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대학생활, 여유 가지고 차근차근 준비해 보세요

    2023학번 수시 합격자들로부터 대학 생활 관련 질문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저도 새내기 때 비슷한 고민을 했었기에 질문들을 모아 정리해볼까 합니다.# “대학생은 어떤 가방을 메고 다니나요?”인터넷에 ‘대학생 가방’이라고 치면 에코백, 메신저백, 숄더백 등 여러 종류의 가방이 나와 혼란스러워하는 친구들이 많더라고요. 저도 새내기 입학 전에 대학생들은 책가방을 안 쓰는 줄 알고 노트북이 들어갈 만한 쇼퍼백을 샀습니다.그런데 노트북, 전공 책, 프린트물 등을 한쪽으로만 들고 다니려니 어깨가 아프더라고요. 결국 고등학교 때 쓰던 책가방을 다시 꺼냈습니다. 그리고 대학원생인 지금은 노트북이나 태블릿PC를 들고 다닐 때 쓰는 백팩, 전공 책도 가지고 다닐 때 쓰는 백팩, 간단한 소지품만 넣을 때 쓰는 백팩 등 상황별 가방 수집가가 되었죠.옷도 중·고등학생 때처럼 교복만 입고 다니는 것이 아니기에 복장별, 상황별로 필요한 가방이 다를 수 있어요. 입학 전에 모든 걸 다 준비하겠다고 생각하기보다 가지고 있는 가방을 최대한 활용하고, 대학 생활을 하면서 본인에게 맞는 스타일을 찾아갈 것을 추천합니다.# “태블릿PC를 사야 할까요?”노트북이 없다면 태블릿PC보다는 노트북을 사는 것이 우선입니다. 팀별 과제 등을 할 때 학교에서 컴퓨터가 필요한 경우 노트북이 있으면 편하고, 태블릿PC로 문서 작업을 하는 데엔 다소 불편이 따릅니다. 물론 노트북이 없다고 대학 생활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니 여력이 안 된다고 걱정할 일은 아니에요.대학에서는 수업 전 강의 플랫폼에 자료를 올려주시는 교수님, 수업 후에 올려주시는 교수님, 교재만 쓰시는 교수님 등 다양한

  • 경제 기타

    생글생글 기자 100명 뽑는다…고교생 80명·중학생 20명 선발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국내 최고 중·고교 시사·경제·논술 신문인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이 제16기 고교 생글기자와 제9기 중학생 생글기자를 선발한다. 모집 인원은 100명으로 고교생 80명, 중학생 20명이다.자신의 글이 지면에 실려 전국 학교에 배포생글기자는 자신의 학교와 지역 소식뿐만 아니라 국내외 경제, 사회, 문화, 이슈 등 다양한 분야의 글을 써 생글생글에 게재할 수 있다. 200자 원고지 6장 분량의 글을 생글기자 본인의 이름과 사진, 소속 학교 등과 함께 지면에 싣는다. 매주 발간되는 생글생글은 전국 중·고교와 지역도서관으로 배달된다. 생글기자 활동이 학창 시절 기억에 남는 최고의 비교과 활동으로 평가받는 이유다. 생글기자 활동은 훗날 기자를 꿈꾸는 학생에게는 더없이 좋은 기회이자 경험이다. 또한 설령 기자를 꿈꾸지 않더라도 생각하는 힘과 글쓰기 실력을 키우는 데 생글기자 활동은 큰 도움이 된다.대입과 대학생활에도 도움생글기자 활동은 대학입시에도 도움을 준다는 평가다. 생글기자로 활동한 상당수는 SKY대(서울·고려·연세대) 등 명문대에 진학했다. 또한 생글기자 활동은 대학생활에도 도움이 된다고 선배 생글기자들은 전하고 있다. 2018년 송원고 2학년 재학 시 14기 생글기자로 활동한 김채현 씨(서울대 경제학부 1학년)는 “생글생글 기사를 쓰면서 사회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됐다”며 “생글기자 활동으로 쌓은 글쓰기 역량은 대학에서도 많은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2017년 공주고 2학년 때 13기 생글기자로 활동한 윤건재 씨(고려대 경영학과 2학년)도 “경제 이슈들을 계속 확인하는 계기가 됐고 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