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사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은(는)/-이(가)' 과학적으로 구별하기
가)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단체들이 ‘한은이 추가 금리 인상에 신중해야 한다’고 촉구한 것도 이 때문이다.”나)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전용 244㎡는 지난달 65억원에 거래된 소식이 전해지면서 부동산 시장의 화젯거리로 떠올랐다.”흔히 볼 수 있는 두 문장이지만, 각각에는 표현상 어색한 데가 한 곳씩 있다. 주격조사로 쓰이는 ‘-은(는)/-이(가)’의 용법을 염두에 두고 살펴보면 눈에 띄는 데가 있다.주어를 강조하는 주격 ‘-이(가)’문법을 지키는 것은 ‘세련된 표현’을 쓰기 위한 지름길 중 하나다. 문법은 구성원들이 함께 받아들이는 공통 규범이다. 글쓰기에서도 이를 지킬 때 편하고 자연스러운 표현이 나온다. 읽으면서 편하고 익숙할 때 독자는 글이 매끄럽다고 느낀다.흔히 ‘-은(는)/-이(가)’는 다 주격조사인 줄 알지만, 정확히는 ‘-이(가)’만 주격조사이고 ‘-은(는)’은 보조사다. 보조사란 체언, 부사, 활용 어미 따위에 붙어서 어떤 특별한 의미를 더해주는 조사다. 가령 주제를 표시하거나 대조 또는 강조하는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특히 ‘어떤 화제를 이끄는 주제를 표시한다’는 점에서 주제격 조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바로 이 주제격 조사로서의 쓰임새가 주격조사 ‘-이(가)’ 용법과 비슷해 늘 헷갈리는 대상이 된다.예를 들면, “부산이 대한민국의 제2의 도시다”와 “부산은 대한민국의 제2의 도시다”를 어떻게 구별할까? 우선 ‘부산이~’는 말 그대로 주격으로 문장에서 서술어 ‘도시다’의 주체/주어임을 나타낸다. 문장의 중심, 즉 내용상 초점이 주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책요' 대 '책이요'…언중의 선택은?
“우리 뭐 먹을까?” “저는 냉면이요.” 식당에서 들을 만한 대화다. “기름은 얼마나 넣을까요?” “가득이요.” 주유소에선 이런 말이 오간다. 두 장면에서 공통적으로 쓰인 ‘-이요’(냉면이요/가득이요)는 실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말이다. 하지만 오랫동안 규범의 영역에 들어오지 못했다. 현실언어에서는 활발히 쓰였지만, 공인된 어법이 아니었다는 뜻이다. “책요?”로 쓰던 말…이젠 “책이요?”도 돼그러던 ‘-이요’가 지난 2월 《표준국어대사전》에 당당히 모습을 드러냈다. ‘보조사’라는 자격을 얻어 표제어로 올랐다. 문장 안에서 ‘주로 발화 끝에 쓰여 청자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일을 한다. 보조사란 체언, 부사, 활용 어미 따위에 붙어서 어떤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를 말한다. ‘-은/는/도/만/까지/마저/조차/부터’ 같은 게 보조사다. 이들은 문장 안에서 때론 주격으로도, 목적격으로도 쓰이는 등 특정한 역할에 머무르지 않아 격조사와 구별해 ‘보조사’라고 부른다.예전엔 그런 보조사 중 존칭보조사인 ‘-요’를 써서 “냉면요” “가득요”처럼 쓰던 말이었다. 이를 ‘-이요’로 하는 것은 비문법이었다. 지금은 두 가지 다 어법에 맞는 말이 됐다. 엘리베이터 안에서 “몇 층 가세요?”라고 물어올 때 “10층이요”라고 해도 되고 “10층요”라고 해도 된다. “민준이가 올해 몇 살이지? 여섯 살이요/여섯 살요.” “너는 전공이 뭐니? 국문학이요/국문학요.” 이제는 모두 가능하다.이는 1933년 ‘한글마춤법 통일안’에서 규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