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프로스트
-
교양 기타
최후의 심판은 '불'일까 '얼음'일까 [고두현의 아침 시편]
불과 얼음 로버트 프로스트어떤 이는 세상이 불로 끝날 것이라 하고,어떤 이는 얼음으로 끝날 것이라 하네.내가 맛본 욕망에 비춰 보면불로 끝난다는 쪽을 편들겠네.하지만 세상이 두 번 멸망한다면,난 증오에 대해서도 잘 알기에얼음의 파괴력 역시불에 못지않게 엄청나며또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말하겠네.미국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1874~1963)가 46세 때인 1920년에 발표한 시입니다. 9행짜리 짧은 시이지만 의미는 깊습니다. 시인은 인간의 욕망과 증오를 ‘불’과 ‘얼음’에 비유하면서 이것이 세상을 멸망시킬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단테의 <신곡>에서 영감이 시를 보는 세 가지 관점이 흥미롭습니다. 우선 프로스트의 전기 작가에 따르면 이 시는 단테의 <신곡>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지옥’ 편에 나오는 ‘끓는 피’와 ‘화염 속’ 불의 형벌, 몸 전체가 얼음 속에 갇히는 형벌이 그것이지요. 둘 다 세상의 종말을 부르는 죄악입니다.또 하나는 자연과학적 관점입니다. 저명한 천문학자 할로 섀플리는 자신이 ‘불과 얼음’에 영감을 주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 시가 발표되기 1년 전에 프로스트와 만났다고 합니다. 그때 자기가 천문학자라는 것을 안 프로스트가 “세상이 어떻게 끝날 것 같습니까?” 하고 물었답니다.이 질문을 받은 그는 “태양의 폭발로 지구가 불타거나 그렇지 않다면 광대무변한 우주 공간에서 천천히 얼어붙을 것”이라고 대답했는데, 1년 뒤에 ‘불과 얼음’이 발표된 것을 보고 크게 놀랐다는 것입니다. 그는 “과학이 예술 창작에 어떻게 영향을 미
-
교양 기타
하루에 150번이나 '선택' 앞에 고민하는 당신
가지 않은 길로버트 프로스트노란 숲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습니다.나는 두 길을 다 가지 못하는 것을 안타까워하며,오랫동안 서서 한 길이 굽어 꺾여 내려간 데까지,바라다볼 수 있는 데까지 멀리 바라다보았습니다.그리고 똑같이 아름다운 다른 길을 택했습니다.그 길에는 풀이 더 있고 사람이 걸은 자취가 적어,아마 더 걸어야 될 길이라고 생각했지요.그 길을 걸으므로, 그 길도 거의 같아질 것이지만.그날 아침 두 길에낙엽을 밟은 자취는 없었습니다.아, 나는 다음 날을 위해 한 길은 남겨 두었습니다.길은 길에 연하여 끝없으므로내가 다시 돌아올 것을 의심하면서……훗날에 훗날에 나는 어디선가한숨을 쉬며 이야기할 것입니다.숲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다고,나는 사람이 적게 간 길을 택했다고,그리고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달라졌다고.*로버트 프로스트 : 미국 계관시인(1874~1963).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나 하버드대를 중퇴했다. 시집 <보스턴의 북쪽> <시 모음집> 등을 냈다.“인생은 B(Birth·탄생)와 D(Death·죽음) 사이의 C(Choice·선택)다”라는 장 폴 사르트르의 말처럼 우리 삶은 ‘선택’의 연속입니다. 입을 옷을 고르는 사소한 일부터 진로를 결정하고 배우자를 선택하는 중대사까지 다 그렇지요.내셔널지오그래픽에 따르면 우리는 하루에도 150여 차례나 선택의 기로에 놓입니다. 이 중에서 신중하게 고민하는 것은 30차례 정도에 불과하고, 올바른 선택이라며 미소를 짓는 것은 5차례도 안 된다고 해요.20세기 미국 국민시인으로 뽑힌 로버트 프로스트도 그랬습니다. 그는 남들이 평생 한 번도 타기 어려운 퓰리처상을 네 번이나 받은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