의 사고 방식"이자,"동양을 지배하고 재구성하며 위압하기 위한 서양의 스타일"이면서 "동양(실제의 동양)의 동양화(이념적 허상으로서의 동양만들기)라는 서구적 담론체계"라고 말한다.

쉽게 말해 서양과 동양을 분리시킨 뒤 살아있는 동양이 아닌,서구인들의 머리 속의 동양을 만들고 이를 통해 서양이 동양보다 우월하다는 사고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 관련기출문제 (1) 2002년 한양대 정시 논술

[문제] 글 (가- 에드워드 사이드,오리엔탈리즘),(나-외국인 노동자 실태 보고서)는 서구 문화 및 외국인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글 (다)는 서구의 식민주의가 비서구 식민지에 끼친 영향에 대한 글이다.

(다)에 제시된 개념을 활용하여 (가),(나)에 드러난 태도를 분석하고,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인적 · 사회적 방안을 논술하시오.

해설

이러한 오리엔탈리즘은 18세기 말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자본력과 무력을 갖춘 서구가 식민지 지배를 본격적으로 착수하면서부터 가속화된다.

바로 그 시발점을 사이드는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으로 본다.

이 시기부터 동서양의 관계는 급격히 유럽 중심적으로 기울어지기 시작했다.

그 후 원활한 식민지 지배를 위해 동양에 관한 체계적인 지식이 유럽에서 증대되기 시작했다는 점,식민지 지배를 통해 획득한 서구의 우월감 형성을 오리엔탈리즘의 배경이라고 사이드는 말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생성되기 시작한 오리엔탈리즘은 동양의 열등함을 상징하는 기호로 사용되었고,그것은 점차로 거부하기 힘든 학문 형태의 지식과 권력으로 발전되었다.

동양의 신비로움,위대함은 사실은 수사적인 겉치레에 불과할 뿐,서양은 동양의 지배자,교화자,그리고 우수인종이라는 스스로의 이미지를 갖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오리엔탈리즘은 제국주의,인종주의 등의 배타적인 경향을 띠면서 동양의 이미지를 왜곡하게 된다.

즉 동양인은 후진적,퇴행적,비문명적인 요소로 가득한 비정상적이고 비이성적인 존재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굳어지게 만든 것이다.

결국 서양의 지리적 확장과 함께 오리엔탈리즘은 식민지주의,인종차별주의,자민족중심주의 확산에 일조해오게 된 것이다.

☞ 관련기출문제 (2) 2005년 서울대 수시 논술

제시문 (가- 훗설,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과 제시문(나- 에드워드 사이드,오리엔탈리즘)은 지식인 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진단할 때 참고가 되는 글이다.


제시문 각각의 문제의식을 분석하고 평가하시오.

이를 토대로 학문의 길로 들어서는 학생의 관점에서 한국의 지식인이 가져야 할 바람직한 탐구 자세에 대해,자신의 경험이나 구체적인 예를 활용해 논술하시오.

⊙ 내 안에 서양 있다?

오리엔탈리즘의 가장 큰 문제는 동양인들이 서구인들의 왜곡된 사고방식을 내면화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오랜 식민지 지배를 통해 동양인들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상실하게 되거나 혹은 서구 문화에 영향을 지나치게 크게 받은 나머지,오리엔탈리즘을 자기의 것으로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여 언어,행동,사고방식으로 표출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언어로 사고하고,자신이 사고하고 믿는 대로 행동한다는 점에서 이런 문제가 더욱 큰 문제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멀리 갈 필요 없이,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언어습관 속에서 이러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이를테면 '원서(原書)'라고 말할 때,그것은 보통은 영어로 된 교재를 말한다.

하지만 사전적인 의미에서 원서는 번역되기 이전의 언어로 쓰여진 책을 의미한다.

왜 우리는 영어로 쓰여진 책을 굳이 원서라고 부르는가.

아프리카어로 쓰여진 책은 원서가 될 수 없는가?

또 다른 예로 '국악(國樂)'이라는 용어 역시 마찬가지이다.

우리가 부르는 국악이라는 것과 서양인들이 부르는 국악이라는 대상은 명확히 일치한다.

다시 말해 과거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 음악만을 국악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적인 아이디어와 한국적인 정서를 반영해 만들어진 음악을 국악,즉 한국의 음악이라고 부를 수는 없는 것일까?

마찬가지 논리로 서두에서 제시한 두 가지의 사례 역시 동양인들의 '오리엔탈리즘 내면화'가 이루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인간 정신의 왜곡을 가져오게 되며,왜곡된 사고방식으로 인한 잘못된 행동까지 초래하게 된다.

더 나아가 타인을 타인으로서 이해할 수 없게 되며,타인을 타인으로서 이해할 수 없게 된다면 인간은 타인에 대해 폭력적이 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사이드는 동양이 서구보다 우월하다고 주장(옥시덴탈리즘 · Occidentalism)하는 것이 아니라,동양과 서양이라는 거대 담론 자체를 소멸시켜 버리자고 말한다.

더 나아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지배·피지배 관계에서 드러나는 인간 정신의 왜곡 현상을 정직하게 비판하고 고쳐나가자고 주장한다.

이러한 사이드의 주장을 토대로 우리는 스스로 반성해 봐야 할 것이다.

서구, 특히 미국의 주장은 정당하고 합리적인 것이며,그들의 정책은 본받고 따라가야 한다는 사고가 우리 몸과 마음을 뺏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

☞ 관련기출문제 (3) 2008년 서강대 2-1 수시 논술

제시문 (가-김광규,도다리를 먹으며),(나-니체,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다-수전 손택,타인의 고통),(라-에드워드 사이드,오리엔탈리즘)은 모두 오늘날 인류가 처한 현실을 인간과 언어 사이의 관계라는 차원에서 해석하고 있다.


그들의 공통점이 무엇인지 밝히고 그것을 토대로 네 편의 글이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서술하라.

그런 다음 그러한 특징적 양상을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를 현실에서 찾아 구체적으로 설명하라.

이용준 S · 논술 선임연구원 leroy7@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