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론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돗자리 말듯 휩쓸어 '석권'이라 하죠
지난 5월 3박5일간 방미 외교활동을 펼친 문재인 대통령은 당시 우리말과 관련해서도 생각할 거리 하나를 던졌다. “최고의 순방이었고, 최고의 회담이었다.” 문 대통령이 5월 23일 워싱턴DC에서 조지아주 애틀랜타로 이동하는 비행기 안에서 회담 성과를 자평하며 페이스북에 올린 문구다. 이때 쓰인 ‘순방’이 이상하다. ‘대첩’은 곧 ‘큰 승리…싸움 전에 써선 안돼순방(巡訪)은 ‘돌 순, 찾을 방’, 즉 여러 곳(나라나 도시 등)을 돌아가며 방문할 때 쓰는 말이다. 외국 방문이라면 가령 ‘유럽 4개국 순방’ 같은 것이고, 국내 상황이라면 ‘광역시 순방’ 식으로 말한다. 문 대통령의 방미 활동은 순방이 아니라 ‘방문’ 정도가 적합했다. 이에 비해 문 대통령이 지난 6월 11일 영국으로 출발한 일정이 바로 ‘순방’이다. 문 대통령은 G7 정상회의에 참석한 데 이어 17일까지 오스트리아, 스페인 등을 차례로 방문했다.사회가 발전할수록 개념이 복잡다단하게 분화해 새로운 말이 파생해 나온다. 이에 따라 말도 더 섬세하게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단어를 정교하게 쓰지 않는다. 있는 말조차 지키지 않고 대충 두루뭉술하게 쓰는 것은 나쁜 버릇이다.선거철만 되면 단골손님처럼 등장하는 표현이 있다. “OO 후보들, 주말 수도권 대첩 벌인다.” 행주대첩, 한산도대첩, 청산리대첩…. 다들 익히 아는 역사적 사건이다. 모두 싸움에서 크게 이긴 것을 나타낸다. ‘대첩(大捷)’이란 그렇게 쓰는 말이다. ‘큰 대, 이길 첩’ 자다. ‘대승(大勝)’과 비슷하다. 당연히 싸움을 앞두고 쓰는 게 아니라, 이미 승패가 갈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수입산' '부족난'은 정체불명의 말
글쓰기가 사고의 바탕이 되기 위해서는 글을 논리적으로 쓰는 훈련을 해야 한다. 합리적이고 이치에 맞게 글을 풀어가는 습관이 몸에 배야 한다. 합리적 사고와 논리적 글쓰기는 동전의 앞뒷면과 같아 따로 떼어내 생각할 수 없다. 합리적 사고는 과학적 글쓰기에 반영되고, 거꾸로 과학적 글쓰기를 하다 보면 생각도 합리성을 좇게 마련이다. 비논리적 표현 방치하면 우리말 퇴보해하지만 언어현실은 그런 이치를 방해하는 ‘잡음(noise)’으로 가득하다. 툭하면 쓰는 ‘수입산’이란 말이 대표적이다. ‘-산(産)’은 (지역이나 연도를 나타내는 말 뒤에 붙어) 거기에서 또는 그때에 산출된 물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한국에서 만들어졌으니 한국산이고, 미국에서 들어온 것이면 미국산이다. 2010년에 생산한 물품이면 ‘2010년산 OO’라고 하면 된다. ‘-산’은 그렇게 쓰는 말이다. ‘수입산’이 왜 안 되는 것인지 자명해진다. 하지만 현실은 ‘수입산 쇠고기’ 등 ‘수입산~’ 표현이 여전하다. ‘수입 쇠고기’라고 하면 그만이고, 더 구체적으로 쓰면 ‘OO산 쇠고기’다,공급난이나 전세난, 자재난 같은 것은 말이 되지만 ‘실업난’은 또 뭘까? 심지어 ‘부족난’이란 말도 만들어 쓴다. ‘-난(難)’은 어려움 또는 모자람의 뜻을 더하는 말이다. 취업이 어려우면 취업난이고, 구직이 잘 안 되면 구직난이다. 주택이 모자라서 주택난이라고 한다. 취업난이나 구직난을 겪다 보면 그 결과 실업이 늘어나는데, 그렇다고 이를 ‘실업난’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업’과 ‘-난’은 결합하지 않는다. ‘실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