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를 알면 논술이 술술] 2. 공짜 점심은 없다…기회비용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There is no such a free lunch in economy)'

경제학자들이 기회비용 원리를 강조하면서 자주 인용해 속담처럼 회자되는 말이다. '공짜 점심(free lunch)'이란 개념은 미국 서부 개척시대 술집에서 술을 일정량 이상 마시는 단골에게 점심을 공짜로 주던 데서 유래했다. 하지만 바보가 아닌 다음에야 공짜로 먹은 점심값까지 술값에 포함돼 있음을 모를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내가 먹은 점심은 (나를 포함한 누군가가) 어떤 방식으로든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따른다. '공짜 점심'의 대가는 무료가 아니다. 상대적으로 비싸게 치러야 하는 술값이다. 선택의 대가는 단순히 구입 비용이 아니라 이로 인해 포기한 것의 가치, 즉 기회 비용이다. 이는 금전일 수도 있고 시간, 노력, 만족감일 수도 있다. 흥미로운 기회 비용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놀면서 시험성적 좋을 순 없나?

몇 해 전 유명 연예인이 다이어트 비디오를 찍으면서 지방 흡입술로 살을 뺀 사실이 드러나 큰 곤욕을 치렀다. 이 연예인은 자기 이익(날씬한 몸매, 비디오 판매)을 빨리 극대화하고 싶었지만 대가(운동,식이요법의 고통)를 치르긴 싫었던 모양이다.

이렇듯 하나를 선택해 편익을 누리려면 다른 것은 포기하거나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즉,선택에 따른 대가 또는 기회 비용이다. 예컨대 시험 전에 열심히 놀았다면 감수해야 할 대가는 성적 추락이다. 당장 돈을 펑펑 쓰면서 안락한 노후를 기대할 수 없고 선진국형 복지제도를 기대한다면 세금 부담이 늘어나는 것도 알아야 한다. 프로야구 선수가 동계 훈련을 게을리해 성적이 나빠지면 연봉 삭감을 감수해야 한다. 과소비, 게으름이란 선택의 대가를 치르는 것이다.

◆대포와 버터

「맨큐의 경제학」에선 기회 비용을 '대포와 버터(guns and butter)'로 설명했다. 국방(대포)에 돈을 더 쓸수록 생활 수준(버터)은 낮아진다는 얘기다. 그래서 경제학에서 기회 비용이란 '어떤 것을 얻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그 무엇의 가치'로 정의된다. 동시에 인간은 가장 편익이 크고 비용은 덜한 것을 선택하려는 경향(비용-편익의 원리)이 있다. 하지만 불행히도 현실에선 대가 없는 공짜 점심은 없다.

요즘 사회적으로 큰 걱정거리인 저출산도 따지고 보면 기회 비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예전 농경사회에서 자식은 노동력이었고 나중에 부모 봉양을 기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 자식은 비용 덩어리다. 치솟는 양육비, 사교육비 등의 직접적인 비용뿐 아니라 출산으로 인해 직장을 쉬게 될 경우 수입 감소(기회 비용)가 너무 크다는 점이다. 선진국일수록 출산율이 낮고 후진국일수록 높은 이유이기도 하다.

◆빌 게이츠도 하루는 24시간뿐

왜 기회 비용이 존재할까? 누구든 원하는 것을 다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시간은 누구에게나 하루 24시간뿐이다. 세계 최대 부호라는 빌 게이츠에게 주어진 시간은 한국의 고등학생과 똑같다. 게이츠의 연간 소득을 감안하면 잠시 동안 길거리에 떨어진 100달러짜리 지폐를 줍기 위해 허리를 굽히는 것조차 손해다. 또 미국에서 '배상법의 황제'로 알려진 변호사 조 저메일은 순자산만 10억달러가 넘고 시간당 800달러를 번다. 저메일은 자신의 유언장을 직접 작성하기보다 다른 변호사에게 맡기는 게 이익이다.(버냉키·프랭크 경제학 5쪽,38쪽)

미국 프로농구 스타인 코비 브라이언트는 기회 비용과 경제적 유인을 잘 이해한 인물이다. 그는 학업 성적도 우수하고 수학능력시험 점수도 좋았지만 대학에 가지 않고 NBA에 진출해 수백만 달러를 벌었다. 대학 진학 비용이 이득에 비해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맨큐의 경제학 7~8쪽)

◆기회 비용은 '가지 않은 길'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 '가지 않은 길(The Road Not Taken)'의 마지막 연을 들여다보자.

'먼 훗날에 나는 어디선가/한숨을 쉬며 이야기할 것입니다./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다고,/나는 사람이 적게 간 길을 택하였다고,/그리고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달라졌다고.'

「맨큐의 경제학」에선 경제학의 10가지 기본 원리를 제시하면서 제1원리로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제2원리로 '선택의 대가는 그것을 얻기 위해 포기한 그 무엇이다'를 꼽았다. 맨큐가 말한 경제학 제1, 2원리는 바로 '기회 비용(opportunity cost)'을 의미하는데, 프로스트의 시와 절묘하게 오버랩된다.

경제학과 문학(넓게는 인문학)의 만남! 바로 이 코너가 의도하는 목표 가운데 하나다. 인문학이 인간의 생각과 행동 그 자체를 연구하는 것이라면, 경제학은 인간의 생각과 행동을 돈으로 환산해 세상을 움직이는 숨은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어찌 통하지 않겠는가?

오형규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ohk@hankyung.com

-------------------------------------------------------

IT기업들이 '공짜 점심'을 주는 건 네트워크 효과 때문이다

[경제를 알면 논술이 술술] 2. 공짜 점심은 없다…기회비용
"왜 컴퓨터 제조업체들은 소프트웨어 값을 거의 받지 않으면서 1000달러 이상의 가치가 있는 소프트웨어를 포함시켜 컴퓨터를 파는가?"

'버냉키·프랭크 경제학'에 나오는 질문이다. 국내에서도 PC를 살 때 MS오피스(엑셀,워드,파워포인트)나 아래아한글 정도는 거저 준다. 또한 인터넷에는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는 프리웨어들이 널려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비가 만만찮을 텐데 왜 공짜로 줄까?

IT(정보기술) 분야에선 이렇게 '공짜 점심'을 주는 기업들이 많다. 소프트웨어 회사라면 '더 많은' 자사 제품 이용자를 확보하는 게 가장 중요한 경쟁우위 전략이기 때문이다. 이용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제품의 이용 가치가 높아지는 현상을 네트워크 효과라고 하는데 IT 제품들은 대부분 이러한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아래아한글 소프트웨어는 아래아한글 이용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이용 가치가 높아진다. 시장 개발 초기에 소프트웨어를 공짜 또는 거의 공짜에 가까운 가격으로 PC에 끼워 파는 것은 기업들이 이러한 효과를 보고 시장 지배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비용은 결국 소비자들이 부담하게 된다.

인터넷 포털들은 대용량 이메일을 개별 이용자들에게 공짜로 제공하고 있다. 더 많은 가입자를 확보해야 광고료 등 수입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포털 광고주들의 광고비는 결국 제품 가격에 전가되어 소비자들이 이메일 이용료를 부담하게 된다.

IT 기업이 주는 '공짜 점심'은 철저히 경제 원리에 근거한 것이다. 자사 제품이 경쟁 제품보다 많이 쓰여야 호환성과 구매의 편리성이 제고돼 더더욱 잘 팔리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IT 기업들은 기본적으로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와 '네트워크 외부성(network eternality)'을 추구한다. 생산 규모가 커질수록 제품의 평균 비용이 하락하고,제품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제품의 이용 가치가 높아지는 점을 들어 강력한 판매 촉진 정책을 사용하는 것이다. MS의 윈도는 초기 판매에서 앞서 수많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로 하여금 윈도에서 작동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도록 만들어 윈도의 이용 가치를 높였다. 그 결과 윈도는 PC 운영체계의 9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

IT 기업들은 자사 제품이 시장에서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기관에 의해 공인된 표준(de jure standard)이 아니라 시장에서 대다수 이용자가 쓰면서 자연스레 표준으로 정착되기를 원하는 것이다. 비디오 기술에서 베타 방식을 누른 VHS 방식, 휴대폰의 '천지인' 문자입력 방식 등이 시장에서 표준으로 자리 잡은 대표적인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