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학년도 대입 전략
-
대입전략
의대 298~292점·치대 295~292점 목표해 볼 만…SKY 인문 293~283점, 자연 294~288점 지원 가능
“실력은 계단식으로 오른다”는 말이 있다. 기초체력, 기본 실력 등이 근저에 꾸준히 쌓이다가 어느 순간 폭발하듯 성적이 상승하는 모습을 말한다. 고2 겨울방학은 3년의 대입 레이스에서 가장 중요한 터닝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2~3개월의 집중, 몰입 학습을 통해 약점 과목을 극복하고, 계단식 실력 향상을 경험하기에 좋다. 효과적인 학습은 현재 본인의 실력 진단에서 시작한다. 현재 수준을 냉정하게 진단하고, 목표를 바로 세워야 한다. 고2 10월 학력평가는 현재 수준을 점검하기에 좋은 기회다. 이를 통해 겨울방학 학습 계획을 세워보기를 권한다. 고2 10월 학력평가 기준 주요 대학 정시 지원 가능 점수를 분석해본다.먼저 인문계를 살펴보면, 국어·수학·탐구(2과목 평균) 백분위 합(300점 만점) 기준 SKY는 최고 293점에서 최저 283점으로 분석됐다. 서울대 인문계는 평균 291.1점(293~290), 연세대와 고려대는 동일한 분포로 평균 287.8점(290~283)으로 전망된다. 고2 학력평가에서 이 정도 수준 성적이라면 SKY를 노려볼 만한 실력이라고 볼 수 있다.성균관대·서강대·한양대·중앙대·경희대·이화여대·한국외대 등 주요 10개 대학 그룹 인문은 최고 288점~최저 276점 사이에서 합격을 기대해볼 수 있다. 성균관대는 평균 282.3점(288~281), 서강대는 282.0점(284~281), 한양대는 280.8점(284~279), 중앙대는 279.5점(281~279), 경희대는 278.3점(280~276), 이화여대는 279.2점(281~279), 한국외대는 278.4점(281~276) 수준에서 지원을 고려해볼 수 있다.서울시립대·건국대·동국대·홍익대·숙명여대 등 주요 15개 대학 그룹은 최고 279점~최저 265점 사이에서 목표해볼 만한 곳이다. 국민대&mi
-
대입전략
2027 수능 사탐 응시 80%대로 사상 최대 전망…고2 사탐런 이미 진행 중…내년 대입 최대 변수로
현재 고2가 치르는 2027학년 대입에서 사탐런은 올해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의 경우 수능 접수자 기준 사탐 1과목 이상 접수 비중은 77.3%에 달한다. 현 고2는 이 수준을 넘어 80%대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뿐 아니라 내년 대입에서도 사탐런이 입시 최대 변수로 부상할 것이란 얘기다. 현 고2 사탐런 추이를 분석해본다.현행 통합 수능 체제에서 사탐런은 2025학년도 수능부터 감지된다. 수능 사탐 1과목 이상 접수 비율은 2023학년도 53.3%, 2024학년도 52.2%로 50%를 약간 상회하는 수준을 유지하다 2025학년도 62.2%로 급등했다. 이어 2026학년도 수능에선 77.3%까지 폭증했다. 이 같은 추세라면 현 고2가 응시하는 2027학년도 수능에선 80%대 이상을 기록할 것이 자명해 보인다. 과탐 접수자는 10%대로 주저앉을 것으로 전망된다.사탐으로 쏠리는 현상은 순수 문과생의 증가뿐 아니라 사탐런을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사탐런이란 수학은 미적분, 기하 등에 응시하면서 탐구 과목만 과학에서 사회로 갈아타는 현상을 말한다. 수시 수능최저 충족에서 사탐·과탐에 대한 제한이 없는 대학이 많고, 과탐 가산점의 영향력이 미미한 영향으로 풀이된다.고2 사탐런 심화는 올해 내내 지속적으로 관찰되고 있다. 금년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탐·과탐 전체 응시 인원 중 사탐 응시 비율은 3월 51.2%, 6월 53.0%, 9월 56.7%로 꾸준하게 증가했다. 9월 기준 사탐 응시 비율은 2023년 49.6%, 2024년 52.0%, 2025년 56.7%로 매해 증가세다. 전년 대비 4.7%포인트가 상승했다.고2 3월 대비 9월 증가 폭은 더 커졌다. 고2 때 사탐 응시 비중은 후반으로 갈수록 늘어나는 것이 통상적인 모습이긴 하다. 학교에선 고2부터 본격적으로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