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환율 어느새 1400원…경제 '시계 제로'

    이스라엘과 이란 간 전면전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미국의 소비지표마저 예상을 뛰어넘는 수치가 나오자 원·달러 환율이 지난 16일 한때 1400원 선에 진입했다. 1990년 변동환율제도를 도입한 뒤 환율이 1400원대에 도달한 것은 이번이 네 번째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인하 시기가 후퇴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하면서 달러화 강세 현상이 나타난 결과다. 국제유가(브렌트유 기준)가 배럴당 90달러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이날 ...

  • 생글기자

    경제학·실물경제의 차이 올바로 이해해야

    교과서에 나오는 경제학을 공부하다 보면, 뉴스에서 접하는 경제와 많이 다르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때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교과서 속 경제학은 실제 경제가 아닌, 경제에 기반한 학문이라는 사실이다. 경제학을 가리켜 ‘가정의 학문’이라고 할 만큼 경제학은 현실 경제를 정확히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경제학은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배우...

  • 키워드 시사경제

    멤버십 58% 인상한 쿠팡…네티즌 갑론을박

    쿠팡이 유료 멤버십 제도인 ‘와우 멤버십’ 요금을 2년여 만에 큰 폭으로 인상했다.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계 e커머스 업체와의 본격 경쟁에 대비해 투자 여력을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풀이된다. 쿠팡은 지난 13일 신규 가입자부터 와우 멤버십 월 회비를 4990원에서 7890원으로 58.1% 올렸다. 와우 멤버십은 지난해 말 기준 1400만 명이 이용하고 있어 대중이 체감하는 부담도 그만큼 크다. 쿠팡이 요금을 단숨에 5...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봄맞이 샤워하는 이순신 장군 동상

    지난 17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서울시 관계자들이 봄을 맞아 이순신 장군 동상을 세척하고 있다. 연합뉴스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바람 값 내놔라" 지자체 이익공유 요구, 타당한가

    최근 들어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바람 값, 햇빛 값을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풍력과 태양 에너지는 공공자원이라는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 사업자의 이익을 강제로 공유하자는 것이다. 풍력발전이나 태양광발전소는 정부와 지자체의 인허가를 거친 사업인데 ‘공공발전 기금’을 추가로 내놓으라는 것이다. 강원도·전라북도·제주도처럼 특별자치도법을 만든 곳에서 주로 그런다. 중앙정부인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반대하고 ...

  • AI가 몰고 온 일자리의 변화

    주니어 생글생글 제108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인공지능(AI)과 직업의 변화다. 현재 국내 일자리의 12%인 341만 개가 AI로 대체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문직도 예외가 아니다. 의사, 변호사, 펀드매니저, 아나운서 등 다양한 직업이 AI의 등장으로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살펴봤다. 기술 발달로 사라지는 직업도 있겠지만, 새로 생겨나는 직업도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오픈AI 공동 창업자 샘 올트먼이 AI산업의 ...

  • '알·테·쉬' 공습이 무서운 이유

    제844호 생글생글은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돌풍을 커버스토리에서 다뤘다. ‘알·테·쉬’로 불리는 이들 업체는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글로벌 유통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알·테·쉬의 공습이 국내 유통산업과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봤다. 시사 이슈 찬반 토론에선 외국인 돌봄 도우미에 대한 차등 임금 적용 필요성을 따져봤다. 대입...

  • 행동경제학

    [문제1] 행동경제학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ㄱ. 인간은 합리적 존재라는 고전경제학과 달리 인간이 감정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고 본다. ㄴ. 실험 심리학의 발달과 관련이 깊으며, 심리학자이자 경제학자인 대니얼 카너먼은 행동경제학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ㄷ. 대표적 이론의 하나로 프레이밍 효과가 있는데, 이는 정보를 제시하는 틀에 따라 사람의 행동이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1) ㄱ (2) 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