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논란의 공매도…"폭락장 주범" vs "투자과열 제동"

    살다 보면 남을 헐뜯고 비방하는 사람을 만날 수 있다. 주식시장에도 그런 사람들이 있다. 공매도 세력이다. 이들은 남이 투자한 주식에 대해 ‘고평가’됐다며 험담을 하고 다닌다. 말로만 그러는 것이 아니다. 해당 주식을 대량으로 팔아치우기까지 한다. 팔아치운 주식은 값이 폭락한다. 그러다 보니 공매도 세력은 주식투자자, 특히 개인투자자에게 미움을 받는다. 하지만 증오와 혐오만큼 오해와 편견도 적지 않다. 정말 공매도는 개미들의 계좌를 털어가는 악마일까. 공매도란 무엇인지부터 살펴보자.주식이 없어도 가능한 주식투자공매도는 주식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 주문을 내는 거래 방식이다. 갖고 있지도 않은 주식을 어떻게 팔까. 빌려서 판다. 증권사로부터 주식을 빌려 팔고, 나중에 주식을 사서 갚는 것이다.일반적인 주식투자와 반대로 공매도는 주가가 내려가야 이득을 본다. 삼성전자 주식 1주를 7만 원에 공매도했다고 하자. 다음 날 삼성전자 주가가 6만 원으로 떨어지면 6만 원에 매수해 빌린 주식을 갚는다. 1만 원의 수익을 챙길 수 있다. 그러나 주가가 오르면 손실을 본다. 7만 원에 공매도한 삼성전자 주식이 8만 원으로 오르면 8만 원에 사서 주식을 갚아야 한다. 1만 원 손해를 보는 것이다.‘무차입 공매도’도 있다. 주식을 빌리지 않고 파는 것이다. 빌리지도 않고 파는 게 어떻게 가능할까. 주식은 매매한 후 2영업일이 지나 대금 결제가 이뤄진다. 매도 주문부터 해놓고 2영업일 안에 주식을 빌리면 된다. 그런데 이 기한 내에 주식을 빌리지 못하면 심각한 일이 벌어진다. 공매도의 상대방, 즉 주식을 매수한 사람은 대금을 결제했는데도 주식을 받지 못하게 된

  • 키워드 시사경제

    실체 드러난 '불법'…홍콩 은행 두 곳 딱걸렸다

    홍콩에 있는 글로벌 투자은행(IB) 두 곳이 한국 주식시장에서 상습적으로 불법 공매도를 하다 적발됐다. 금융감독원은 BNP파리바 홍콩법인과 HSBC의 상습적인 무차입 공매도 행위를 적발했다고 지난 15일 발표했다. 개인투자자 사이에선 외국인과 기관이 ‘결탁’해 불법 공매도로 잇속을 챙긴다는 의심이 파다했는데, 일부 실체가 확인된 것이다.‘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투자 기법공매도(short selling)란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남에게 주식을 빌려 파는 투자 방식이다. 특정 종목의 주가가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는 투자자가 활용한다. 공매도에는 두 가지가 있다. 주식을 빌려서 파는 ‘차입 공매도’와 주식이 아예 없는 상태에서 판 뒤 나중에 빌려 메우는 ‘무차입 공매도’다. 국내에서는 전자만 허용되고 후자는 금지돼 있다. 두 해외 IB는 국내 110개 종목에 560억 원 규모의 무차입 공매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 공매도조사팀은 올 들어 9월까지 외국인 21명을 포함, 총 30명의 무차입 공매도에 104억9000만 원의 과태료와 과징금을 부과했다. 지금까지 공매도 위반 사례는 대부분 직원 실수나 전산 오류로 인한 것이었다. 장기간 상습적으로 벌인 무차입 공매도가 꼬리를 잡힌 건 처음이다. 일반적인 투자와 달리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수록 이득이다. 그래서 주가를 떨어뜨리려는 작전세력이 활개 치게 하고 증시를 교란한다는 비판이 따라붙곤 한다. ‘작전세력의 타깃’이 된 기업의 경영진은 본업보다 주가 방어에 매달려야 하는 부작용도 있다. 반면 공매도가 주가를 끌어내린다는 증거가 불분명하고, 오히려 합리적 주가 결정에 기여한다는 반론도 만만찮다. 선진국이 공매도를 허용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주가 하락의 주범으로 몰리는 공매도…시장 과열 안 되게 쏠림 막아주기도 하죠

    주식투자를 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공매도’에 대해서는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공매도는 ‘주가를 떨어뜨리는 주범’이라거나 ‘외국인과 기관투자가가 개인투자자가 보유한 주식을 손해보게 하는 제도’라는 인식도 강합니다. 대체 공매도가 뭐길래 투자자들은 공매도를 싫어할까요? 주가가 떨어지면 이익공매도는 한자로 빌 공(空)자를 씁니다. 이름만 들으면 없는 주식을 파는 것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습니다. 한국에서 이뤄지는 공매도는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주식을 빌려서 파는 투자 방식입니다. 이 방식을 차입공매도라고 부릅니다. 미국에서는 주식을 빌리지 않고도 주식을 팔 수 있습니다. 무차입 공매도입니다. 국내에서는 허용되지 않은 방식입니다.보통 주식에 투자할 때는 주식을 사고→주가가 오르면→주식을 팝니다. 공매도는 반대입니다. 먼저 빌린 주식을 팔고→주가가 떨어지면→주식을 사서 갚습니다. 주식을 사고파는 것은 똑같지만 순서를 바꾸다보니 주가가 오를 때 이익이 나는 게 아니라 주가가 떨어질 때 이익이 나는 구조입니다.공매도를 하려면 주식을 빌려야겠죠. 주식을 빌리는 거래를 대차거래라고 합니다. 주식을 보유한 사람은 증권사로부터 대차수수료를 받고 주식을 빌려줍니다. 공매도를 위해 주식을 빌리려는 사람 역시 증권사에 수수료를 내고 주식을 빌려갑니다. 수수료 가격은 주식마다 다릅니다. 주식을 빌려주는 사람보다 빌리려는 사람이 많은 종목은 수수료가 그만큼 비싸집니다.대차거래가 얼마나 이뤄졌는지는 증권사 트레이딩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대차거래가 많이 이뤄진 주

  • 테샛 공부합시다

    '게임스톱 사태'…공매도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전면전

    테샛(TESAT)을 공부하는 수험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이 시사경제다. 시사영역은 범위가 넓은 데다 수험생이 매일 신문을 꼼꼼히 읽어볼 시간이 현실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최신 시사경제 이슈를 매일 파악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테샛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은 생글생글 테샛면에 주기적으로 게재되는 ‘시사 경제 용어 따라잡기’와 ‘경제·금융 상식 퀴즈’를 활용해 공부하는 것이 유익하다.○동행종합지수(Coincident Composite Index)=현재의 경기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광공업생산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도소매업제외), 소매판매액지수, 내수출하지수, 건설기성액(실질), 수입액(실질), 비농림어업취업자수 등과 같이 국민경제 전체의 경기변동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7개 지표로 구성된다. 동행종합지수는 선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와 함께 경기종합지수를 구성한다.○그레이 스타트업(Gray Startup)=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의 비약적 발전을 기반으로 탄생한 스타트업 또는 벤처기업 가운데 기존 법·제도 체계로는 규정되지 않거나, 사각지대에서 사업이나 서비스를 영위하는 기업을 일컫는다.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발전 속도를 법과 제도가 따라가지 못하면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한국에선 렌터카 기반 차량 호출 서비스인 ‘타다’ 논란이 대표적인 예다.○뉴트로(Newtro)=새로움(New)과 복고(Retro)를 합쳐 만든 신조어다. 과거 유행했던 복고 제품을 새롭게 즐기는 것을 뜻한다. 뉴트로는 과거의 제품을 직접 접해본 적 없는 젊은 층에 신상품과 마찬가지의 새로움을 준다. 식품업계가 오래전 포장을 다시 입힌 과자나 주류 제품들을 내놓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주식 '공매도 금지' 계속해야 하나

     [찬성] 개인과 기관투자가 정보 불균형…'기울어진 운동장' 바로잡는 수단공매도 금지를 한시적으로 해왔지만 계속 유지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주식시장의 구조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자는 취지다. 주식도 없이 빌려서 파는 공매도 제도를 실제 이용하는 쪽은 대부분 기관투자가와 외국인 투자자다. 자금력이 있는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들은 공매도를 이용해 현실적으로 수익을 내고 있지만 개인 투자자들은 그렇지 못하다.2017~2019년 한국 유가증권시장에서의 공매도 거래 가운데 외국인 비중은 74%였다. 국내 기관투자가들도 24%를 차지했다. 개인 비중은 1%도 채 되지 않았다. 주로 기관투자가들인 외국인과 국내 기관은 기관 간 대차(주식 빌리기)시장을 통해 주식을 쉽게 빌릴 수 있다. 그 규모가 67조원에 달한다. 개인들도 신용융자 담보로 주식을 빌릴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금융위원회가 이런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개인도 공매도를 할 수 있도록 ‘대주시장’을 확대한다는 방침은 세웠으나 아직 변한 것은 없다. 여전히 개인 투자자들이 불리할 수밖에 없다.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들이 공매도를 이용해 수익을 내는 과정에서 개인과 ‘정보의 불균형’이 있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있다. 증권가에서 쉽게 끊이지 않는 시세조종 같은 불공정거래에 악용될 가능성도 있다. 나중에 증권사의 실수로 판정나기는 했지만, 2018년도 골드만삭스의 대규모 공매도 사건 때도 시장의 충격이 컸다. 고의성 여부는 언제나 판단이 쉽지 않은 문제인 만큼 악용될 소지가 있는 제도라면 원천적으로 제한할 필요도 있다. 때로는 공매도 제

  • 생글기자

    찬반 엇갈리는 주식시장의 '공매도' 제도

    금융위원회가 9월 15일 종료 예정이었던 공매도 금지 조치를 내년 3월 15일까지 6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또 국회와 정부는 내년 3월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공매도 제도를 바꿀 계획임을 시사했다. 요즘 회자되는 공매도가 무엇인지, 또 왜 규제하는지에 대해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공매도(空賣渡)란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라는 뜻으로 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주문을 내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해서 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것이다. 주식 가격이 떨어질 것을 예측하고, 실제로 가격이 떨어지면 빌린 주식을 팔아 돈을 벌게 된다. 예를 들어, 정효가 A기업의 주가 하락을 예측했다. 그럼 A기업 주식을 가지고 있는 건희에게 1주를 빌린다. 현재 시점의 가격인 10만원에 팔아 현금 10만원을 확보한다. 그러다가 정효의 예측대로 A기업의 주가가 떨어져서 1주에 6만원이 되면, 가지고 있던 10만원으로 1주를 산다. 이제 도로 건희에게 주식 1주를 갚는다. 이 과정을 통해 4만원의 수익을 얻는 것이다.그렇다면 이렇게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주식 투자의 한 방법인 공매도를 왜 규제하는 것일까. 일단 우리나라에선 외국인과 기관투자가는 종목 전체를 공매도할 수 있지만 개인 투자자는 특정 409개 항목에만 투자할 수 있게 제한하고 있다. 지난 3월 16일에는 코로나19로 인해 투자 심리가 얼어붙어 주가가 폭락해 6개월 동안 공매도를 정부가 아예 금지했다. 그리고 이번에 다시 6개월이 연장된 것이다. 공매도를 규제하는 것은 사람들의 심리가 불안해져서 주식을 대거 팔아치우며 시장이 더 나빠지는 악순환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불안감은 전염성이 강하니 말이다. 공매도를 규제하는 또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