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Society and Its Enemies / 칼 R.포퍼(Karl popper)


다음 제시문의 요지(要旨)를 200자 이내로 쓰고,글쓴 이의 주장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제목을 붙여 2800자 정도(띄어쓰기 포함 ±200자 허용)로 논술하시오.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개인주의를 이기주의와 동일시하고 이타주의를 집단주의와 동일시하는데,이것은 낭만주의적 관념의 영향이다.

그러나 이런 생각은 인간이 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고유한 중요성을 어떻게 잘 드러낼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주요한 문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데 방해가 된다.

우리는 흔히 우리 자신을 넘어선 어떤 것,우리가 헌신할 수 있는 어떤 것,우리가 그것을 위해 희생해도 될 어떤 목적을 지향해야만 한다고 여기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따라서 그와 같은 어떤 것은 바로 '역사적 사명'을 가지고 임해야 할 집단적인 것임에 틀림없다고 결론 내린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희생하라는 말을 듣게 되며,동시에 그렇게 하면 훌륭한 거래를 한 것이라고 확신한다.

희생을 한다 하더라도 그 결과 명예와 명성을 얻게 된다는 말을 우리는 자주 듣는다.

우리는 역사의 무대에 등장하는 영웅,곧 역사의 '주역(主役)'이 될 것이요 작은 위험을 무릅쓴 대가로 큰 보상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극소수 사람들만의 가치가 인정되고 평범한 사람들은 버림받는 시대의 미심쩍은 도덕률이요,역사 교과서에 한 자리 차지할 기회를 가진 정치적 귀족이나 지적 귀족들의 도덕률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은 도저히 정의와 평등주의를 찬성하는 사람들의 도덕률일 수 없다.

역사적 명성이란 정의로운 것일 수 없는 것이요,극소수의 사람들만이 획득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들 못지않게 존귀한 무수한 사람들은 언제나 잊혀지게 될 것이다.

한층 고차적인 보상은 후대만이 줄 수 있다는 윤리적 교설이 눈앞의 보상을 찾으라고 가르치는 교설보다 아마 어떤 면에서 조금 우월하리라는 것은 인정해야 마땅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교설은 지금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에게는 성공과 보상을 거부하는 윤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런 윤리는 굳이 창안해 낼 필요도 없다.

그것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이미 기독교가 가르쳤던 것이다.

적어도 초창기 기독교는 그러했다.

그것은 다시 우리 시대에 와서 산업에서의 협업뿐만 아니라 학문 활동에서의 협업이 가르치는 바이기도 하다.

다행스럽게도 낭만적인 역사주의적 명성의 도덕률은 이제 쇠퇴의 길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무명 용사가 그것을 보여준다.

희생은 익명으로 이루어졌을 때 더 소중할 수 있다는 것을 우리는 깨닫기 시작했다.

우리의 윤리 교육도 이 길을 따라야만 한다.

우리는 자기의 일을 행하도록 배워야만 하고,우리가 자신을 희생할 때는 그 일 자체를 위해서이며,허구적인 '역사의 의미'에서 찾으려 해서는 안 된다.

우리의 정당성은 우리의 일에서,말하자면 우리가 하고 있는 일 자체에서 찾아야 마땅하며,허구적인 '역사의 의미'에서 찾으려 해서는 안 된다.

<칼 포퍼,'열린 사회와 그 적들'에서>

------------------------------------------------------------------

이 문제는 일반적인 대입논술 문제로서 예상되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간의 대비' 문제와 같이 단선적이고 평면적인 문제가 아니다.

'개인주의가 이기주의로 오해되어 비난받고 집단주의가 이타주의(혹은 역사주의)라는 미명 아래 권장되는 사태를 비판하며,건전한 개인주의적 삶을 옹호하는' 다소 복선적이고 입체적인 문제이다.

이 문제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제시문 전체를 통해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포괄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점이다.

제시문의 형식 단락은 다섯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문장에서는 제시문 전체의 핵심 주장과 관련한 문제가 제기됐고 바로 다음 단락과 연결시켜 읽어 보면 그 의미를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개인주의를 이기주의와,집단주의를 이타주의와 혼동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다시 말해 개인주의는 이기주의와,이타주의는 집단주의와 구분되어야 한다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두 번째 단락에서는 이러한 혼동 혹은 오해로 인해 이타주의의 미명하에 개인을 희생시키고 역사적 사명에 투신하라는 집단주의 윤리가 강요되어 왔음을 말하고 있다.

세 번째 단락에서는 집단주의적 윤리는 소수의 귀족을 위한 것이며 정의와 평등을 지향하는 사회에서는 통용될 수 없다는 비판을 펼치고 있고 네 번째 단락에서는 개인의 행위에 대한 보상을 역사적 의미에서 찾아서는 안 된다는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마지막 단락은 제시문 전체의 핵심적인 주장이 담겨 있는 부분이다.

개인의 행위에 대한 보상은 개인의 행위 그 자체에서 찾아야 한다는 사실이 언급되어 있다.

글 전체의 흐름을 이와 관련시켜 보면 '개인의 행위 그 자체에서 의미와 가치를 찾는 것이 정의와 평등의 시대,새로운 시대의 개인주의 내용이 될 수 있다'는 뜻으로 읽힐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시문의 최종적인 주장은 새로운 '개인주의' 윤리의 내용과 그것의 확립 이유라는 것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기초해서 첫 번째 요구 사항인 '요지 쓰기' 부분은 다음의 내용들을 기반으로 정리할 수 있다.


1.개인주의와 이기주의, 이타주의와 집단주의를 혼동하는 것에 대한 문제 제기

2.이러한 오해와 혼동이 집단의 이름으로 개인의 희생을 정당화해 왔으며 이는 정의와 평등을 추구하는 시대에 걸맞지 않다는 비판

3.따라서 새로운 시대에는 개인 행위의 의미를 행위 그 자체,개인 그 자체의 의미에서 찾는 개인주의 윤리가 필요하다는 주장


논술문의 본문 쓰기와 관련해서 가장 중요하게 강조해야 할 부분은 제시문의 논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제시문을 단지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대비' 문제로 단순화하여 논의를 전개하거나,그릇된 희생과 진정한 희생의 대비 등으로 이해하는 등 논점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글을 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논지를 정확히 이해했다면 자신의 주장을 펼침에 있어서 단순한 절충에 그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단순하게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장·단을 논하고 양자를 절충하는 것은 제대로 된 논술문이라 하기 어렵다.

제시된 지문의 주장에 동조하여 제시문의 내용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그대로 개인주의적 입장을 옹호하는 경우도 주의해야 한다.

제시문의 논지를 그대로 반복하거나 제시문의 내용을 단순 반복 혹은 부연 설명하는 것은 마찬가지로 논술문이라고 할 수 없다.

이 문제를 서술하면서 학생들이 먼저 밝혀야 할 부분은 '집단과 역사의 이름으로 개인의 희생을 정당화하며 그것을 이타주의로 미화하여 개인들에게 강요하는 집단주의 윤리를 비판하는 필자의 견해'에 대한 자신의 견해이다.

공동체와 역사를 위한 개인의 희생은 억압적이며,그것은 개인의 존엄성과 가치를 훼손할 위험성이 있다는 제시문의 견해에 대한 자신의 응답을 먼저 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견해를 표명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근거가 될 내용들이 바로 개인과 집단,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견해들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순서로 자신의 논지가 전개되어야 한다.


1.집단과 역사의 이름으로 개인의 희생을 미화하는 윤리를 비판하고 이에 근거해서 새로운 개인주의 윤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필자의 견해를 옹호하는지,비판하는지 등의 자신의 견해

2.그 근거로서 개인과 집단,개인과 사회에 대한 자신의 견해


대표적으로 제시문의 논지를 비판하는 경우와 옹호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제시문의 논지를 비판하는 경우 집단과 역사의 이름으로 이루어진 수많은 개인의 희생적 행위들이 단순히 개인에게 강요된 것이거나 허구적인 의미만 갖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논증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식민지 시기와 같은 특수한 역사적 시기에는 개인의 운명이 집단의 운명과 직결돼 있었기 때문에 개인의 희생과 집단의 강요로 인한 희생은 분리되어 있지 않고,오히려 개인주의적 삶이 이기주의로 비난받아야 한다고 주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혹은 개인에게 집단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감을 형성하는 경우 집단을 우선시한 개인의 행위는 개인에게 가장 큰 자기 실현이라는 사실을 주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견해들은 개인과 사회에 대한 자신의 견해,즉 개인과 집단,개인과 사회가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공동체를 만들어 살아갈 수밖에 없는 인간에게 있어 공공 선(善)과 같은 사회적 가치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는 것 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제시문의 논지를 옹호하는 경우에는 제시문의 주장,즉 집단과 역사의 이름으로 개인의 희생을 미화하는 행위가 실제로 개인의 가치와 존엄성을 억압한다는 것을 논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보여주는 역사적 실례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전체주의 사회에서,특히 애국주의의 이름으로 이루어진 수많은 희생들이 사실상 얼마나 많이 개인의 권리와 가치를 이용해 왔던 것인지는 독일 나치정권 아래서,일본의 가미카제 특공대 등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견해 역시 집단 혹은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 개인의 가치가 보다 근본적임을 논증하는 것으로 나아갈 수 있다.

< 이아람 초암논술아카데미 논술강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