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에게 교육,정치 및 경제적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출산율을 낮출 수 있다.

대부분의 사회에서 여성이 교육을 받을수록 아이를 적게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면 이집트에서는 교육을 전혀 받지 못한 여성의 56%가 10대에 아이를 낳았는데,초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여성의 경우에는 5%만이 10대에 어머니가 되었다고 한다.

"(Nancy E. Riley, "Gender, Power and Population Change",1997)

제3세계 여성운동의 핵심 아젠다는 여성교육이다.

여성교육은 여성을 출산으로부터 해방시키고 아동의 성장환경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여성의 사회활동을 장려하여 사회를 보다 개방적이고 민주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논리다.

이런 주장의 바탕에는 여성교육과 출산율이 서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증명하는 통계가 자리하고 있다.

한 인구통계(왼쪽 그림)는 여성교육과 출산율이 강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출산율이 비교적 높은 몇 개 나라를 선택해 보면 여성 교육수준에 따라 출산율이 확연하게 낮아지는 현상이 관찰된다.

예멘의 경우 학교를 전혀 다니지 않은 여성이 평생 7명 정도의 자녀를 출산하지만 초등학교를 졸업하면 4.6명,고등학교를 졸업하면 3명 정도만 출산한다.
[오태민의 마중물 논술] (33) 교육받은 여성은 아이를 더 낳을까 덜 낳을까?
[그림 2]는 중앙대가 발표한 모의논술 문제에 제시된 도표다.

OECD 국가들 내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출산율이 예상과 다른 패턴을 보여준다.

여성교육과 출산율처럼 일반적으로는 여성의 경제활동과 출산율은 반비례한다.

그러나 이미 저출산으로 진입한 개발국가들만을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은 미국이나 스웨덴의 출산율이 일본이나 한국처럼 여성들의 경제활동이 비교적 저조한 국가의 출산율보다 높다.

이 통계는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경제활동을 많이 할수록 출산율이 높아진다는 구성이 자연스럽지 않기 때문이다.

거꾸로 읽어보면 어떨까? 아이를 많이 낳으면 아무래도 소비 규모가 커진다.

이를 메우기 위해서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하다고 읽을 수 있다.

또 보이지 않는 변수를 상상할 수도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을 권장하는 사회분위기는 출산과 양육에 있어 여성이 부담하는 비용을 줄이는 방향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보육시설의 확충이나 출산시 회사로부터 받는 불이익은 적은 반면,국가나 사회로부터 지원을 얻는다면 출산 결정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이는 중앙대 측이 밝힌 해제와 일치한다.

중앙대의 해제는 양성평등이라는 요인이 경제활동도 늘리고 출산율도 높인다고 확정적으로 말하고 있다.

대학의 해제 수준을 벗어나지만 해당 국가들 사이의 GDP와 출산율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통계가 필요하다고 요구할 수도 있다.

양성평등이나 양육에 대한 사회적 비용은 어쩌면 GDP에 따라 움직일지 모른다.

이 경우 양성정책보다는 GDP를 높이는 것이 더 적합한 출산 장려정책이 된다.

이렇듯 대학이 출제하는 논술은 보이지 않은 요인을 활용해 상관관계를 읽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 고학력 기혼녀 출산확률 높다.

기혼 여성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출산확률이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김우영 과장은 23일 '여성의 출산과 경제활동 참가 결정요인 분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교육 수준이 높아질수록 여성의 결혼 확률은 낮아지지만 일단 결혼을 하면 고학력 여성의 출산이 증가하고 있다.

김 과장은 "여성의 교육 수준이 높으면 남편의 교육 수준이 높을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소득도 높아 출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며 "남편의 교육연수가 1년 늘어날 때마다 여성의 출산확률은 0.23%포인트씩 상승한다"고 추정했다.

(하략) (OO뉴스.8월23일)

여성이 교육받을수록 출산율이 낮아지는 경향은 이미 확인한 바다.

그러나 고학력 여성들이 일단 결혼하면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아이를 더 낳는 경향이 있다.

이 두 통계는 서로 충돌하지 않는다.

고학력 여성의 출산율이 평균적으로 낮은 이유는 이들이 결혼을 덜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단 결혼한 고학력 여성은 다른 조건이 같은 여성에 비해 아이를 더 낳는 경향이 있다.

기사에서 김 과장은 고학력 여성은 상대적으로 고학력 남성과 결혼하고 고학력 남성의 소득이 높아 출산율이 높다고 해석했다.

다른 해석도 가능하지 않을까? 또 어떤 해석은 기사의 설명보다 훨씬 명쾌하다.

가능한 해석을 스스로 찾아보고 명쾌한 해석이라는 판단이 서면 이메일(slowforest@naver.com)로 답을 보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