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역사 기타

    유럽 변두리 포르투갈 '대항해 개막전' 첫 투수로

    18세기 중반 프로이센의 객관적 지표는 보잘것없었다. 유럽 국가 중 영토는 10번째, 인구수로는 13번째의 중위권 국가였고, 영토까지 산재돼 있어 언제 사라져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나라였다. 그런 허술한 나라가 중부 유럽의 두 강자인 오스트리아와 프랑스를 잇달아 격파하고 통일 제국을 이룬 것은 쉽게 설명할 수 없는 일이다. 오스트리아와 벌인 7년 전쟁의 승리는 순전히 운이었다. 프로이센이 백기를 들기 직전 오스트리아의 군사적 파트너이던 러시아 황제 자리에 친(親)프로이센 인물이 등극한다. 표트르 황제는 다 이긴 전쟁에서 프로이센과 평화 협상을 벌였고 전쟁 중 러시아가 점령한 모든 영토를 반환한다는(?) 해괴한 조건으로 철군한다. 심지어 동맹국인 스웨덴까지 설득해 전쟁에서 이탈하게 만들었는데, 덕분에 오스트리아 혼자 달랑 남은 이 행운을 ‘브란덴부르크의 기적’이라고 부른다.1870년 프랑스와 벌인 전쟁은 초등학생이 건장한 성인 남성에게 시비를 건 것과 같은 무모한 도발이었다. 사람 머릿수가 국력이던 시대에 인구가 7배나 더 많은 국가를 상대로 한 이 전쟁에서 프로이센은 어떻게 승리할 수 있었을까. 당시 프로이센은 영국의 군사적·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었다. 영국이 천사라서 그런 게 아니다. 아메리카와 아시아를 놓고 프랑스와 패권을 다투던 영국으로서는 프랑스 군인을 단 한 명이라도 유럽에 더 묶어두어야 했기에 프로이센을 대륙의 검(劍)으로 활용한 것이다. 후에 영국 총리 윌리엄 피트는 아메리카 정복은 아메리카가 아니라 독일에서 이루어졌다고 촌평했다. 모호할 때, 이해가 안 갈 때 큰 그림을 보면 답이 나온다.포르투갈, 지중해의 변두리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