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대한민국 전체가 사람 못사는 땅으로 지정됐다

    2044년 제1차 세계 기후 재난 발생, 2050년 제2차 세계 기후 재난 발생, 2051년 기후 위기 해결을 위한 오클랜드 협약 체결, 두 차례 기후 재난으로 인해 지구 육지의 57%를 사람이 살지 않는 땅으로 지정, 대한민국 전체가 노 휴먼스 랜드(No Human’s Land)로 지정되다.제3회 창비×카카오페이지 ‘영 어덜트 소설상 대상 수상작 〈노 휴먼스 랜드〉의 배경이다.디스토피아 소설이 앞다퉈 발표되고 있지만 현실감이 떨어지거나, 지나치게 혐오스럽거나, 억지스러운 전개로 공감을 얻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세계적으로 기후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읽는 〈노 휴먼스 랜드〉는 실화인 듯 빠져들게 만드는 소설이다.2070년, 19년간 방치해온 대한민국 서울 용산공원에 ‘노 휴먼스 랜드 조사단’ 대원이 도착한다. “향후 10년 안에 지구의 평균온도가 하락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보고서에 힘입어 과학자들이 적극적인 연구를 주창하자 유엔기후재난기구(UNCDE)에서 조사단을 파견한 것이다.비행기를 타고 용산공원에 내린 대원은 단장이자 지질학자 파커, 기상학자 한나, 동물행동학자 아드리안, 학생 인턴 크리스, 이 소설의 화자 미아까지 모두 5명이다.기후 난민인 18세 소녀 미아, 할머니와 엄마와 함께 캐나다의 난민 캠프에 살다가 그곳이 도시로 변하면서 집세가 올라가자 엄마 혼자만 남고 할머니와 둘이 알래스카로 떠난다. 할머니에게 말로만 듣던 땅, 한 번도 와본 적 없는 땅을 직접 찾은 것이다.비행기 고도가 서서히 낮아지면서 미아는 “빽빽하게 자리한 높은 건물들과 그 사이를 촘촘하게 잇는 도로들이 빈틈없이 땅을 메운” 광경을 본다. 땅과 가까워지면서 “무너진 다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