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역사 기타

    목재 살 돈으로 석유공장 매입…장남의 '神의 한수'

    스웨덴의 위대한 발명가 임마누엘 노벨이 러시아로 이주한 게 1837년이다. 화학제품 공장을 설립한 그는 크림전쟁(1853~1856) 당시 지뢰와 수중 기뢰를 러시아 군부에 납품했는데 파병을 위해서는 죽으나 사나 바다를 건너야 하는 영국군에게 이보다 위협적인 무기는 없었다. 상대에게 치명적이라는 것은 수요가 엄청나다는 의미이기에 임마누엘은 돈방석에 앉을 일만 남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전쟁에서 패한 러시아 정부는 잔금 지불을 잊었고, 영국·프랑스 등 연합군에게도 미운털이 박혀 노벨은 파산하고 만다. 이에 공장은 채권자들의 손에 넘어갔는데, 문제는 생산품이 워낙 전문 영역이다 보니 이를 돌릴 사람을 구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결국 세 아들 로베르트·루드비그·알프레드가 자신들의 인건비와 수익으로 채무를 변제하는 방식으로 공장을 운영했고, 덕분에 형제들은 일하면서 자신들의 연구를 계속 이어갈 수 있었다. 먼저 대박을 터뜨린 건 둘째 루드비그다. 그는 일명 ‘노벨 수레’를 발명했는데 지면이 고르지 못한 러시아 도로에 안성맞춤인 제품이었다. 셋째 알프레드는 니트로글리세린에서 힌트를 얻어 다이너마이트에 집중했다. 그 과정에서 가문의 막내인 에밀이 알프레드의 공장에서 폭발 사고로 사망했다.동생의 그늘 벗어나려 한 형의 돌발 행동수레에 이어 러시아 정부에 소총을 납품하는 대규모 계약을 따낸 루드비그는 소총 개머리판에 필요한 나무를 조달하기 위해 형 로베르트를 캅카스 남쪽 지역으로 파견한다(발명은 물론 경영에도 탁월한 능력을 보인 루드비그와 달리 이렇다 할 재능이 없던 맏형 로베르트는 동생 밑에서 일하는 처지였다). 1873년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