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인적투자 늘리면 생산성 높아지고 임금도 올라

    생산요소시장도 상품시장과 마찬가지로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면서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이 결정된다. 노동시장에서의 임금과 고용량은 노동에 대한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결정된다. 생산요소시장에서 결정된 가격은 소비자들의 소득과 직결되는 특징이 있다. 노동시장에서 결정된 임금은 가계의 근로소득으로, 소비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동일한 시간을 일해도 서로 다른 임금을 받는다면 소비 수준도 달라진다. 이번 주에는 노동시장 작동 원리와 임금 격차가 발생하는 상황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균형임금과 생산성상품마다 시장이 세분화돼 있듯이 노동도 능력에 따라 세분화돼 있어 시장에서 결정되는 균형임금이 모두 다르다. 우선 전자산업이나 자동차산업, 기계산업 등 산업별로 다른 노동시장이 형성된다. 동일한 산업 안에서도 숙련 노동자와 비숙련 노동자로 구분돼 균형임금이 다르게 결정된다. 개별 노동시장에서 노동에 대한 수요는 많고 공급이 적으면 균형임금은 높아지는 것이다.노동 수요는 노동자들의 한계수입생산에 의해 결정되는데, 숙련 노동자의 경우 한계수입생산이 비숙련 노동자들에 비해 높아 더 많은 임금을 받는다. 결국 임금 차이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노동자마다 생산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실제 우리나라의 고용 관련 통계자료를 보면 노동생산성 증가율과 실질임금의 증가율 사이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난다. 생산성과 투자노동생산성을 증가시키려면 노동의 질이 우수하거나 좋은 생산설비를 많이 갖춰야 한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지출을 투자라고 하는데, 그 개념을 좁은 의미로 사용하면 기업

  • 수요가 탄력적이면 가격 내려야 기업 수입 늘어나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은 감소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수요의 법칙이라고 했다. 그러나 수요의 법칙은 가격과 수요량이라는 두 변수의 관계에 대해서만 언급할 뿐 두 변수가 얼마나 민감하게 영향을 주고받는지는 알려주지 못한다. 두 변수가 얼마나 민감한지는 변화율이나 탄력성을 통해 알 수 있다. 변화율과 탄력성변화량과 탄력성을 측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변화율은 결과변수의 변화량을 원인변수의 변화량으로 나눈 값이고 탄력성은 결과변수의 변화 비율을 원인변수의 변화 비율로 나눈 값이다.변화율과 탄력성이 주는 의미의 차이는 변화율의 경우 변화의 정도가 10에서 11로 증가하든 1000에서 1001로 증가하든 모두 1만큼 늘어난 것으로 동일한 변화로 간주되지만, 탄력성의 경우 10에서 11이 되면 10%가 증가한 것이고 1000에서 1001이 되면 0.1% 증가한 것으로 동일한 변화가 아니다. 이를 이용해 변화율과 탄력성의 값을 구해보면 원인인 x가 10에서 11로 증가한 경우 결과인 y가 1000에서 1001로 증가했다고 했을 때 변화율은 1을 1로 나눠 값이 1이 되지만 탄력성은 0.1%를 10%로 나누어 0.01의 값이 된다.수학 계산에서는 변화율을 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제학에서는 10만원에서 11만원으로 증가한 것은 크게 변한 느낌이 있지만 1000만원에서 1001만원으로 변한 것은 크게 증가한 것 같지 않은 느낌을 준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 변화율보다는 탄력성을 측정해 두 변수 사이의 민감함을 측정한다. 수요의 가격탄력성가격과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한지 탄력성을 이용해 아래 방식으로 측정하는데 이를 수요의 가격탄력성이라고 한다.위의 식에서 우변에 음(-)의 부호를 넣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