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코노미 요즘것들의 주식투자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기업 성적표 공개되는 실적시즌…리포트·뉴스 꼼꼼히 읽어야
야구나 축구 등 운동경기처럼 주식시장에도 시즌이 있습니다. 기업이 실적을 발표하는 시기인 '실적시즌'인데요, 영어로는 '어닝시즌'이라고도 부릅니다. 기업은 1년에 네 번 분기 및 연간 실적을 발표해야 합니다. 실적은 기업의 주가를 평가하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기 때문에 예상보다 좋은 실적을 내면 주가가 오르기도 하고 시장의 평가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3분기 실적 발표가 한창인 요즘, 오늘은 실적 시즌에 투자자가 확인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년에 네 번 공개되는 ‘성적표’우리가 학교에서 중간·기말고사를 보고 성적표를 받는 것처럼 기업도 1년에 네 번 성적표를 공개합니다. 물건을 얼마나 팔았는지(매출), 비용을 제외하고 얼마를 벌었는지(영업이익) 등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다트·DART) 홈페이지를 통해 공식적으로 알려주죠. 한국의 경우 분기 말 이후 45일 이내에 실적을 공시하게 돼 있습니다. 1분기(1~3월) 실적은 4월에, 2분기(4~6월) 실적은 7월, 3분기(7~9월) 실적은 10월, 4분기(10~12월) 및 연간실적은 이듬해 1월 즈음에 발표되기 시작합니다. 보통 삼성전자가 가장 먼저 실적을 발표하면서 실적시즌의 시작을 알립니다. 잠정실적은 외부 감사를 받기 전에 회사가 자체 집계한 수치입니다. 실적은 다트 홈페이지 외에도 ‘네이버 금융’ 및 컴퍼니가이드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는 잠정실적을, ‘E’는 애널리스트의 추정치를 의미합니다.실적과 주가는 대체로 같이 움직입니다. 기업이 좋은 실적을 낼 것으로 예상되면 주가도 덩달아 오르기 시작합니다. 반대로 시장에서 예상한 것보다 영업이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우량 기업 몰린 코스피…작지만 성장 기대되는 기업은 코스닥
"코스피지수가 14일 기관 매수세에 힘입어 1%대 반등하며 2980선까지 회복했다. 코스닥지수도 3.14% 급등하며 983.43을 기록했다." 지난 15일자 한국경제신문 증권면 기사의 일부입니다. 뉴스를 보면 주식시장이 얼마나 오르고 내렸는지를 표현할 때 코스피와 코스닥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주식시장은 왜 이렇게 나뉘어 있는 걸까요? 그리고 각 시장은 어떻게 다를까요? 코스피와 코스피지수한국에서 주식시장이 문을 연 시기는 1956년이었습니다. 6·25전쟁을 겪은 직후였기 때문에 주식시장에 상장한 회사도 12개에 불과했죠. 이후 다양한 기업이 성장하면서 주식시장에 이름을 올렸(상장했)습니다. 한국에서 처음 생긴 이 시장을 유가증권시장이라고 부릅니다. 말 그대로 유가증권(=주식)이 거래되는 시장이라는 의미입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대형 기업들은 대부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해 있습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처럼 우리가 한 번쯤 이름을 들어봤을 만한 기업은 대부분 유가증권시장 소속입니다.유가증권시장은 영어로는 코스피(KOSPI)시장이라고도 부릅니다. 코스피는 한국종합주가지수(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 단어입니다. 맨 마지막에 붙은 지수라는 것은 여러 개의 주식이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한눈에 알기 쉽도록 만든 개념입니다. 같은 주식시장에 있지만 하루에도 어떤 주식은 크게 오르고 다른 주식은 떨어질 수 있겠죠. 이럴 때 전반적으로 주식시장이 올랐는지, 떨어졌는지를 표현하기 위해 코스피지수를 만들었습니다.1980년 1월 4일 당시 유가증권시장에 있는 기업들의 전체 가치를 100이라고 치고, 지금 시점에 상장해 있는 기업들의 전체 가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부모님과 증권사 방문해 주식계좌 개설…PC·모바일로 거래
주식이란 무엇인지, 주식투자의 이점은 무엇인지 알았으니 이제 주식을 사고파는 방법을 배워볼까요? 주식 매매는 전산화됐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거래할 수 있습니다. 증권사 계좌를 개설하고 증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을 컴퓨터에 설치하거나 휴대폰에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다운받으면 됩니다. 단, 미성년자가 증권사 계좌를 만들 땐 부모님과 함께 증권사 지점에 방문해야 합니다. 증권사 영업점에서 계좌 개설해야작년부터 시작된 주식 열풍으로 주식 계좌를 새로 만든 미성년자가 크게 늘었습니다. 국내 10개 증권사의 누적 미성년자 계좌 수는 지난 8월 초 기준 116만2605개로 100만 개를 돌파했습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누적 계좌가 50만 개를 밑돌았는데 올 들어서 그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이죠.그런데 미성년자가 증권사 계좌를 개설하는 과정은 성인보다 까다롭습니다. 비대면 개설이 불가능하거든요. 거래 수수료도 성인보다 조금 더 비쌉니다. 증권사들은 만 19세 미만의 고객인 경우 법정대리인(부모 또는 법정후견인)이 증권사 영업점에 방문해 계좌를 개설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부모님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본인 도장을 챙겨 방문하면 됩니다. 대부분 최근 3개월 내 발급된 서류를 요구합니다. 발급 주체는 미성년자 본인으로 맞추고 서류에 기재되는 주민등록번호는 뒷자리까지 모두 노출돼야 합니다. 정부민원포털을 이용하면 인터넷에서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증권사 지점이 너무 멀다면 자주 사용하는 은행에 가서 은행 연계 계좌를 개설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만 몇몇 은행은 해당 은행이 계열사로 보유한 증권사 계좌만 만들 수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기업이 돈 필요할 때 주식 발행…주주와 미래를 함께하죠
기업이 사업을 하려면 돈이 필요합니다. 지우개를 만드는 회사가 돈을 더 벌려고 연필 사업에 진출한다고 해볼까요. 연필을 만드는 데 필요한 원료를 사고 공장을 세우는 데 돈이 필요합니다. 회사에 충분한 돈이 있다면 문제가 없지만, 돈이 부족하다면 어디선가 구해와야겠지요. 기업이 돈을 구하는 세 가지 방법기업이 돈을 구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대출입니다. 개인이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것과 똑같습니다. 은행은 기업이 돈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이 얼마나 충분한지를 판단해서 돈을 얼마나 빌려줄지, 이자는 얼마나 받을지를 결정합니다. 기업 규모가 크고 돈을 잘 벌수록 은행에서 더 많은 돈을 빌릴 수 있고, 이자도 싸게 빌릴 수 있습니다.두 번째 방법은 기업이 은행이 아닌 사람들에게서 일정 기간 돈을 빌리기로 약속하고, 이 대가로 이자(금리)를 주는 것입니다. 돈을 얼마나 빌리는지, 얼마 뒤에 갚을 건지, 이자는 언제 얼마나 줄 것인지 등을 적은 증서를 채권이라고 합니다. 사업을 잘 꾸려서 믿을 만한 기업으로 인정받을수록 더 싼 이자에 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출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은행이 아니라 금융시장의 다양한 사람에게 돈을 빌린다는 점, 이자의 지급 방식이나 수준이 훨씬 다양하고 기업이 그 조건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대출과 차이가 있습니다.마지막 방법은 주식 발행입니다. 기업을 소유하는 권리는 지분이라고 합니다. 지분은 보통 퍼센트(%) 단위로 표시합니다. 지분을 50% 가지고 있는 사람은 지분을 10% 가지고 있는 사람보다 회사가 어떤 결정을 할 때 더 높은 영향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기업이 주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돈이 돈을 벌어오는 방법, 주식투자를 배워봅시다
안녕하세요, 한국경제신문 <주코노미TV>의 진행을 맡고 있는 ‘주코’ 한경제 기자, ‘노미’ 나수지 기자입니다. 작년부터 시작된 주식투자 열풍으로 우리나라에서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 사람이 거의 1000만 명에 육박했다고 합니다. ‘나만 주식 안 하는 걸까?’ ‘주식에 대해 하나도 모르는데 어떡하지?’ ‘학생인데 주식에 투자해도 될까?’라는 걱정은 넣어두세요. ‘주코와 노미의 주식 이야기’에서는 아직 주식투자를 시작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 주식의 기초를 설명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유튜브 <주코노미TV> 채널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금리 시대의 예금과 투자여러분의 책상에 놓인 물건들을 하나씩 살펴볼까요? 애플이 만든 아이폰, 삼성전자의 노트북, 코카콜라 한 캔, 3M의 포스트잇 등이 눈에 들어올 겁니다. 나이키 후드집업을 입고 휴대폰으로 넷플릭스나 유튜브를 보고 있을 수도 있겠네요. 기업이 만든 물건과 서비스가 우리 삶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죠?기업이 제품을 만들어서 판매하면 우리는 돈을 주고 그것을 삽니다. 돈을 번 기업은 다시 새로운 물건을 만들고 직원들에게 월급도 주고 남은 돈은 현금으로 챙겨둬요. 일부는 투자자들에게 나눠주기도 하고요. 기업은 물건을 팔아서 돈을 벌지만 학생들은 어떤가요? 보통 용돈을 받아서 생활하죠. 돈을 벌고 싶다면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직접 사업을 벌일 수도 있겠지만 미성년자에게는 연령과 금전적 제약이 있으니 학생들도 돈을 벌 수 있는 예금과 투자에 대해 얘기해볼게요.많은 학생이 용돈 중에서 소비하지 않고 남은 부분을 은행에 맡겨둡니다. 은행과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