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독자님 안녕하세요.
삼복더위가 이어지는 7월 마지막 주입니다.
장마가 아직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 주초쯤이면 빗방울이 그치고 무더위가 본격 시작되겠지요.
한여름 건강하게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생글생글은 다음 주 8월4일자를 발행하지 않습니다.
여름방학 휴가를 가는 학교가 많아서 8월 첫째주를 쉬기로 했습니다.
다음 157호는 8월11일자로 찾아 뵙겠습니다.
2주 동안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이번 주 생글 커버스토리는 독도 문제를 다뤘습니다.
돌이켜 보면 일본은 2~3년마다 한 번씩 독도 문제를 끄집어내고 있습니다.
독도가 어떤 근거에 의해 우리 땅인지를 이번 기회에 찬찬히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일본 사회에서도 독도가 자기 영토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이들을 만나면 역사적으로 독도가 한국땅이라는 점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지난 호에 말씀드린 대로 생글은 선생님 필자를 구합니다.
생글생글 17면 교사 논술 특강면에 글을 쓰실 선생님은 이메일(nie@hankyung.com)로 연락 주십시오.
주제는 학생들에게 유익하다면 어떤 내용도 괜찮습니다.
물론 소정의 원고료도 지급합니다.
선생님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
삼복더위가 이어지는 7월 마지막 주입니다.
장마가 아직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 주초쯤이면 빗방울이 그치고 무더위가 본격 시작되겠지요.
한여름 건강하게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생글생글은 다음 주 8월4일자를 발행하지 않습니다.
여름방학 휴가를 가는 학교가 많아서 8월 첫째주를 쉬기로 했습니다.
다음 157호는 8월11일자로 찾아 뵙겠습니다.
2주 동안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이번 주 생글 커버스토리는 독도 문제를 다뤘습니다.
돌이켜 보면 일본은 2~3년마다 한 번씩 독도 문제를 끄집어내고 있습니다.
독도가 어떤 근거에 의해 우리 땅인지를 이번 기회에 찬찬히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일본 사회에서도 독도가 자기 영토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이들을 만나면 역사적으로 독도가 한국땅이라는 점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지난 호에 말씀드린 대로 생글은 선생님 필자를 구합니다.
생글생글 17면 교사 논술 특강면에 글을 쓰실 선생님은 이메일(nie@hankyung.com)로 연락 주십시오.
주제는 학생들에게 유익하다면 어떤 내용도 괜찮습니다.
물론 소정의 원고료도 지급합니다.
선생님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