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0월 26일 (80)
1.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이 인수합병(M&A)할 때 경쟁당국의 심사를 받도록 한 제도는? ① 포이즌 필 ② 기업결합심사 ③ 주주총회 ④ 황금낙하산 2. 기업 주가에 영향을 줄 만한 사안을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투자자에게 알리도록 의무화한 제도는? ① 증자 ② 공시 ③ 외부감사 ④ 공모 3.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 개인 등이 일정 조건을 전제로 공동 투자함으로써 자금 규모를 불리는 방식은? ① 공모펀드 ② 사...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560)
-
시네마노믹스
끼리끼리 모여있을 때 더 커지는 '집적의 이익'…기회와 낭만의 땅 그 자체인 할리우드의 매력
“그럼 요즘 자네, 계속 단역만 하고 있는 건가?” 할리우드의 캐스팅 디렉터인 마빈(알 파치노 분)은 한물간 액션배우 릭(리어나도 디캐프리오 분)에게 묻는다. 한때 서부 영화 주연으로 잘나갔지만 인기를 잃고 하락세를 타고 있는 릭은 의기소침하게 답한다. “뭐, 그렇죠. 악역이에요.” “격투 신에선 매번 지고?” “당연하죠. 악역인데.” “풋풋한 놈...
-
디지털 이코노미
혁신을 위한 조직 시스템 설계의 필요성
성공 스토리는 언제나 극적이다. 눈보라 치는 파리 시내에서 택시를 잡기 위해 고군분투하다 새로운 시스템을 고안해 내고, 대학에서 동문관리 앱을 구축하던 친구들은 세계 최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만들어낸다. 이들은 자주 상하구분 없는 ‘소통’ ‘개방’ 등의 조직문화를 강조한다. 격의 없는 논의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해 낸다는 것이다. 많은 기업이 이를 받아들이고, 심지어 정부나 국회에서도 비슷한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벤처 창업자에게는 차등의결권 허용한다는데…
[찬성] 벤처기업 경영권 유지에 꼭 필요, 속히 도입해야 미국 영국 프랑스 인도 등을 비롯해 사회주의 체제인 중국에서도 시행하고 있는 제도다. 청년세대 등에게 벤처 창업을 장려하고 대기업으로 키우려면 꼭 필요하다. 무엇보다 스타트업이 성장 때 필요한 자본조달 과정에서 경영권 유지에 대한 걱정을 크게 덜어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현행 상법에서는 복수의결권 주식 발행을 금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특례법을 만들어야 한다. 그동안 국내의 인...
-
생글기자
'쓰레기 대란' 해결의 출발은 올바른 분리 배출
코로나 19로 새롭게 떠오른 키워드가 있다. 바로 비대면이다. 온라인 쇼핑, 배달 서비스 이용률이 증가했다. 그러면서 버려지는 종이 상자, 스티로폼, 플라스틱도 같이 늘어났다. 이 때문에 쓰레기를 처분할 땅조차 없는 ‘쓰레기 대란’이 일어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쓰레기 대란을 막을 방법은 재활용하는 것뿐이다. 우리나라는 비교적 분리 배출이 잘 되는 나라다. 그러나 실상을 들여다 보면 분리 배출되는 쓰레기...
-
과학과 놀자
측정값 어떻게 정의하는지 봐야 과학적 데이터로 신뢰 가능
이제는 '과학적 데이터'가 더 이상 과학자 사이에서만 소통되는 수치가 아니다. TV 건강 프로그램에서 식품 속의 영양 성분 양을 과학적 수치로 제시하거나, 뉴스에서 각종 경제 지표를 수치나 그래프로 제시하는 것을 일상에서 접하고 있다. 이렇게 과학적 수치 또는 데이터를 언급하면서 이를 근거로 주장하면 시청자나 독자는 근거가 있다고 생각하므로 주장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그런데 가끔 동일한 현상을 놓고 서로 반대되는 주...
-
커버스토리
일자리도 세금도 원천은 기업…이윤창출로 사회에 공헌
[질문1] 기업은 왜 생겨났을까? 1937년 영국 경제학자 로널드 코스(Ronald Coase, 1910~2013)는 이 질문을 연구해서 ‘기업의 본질’을 논문으로 썼다. 1991년 노벨경제학상을 받는 그는 기업은 ‘거래비용을 내부화하기 위해’ 생겨났다고 분석했다. 예를 들어 연필을 만드는 기업은 연필을 만들 때 필요한 모든 과정과 조직을 기업이라는 하나의 몸체 안으로 내부화했다. 연필에 들어가는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