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학평
-
대입전략
"차라리 문과로 바꿔 한단계 위 대학 가자"…학습부담 큰 이과 중위권, 문과 전향 급증
고3 3월 학력평가는 현 수능 체제와 유사한 첫 전국 모의고사다. 당해 연도 대입 수험생의 성향 및 특성 등을 파악하기에 좋다. 국어, 수학 선택과목 응시 비율, 사탐과 과탐 응시 비율 등을 통해 문과생, 이과생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어 대입 전략을 수립하는 데 가장 기초적인 판단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특히 국어와 수학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극심한 현 수능 체제에서 수험생들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고, 1년간의 수능 학습의 밑그림을 촘촘하게 세워둬야 한다. 필요하다면 선택과목을 변경하는 결정을 내려야 할 수도 있다. 경쟁 관계인 수험생 집단의 과목 선택 및 지원 성향을 파악해두면 6월, 9월 모의평가를 거치며 선택과목 변경 여부 등을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다.종로학원이 3월 학력평가 응시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6학년도 대입 고3 수험생 사이 문과 학생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몇 년간 이과 선호, 의대 열풍 등의 상황과 비교해보면 이례적인 변화라 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3월 학력평가 기준으로 수학 과목에서 이과생이 주로 응시하는 미적분, 기하 응시 비율은 지난해 46.1%에서 올해 40.5%로 5.6%포인트 하락했다. 미적분, 기하 응시 비율은 2022학년도 통합 수능이 도입된 이래 꾸준히 증가해왔다. 응시 비율은 2022학년도 39.5%, 2023학년도 43.2%, 2024학년도 46.1%, 2025학년도 46.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6학년도 40.5%로 크게 하락했다. 반면 문과 학생들이 주로 응시하는 확률과통계는 지난해 53.9%에서 올해 59.5%로 5.6%포인트 상승했다.국어 과목에서는 이과생이 많이 응시하는 언어와 매체 선택 비율이 지난해 37.4%에서 올해 33.8%로 3.6%포인트 하락했다.수학에서 미적분, 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