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반수해 의대 가자"…서울대 중퇴자, 17년새 최대

    지난해 서울대를 그만둔 학생이 436명으로 2007년 통계 공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합수능으로 문·이과 교차 지원이 가능해지면서 인문계열에 지원한 자연계 학생 등이 다른 대학 의대, 한의대 등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분석된다.1일 종로학원이 대학알리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중도 탈락자는 2126명이었다. 직전 해(2131명)와는 비슷한 수준이지만 5년 전인 2019년(1415명)과 비교하면 50.2% 늘어난 수치다. 중도 탈락에는 미등록, 미복학, 학사경고, 유급 등에 따른 제적 등이 포함되지만 대부분이 자퇴다.서울대 중도 탈락자는 최근 5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273명이던 중도 탈락자는 2020년 317명, 2021년 405명, 2022년 412명으로 늘어났다. 인문계열 중도 탈락자(112명)는 5년 전(61명)에 비해 83.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자연계열은 191명에서 316명으로 65.4% 늘어났다.연세대도 작년에만 830명이 중도 탈락하며 5년 새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연세대 중도 탈락자는 2019년 511명에서 2020년 561명, 2021년 700명, 2022년 822명으로 증가했다. 인문계열에서는 365명이 그만둬 5년 전(184명)에 비해 98.4% 확대됐다. 같은 기간 자연계열은 309명에서 448명으로 44.9% 늘었다.고려대는 860명으로, 2022년(897명)에 비해 4.1% 감소했다. 자연계열 중도 탈락자는 557명으로 2022년에 비해 9.7% 줄었지만, 인문계열에서는 286명이 그만둬 최근 5년 새 최고치를 나타냈다.2022학년도부터 문·이과 통합수능이 도입되면서 인문계열 자퇴생이 급증하고 있으며, 2025년 의대 증원을 앞두고 올해 중도 탈락자는 더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문·이과 통합수

  • 대학 생글이 통신

    주변 권유에 떠밀린 '반수'는 경계해야

    반수 열풍이 과거 어느 때보다 강하게 부는 것 같습니다. 직장인도 의대에 도전한다는데, 대학생이 입시에 다시 도전하는 게 이상한 일이 아닐 수 있습니다.저는 반수를 선택하기 전, 반수하고자 하는 이유를 명확히 하고 목표를 구체적으로 잡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학교 평판에 대한 욕심 때문이라면, 내가 궁극적으로 ‘대학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어요. 또 구체적인 반수의 방법, 그 방법이 실패할 경우 어떻게 대처할지 계획을 세우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또 자신이 직접 등록금을 마련할 수 있는 게 아니라면 이 계획에 대해 부모님과 충분히 상의해보길 권합니다.반수는 편입과 달라 신입생 시절을 고스란히 다시 겪게 됩니다. 무휴학 반수를 택한 경우 이 시간이 굉장히 무료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전적대의 수업과 겹치는 교양과목(대학 글쓰기, 대학 영어 등)을 반복해서 들으니 등록금이 아깝다는 생각도 들고요. 그래서 반수에 성공했을 때 내가 어떤 진로를 세우고, 어떤 수업을 들을지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구상해보는 시간을 갖길 바랍니다.저는 전공 문제로 반수를 택했기 때문에 전적대(서강대)에서 들은 수업과 최대한 겹치지 않는 수업, 고려대 언어학과에서 듣고 싶었던 전공 수업을 교양필수와 함께 신청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지금의 대학 생활이 너무 만족스럽지만,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양필수 과목은 사실 재수강하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일부러 남들이 신청하지 않는 고난도 전공 수업을 신청해놓고, 그 수업을 위해 더 공부하는 식으로 스스로를 채찍질해보기도 합니다.주변의 권유로 반수를 선택했다가 결국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