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생윤' 공부법의 핵심, 사상가별 주장을 표로

    생활과 윤리는 수능 사회탐구에서 선택 비율이 높은 과목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응시 인원이 많은 만큼 고득점을 해야 좋은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는 2학년 내신 선택 과목으로 생활과 윤리를 골랐다가 만족스럽지 않은 성적을 거두고, 이후 절치부심해 기말고사에서 100점을 받았습니다.생활과 윤리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수많은 철학자와 사상가가 주장하는 내용이 언뜻 비슷비슷해 명확하게 구별해내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여러 사상가의 주장을 구분할 수 있는 일종의 기준이 필요합니다. 저는 생활과 윤리 개념 노트를 만들어 주제별로 사상가의 주장을 비교하는 표를 작성했습니다.예를 들면 사회계약설을 대표하는 사상가로 홉스·로크·루소가 있는데요, 이 세 사람이 각각 자연 상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는지, 저항권에 대해선 어떤 주장을 했는지 등을 표로 정리해 한눈에 비교해 볼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여러 사상가의 주장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것이 생활과 윤리에서 고득점을 얻는 핵심인 만큼 이런 작업은 필수입니다.평가원 기출문제 분석은 기본입니다. 다른 과목과 마찬가지로 생활과 윤리도 평가원 문제가 출제 기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평가원 시험에 나온 지문과 문항, 선지를 꼼꼼히 분석해야 합니다. 이는 모의고사뿐 아니라 내신 대비에도 도움이 됩니다. 저는 기출문제집을 풀고 헷갈리는 선지나 모르는 내용은 해설서를 참고해 문제 밑에 주요 내용을 적었습니다. 또 중요한 내용은 개념 노트에 따로 정리해 암기하려고 노력했습니다.생활과 윤리를 공부할 때는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사상가들의 주장을 자신만의 언어로 바꿔

  • 대학 생글이 통신

    예비 고3, 겨울방학 요일별 공부 계획 세워야

    현재 고등학교 2학년, 예비 고3은 이번 겨울방학에 무엇을 준비하면 좋을까요?먼저 내신입니다. 대입 수시 전형에선 고등학교 3학년 1학기 성적까지 반영합니다. 따라서 수시 전형을 생각하고 있다면 반드시 내신 공부를 해야 합니다. 고등학교 3학년 때 선택한 과목 중 내신등급 평가에 포함되는 과목은 겨울방학 때 미리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학교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국어와 영어는 수능 연계 교재인 ‘수능 특강’도 내신 준비에 도움이 됩니다. 수능과 내신을 함께 대비할 수 있습니다. 저는 정치와 법 과목과 미적분을 방학 기간 학교 보충수업을 통해 공부했고, 학기 중에도 수업을 들으면서 여러 번 반복해서 공부했습니다.정시 전형에 집중하겠다고 마음먹은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결과가 어떻게 될지 모르고 선택의 폭은 넓게 가지는 것이 좋으니 내신 준비도 소홀히 하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두 번째는 수능 대비입니다. 수능이 1년도 안 남았다는 생각에 부담감이 크게 느껴질 것입니다. 겨울방학 때는 수능 특강과 역대 평가원 모의고사, 수능 기출문제 등을 봐둬야 합니다. 수능 특강은 다른 어느 문제집보다도 실제 수능과 유사한 문제를 담고 있습니다.저는 겨울방학 중 매주 월·수·금요일에 국어, 영어, 수학 수능 특강을 공부했습니다. 국어는 하루에 독서 4개 지문, 문학 4개 지문, 화법과 작문 3개 지문을 풀었고, 영어는 하루에 2개 유형씩 풀었습니다.화·목·토요일에는 3개년 기출문제를 봤습니다. 최대한 실제 수능 시간표와 비슷한 시간대에 맞춰 문제를 풀었습니다. 문제를 다 풀고 나면 오답 노트를 작성하고 지문과 선지를 분석했죠. 수학 오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