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며…

학교에서 논술 지도를 하다 보면 학생들로부터 자주 듣게 되는 말 중 하나가 "선생님! 전 말로 하는 건 되는데 글로 옮겨 쓰는 게 잘 안 돼요"라는 이야기다.

특히 필자는 여고에 몸담고 있다 보니,여학생들의 특성상 토론은 곧잘 하면서도 토론한 내용에 대해 글로 써 보라고 주문하면 다들 어쩔 줄 모른다.

왜 그럴까? 이론적으론 토론 후 글쓰기가 쉽게 연결될 수 있을 것 같은데 의외로 현장에선 쉽지 않다.

그래서 한동안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하다 생각한 것이 바로 오늘 소개할 생활 논술의 세 번째 방법인 자신의 '블로그(blog) 운영' 이다.

블로그(blog)란 누구나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는 웹(Web) 사이트를 말한다.

원래 블로그(blog)는 웹(Web)과 로그(Log)를 줄인 말로 1997년 미국에서 등장했다.

새로 올리는 글이 맨 위로 올라가는 일지 형식으로 되어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특징을 한마디로 말하면,일종의 1인 미디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일기 칼럼 기사 등을 자유롭게 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출판·개인방송·커뮤니티까지 다양한 형태를 취하기 때문이다.

필자도 개인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blog)가 두 개 있는데,그 중 논술 관련 블로그(blog)를 하나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필자는 작년 2월부터 '투엔디(Nonsul,NIE,Debate) 연구소'라는 이름으로 개인 블로그(blog)를 운영하고 있는데,그 계기는 한국언론재단 소속의 '한국언론교육원'에서 마련한 '2006학년도 겨울 미디어교육 교사연수'를 수강하면서 알게 된 한 강사 덕분이다.

그 분의 강의 대부분은 자신의 블로그(blog)를 보여주면서 진행되었는데,미디어를 활용한 논술 지도의 실제를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여기에 감화를 받아서 만든 블로그(blog)가 지금 현재 운영 중인 '투엔디(Nonsul,NIE,Debate) 연구소'이다.

블로그(blog) 이름은 개인적으로 '논술,NIE,토론' 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앞으로 논술 관련 수업을 하거나 글을 쓸 때 필요한 자료를 미리 모아둔다는 의미로 붙인 것이다.

처음엔 다른 블로그(blog)를 방문하여 좋은 글이 있으면 퍼오는 정도에 머물렀는데,나중엔 남의 글이 아닌 내 글을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최근엔 내가 쓴 글들도 하나씩 올리고 있다.

아직까진 내 글을 올리기보다 논술 관련 기사나 자료 등을 올리는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앞으로는 칼럼 형태의 글을 다양하게 써 볼 계획이다.

['스마일 쌤'의 생활속에 배우는 논술] 4. 블로그(blog), 나만의 논술 연습장


⊙ 블로그(blog),나만의 논술 연습장

흔히 블로그(blog)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그 하나는 주제가 있는 블로그(blog)이고 나머지 하나는 주제가 없는 블로그(blog)이다.

여기서는 논술과 관련하여 주로 '주제가 있는 블로그(blog)'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진행하고자 한다.

물론 처음 블로그(blog)를 시작할 땐 자신의 일상생활에 대한 이야기나 관심 사항에 대한 글 또는 사진,UCC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정 기간이 지나면 특정 주제에 대한 자신의 글쓰기를 해보길 권한다.

이때 글의 형식은 일기체가 되어도 좋고,수필이나 감상문 등 생활문의 형태도 자연스럽다.

그러다 일정 단계에 도달하면 논술과 유사한 신문 칼럼이나 사설 같은 자신의 주장이 담긴 글을 써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다음은 위에서 말한 블로그(blog)의 주요 기능을 다섯 가지로 나눠서 생각해본 것이다.

첫째,일기처럼 날짜별로 구성되어 있어 일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손쉽게 기록할 수 있다.

둘째,완벽한 자료 관리가 가능하며 데이터베이스(Data-base) 구축에 유리하다.

셋째,일반 커뮤니티의 게시판과 달리 콘텐츠 중심으로 구성되어 더 많은 커뮤니티 기능을 할 수 있다.

넷째,자신이 작성한 콘텐츠를 중심으로 이웃을 만들어 갈 수 있으며,이를 통해 광범위한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다.

다섯째,웹 브라우저(Browser)상에서 실시간으로 콘텐츠의 내용을 볼 수 있다.

이 중 논술과 관련하여 필자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첫째와 넷째 기능이다.

첫째에서 말한 일기의 기능은 논술에 대한 부담감 없이 글쓰기를 평소에 연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영상세대로 대변되는 요즘 청소년들의 특성을 반영한다면 반드시 글이 아니라도 사진이나 UCC 등의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블로그를 꾸며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매일 혹은 매주 특정 주제를 자신이 직접 정해서 간단히 일기 형식으로 자신의 블로그(blog)에 기록해두면 논술이 그리 어렵게만 느껴지진 않을 것이다.

그런 후 넷째 기능에서 말한 것처럼 자신이 작성한 콘텐츠를 중심으로 이웃을 만들어 갈 수 있으며 또한 내가 쓴 글에 대한 블로거(bloger)들의 댓글을 참고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도 있을 것이다.

나중에 내공이 쌓이게 되면 자신의 관심 영역에 대한 칼럼을 주기적으로 써 봐도 좋을 것이다.

혹시 아는가? 내 블로그(blog)를 방문하는 블로거(bloger) 사이에서 내가 쓴 글들이 인기를 얻게 되면,출판사에서 책을 내자는 제의가 들어올지 말이다.

다음은 작년 7월 조선일보 '맛있는 논술'(2007년 7월12일자)에 실린 서울 장안중의 블로그(blog) 활용 논술수업의 사례이다.

이 학교에서는 작년 초부터 논술 학습을 위해 만든 사이트 '장안 논술 사랑방'을 운영하고 있다.

장안중 학생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이 사이트는 논술에 대한 정보들로 가득하다.

논술방,독서방,토론방으로 구성된 코너마다 담당 선생님이 매주 글을 업데이트 한다.

학생들은 누구나 사이트에 가입한 후 개인별 블로그(blog)를 만들어 글을 자유롭게 올릴 수 있다.

현재 전교생 1200명 중 1000여명이 블로그(blog)를 만들었다.

학생들이 글을 올리면 선생님이 일일이 첨삭을 댓글로 달아준다.

인터넷상에서 학생 개개인에게 맞춤형 논술지도를 해주는 것이다.

실제로 학생들의 참여와 교사들의 첨삭이 제대로 이루어지기만 한다면 큰 돈 들이지 않고도 논술을 배워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지금 당장 우리도 시도해보면 어떨까?

학교 차원에서 관련 사이트를 구축하는 데 여건상 어려움이 있다면,논술 수업을 하시는 선생님들이 수강생들에게 자신의 블로그(blog)를 만들게 해서 미리 주제를 정해준 후 과제로 글을 쓰게 하여 서로 방문하고 댓글을 달아준다면 어떨까?

이 밖에도 블로그(blog)를 활용한 글쓰기 방법은 얼마든지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 마무리하며…

이상에서 '블로그(blog)를 활용한 글쓰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리는 지금 블로그(blog) 시대에 살아가고 있다.

블로그(blog)를 흔히 '1인 미디어'로 표현하기도 한다.

블로그(blog)는 기본적으로 개인 공간이다.

이곳에서는 개인이 모두 주체이다.

그러므로 이곳에서만은 우리가 주인공이 되는 셈이다.

이 공간에서는 자신의 사생활이나 관심 주제에 대해 얼마든지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그래서 요즘 학생들에게 인기다.

싸이월드 미니홈피나 네이버 블로그가 대표적인데,여기서는 실명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불특정다수가 모인 커뮤니티보다 신뢰가 높다.

대개 감동적인 글이나 유용한 정보는 삽시간에 수백만개의 블로그(blog)로 퍼지기도 한다.

논술도 궁극적으로는 자신을 표현하는 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우리는 논술하면 원고지에 써야 하는 딱딱하고 어려운 글 정도로만 생각해왔다.

하지만 블로그(blog)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현실을 고려하여 자신만의 블로그(blog)를 운영해본다면 글쓰기에 대한 부담이 사라지지 않을까?

거듭 강조하지만 논술은 결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 장기간의 레이스다.

따라서 평소 다양한 방법으로 글을 읽고,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연습이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자신의 '블로그(blog) 운영'은 평소 다른 사람의 다양한 글을 읽고 좋은 글을 스크랩하여 보관해둘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유롭게 내가 쓰고 싶은 글을 언제든지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마디로 블로그(blog)는 나만의 훌륭한 논술 연습장이 되는 것이다.

이인수 서울 용화여고 교사 smile906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