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덕률풍'에서 '스마트폰'까지
코로나19 사태는 우리 사회의 많은 것을 바꾸고 있다. 우리말에도 이미 영향을 끼쳤다. 관련 외래어가 새로 선보이거나 다시 부각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언택트’도 그런 말 중의 하나다. ‘언택트 마케팅, 언택트 소비, 언택트 서비스, 언택트 쇼핑, 언택트 문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쓰인다는 점에서 이 말은 생산성이 꽤 높다.‘텔레폰’을 음역해 ‘덕률풍’으로 불러‘비대면’ ‘비접촉’ 정도로 번역되는 이 말은 사실 코로나19 이전부터 쓰였다. 금융업 등에서 ‘비대면(非對面) 계좌 개설’, ‘비대면 서비스’ 식으로 많이 소개됐다. 그러던 게 이번 사태를 계기로 우리말 ‘비대면’보다 ‘언택트’가 전면에 부각돼 더 활발하게 쓰인다는 점은 다소 역설적이다. 현실 언어에서 외래어에 밀리는 우리말을 지켜봐야 한다는 것도 안타까운 일이다.어찌됐든 ‘언택트’의 부상은 우리 커뮤니케이션의 행태와 질서에 놀라운 변화를 가져올 전조임에 틀림없다. 소통의 측면에서 보면 ‘언택트의 원조’로 전화를 꼽을 만하다.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사람끼리 서로 얘기를 나눌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그렇다.전화기가 우리나라에 처음 선보인 것은 1898년, 지금으로부터 122년 전이었다. 개화기 서양문물이 한창 밀려들어 오던 시절이었다. 당시 궁내부(宮內部) 주관으로 궁중에서 각 아문(衙門)과 연락을 취하기 위해 덕수궁에 전화 시설을 마련했다고 한다. 처음에는 ‘텔레폰(telephone)’의 발음을 본떠 한자식으로 음역해 ‘덕률풍(德律風)’이라고 불렀다(정확히는 중국에서 ‘德律風’으로 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코로나19가 유행시킨 외래어들
100여 년 전 이 땅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치명적 질병은 ‘장질부사’였다. “그동안 평양에 창궐한 장질부사의 환자통계를 보건대 일본인 972명·사망 189명, 조선인 135명·사망 19명, 외국인 1명·사망 없음. 계 환자 1098명, 사망 208명.” 1922년 11월 동아일보는 평양발(發)로 장질부사 발병 현황을 전했다. 통계수치로만 보면 당시 장질부사는 치사율이 20%에 가까운 무서운 병이었다.‘호열자’ ‘장질부사’는 사라져가는 말지금은 사라져가는 말 ‘장질부사(腸窒扶斯)’. 이는 예전에 장티푸스(腸typhus)를 가리키던 말이다. 티푸스균이 장(腸)에 들어가 일으키는 전염병이란 뜻으로, ‘장’과 ‘티푸스’를 합성했다. 지금은 외래어(외국어)를 현지 발음에 맞춰 한글로 적으면 되지만 과거에 한자음을 빌려 쓰던 시절이 있었다. 이른바 ‘음역어’인데, 대개는 중국이나 일본에서 만든 말을 들여다 썼다. 장질부사 역시 중국에서 腸窒扶斯로 적고 [창즈푸쓰] 정도로 읽던 것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것이다.이 병이 얼마나 무서웠는지 ‘염병’의 대명사가 될 정도였다. 염병(染病)은 두 가지로 쓰인다. 하나는 글자 그대로 전염병을 뜻하고, 다른 하나는 장티푸스를 가리킨다. ‘염병을 떨다’(엉뚱하거나 나쁜 짓을 하다)란 관용구도 생겼다. 감탄사 “염병할!”은 욕으로 하는 말인데, ‘장티푸스를 앓다 죽을’이란 속뜻을 담고 있다. 입말로 “옘병할”이라고도 하지만 이는 틀린 말이다.콜레라도 장티푸스 못지않게 치사율이 높은 병이었다. 이를 한때 음역어로 ‘호열자(虎列刺)’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런데 콜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금명간'은 한자어…'이른 시일 내'로 쓰면 쉽죠
지난 4월 26일 새벽 국회에서 ‘패스트트랙’을 놓고 여야가 대치하는 과정에서 ‘빠루’가 등장했다. 곧이어 포털사이트엔 ‘빠루’가 실시간검색(실검)에 올랐다. 이에 앞서 14일 치러진 삼성그룹 대졸공채시험 뒤에도 ‘칠칠하다’ ‘서슴다’ 같은 단어가 화제가 됐다. 신문들은 문제로 나온 낯선 낱말 앞에서 수험생들이 당혹스러워하던 분위기를 전했다.‘빠루-노루발못뽑이’ 둘 다 실패그런 사례는 많다. 지난 3월엔 ‘금명간’이 실검에 떠 주목을 받았다. 경찰에서 한 연예인의 구속 영장을 ‘금명간 신청한다’는 보도가 나온 뒤였다. ‘금명간’이 뭐지? 네티즌에게 이 말이 생소했던 모양이다.우리말을 둘러싼 이런 관심은 두 가지 상반된 화두를 던진다. 하나는 우리말을 대하는 인식이 사회적 화제가 될 만큼 커졌다는 점이다.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아니, 이런 말을 잘 모르나?’ 하는 안타까움도 묻어난다. 이런 사례는 우리말을 살찌우기 위해 필요한 언어정책 방향이 어디에 있는지를 시사한다.이들은 사실 오래전부터 써오던 익숙한 말이다. 하지만 어떤 연유에서든 지금은 덜 쓰는 말이 됐다. 왜 그렇게 됐을까? 지렛대 원리로 못을 뽑는 도구인 ‘빠루’는 사전에 올라 있지 않다. 영어로는 ‘크로 바(crow-bar)’다. 까마귀 발을 닮았다 해서 그런 말이 생겼다. 이걸 일본에서 뒤의 ‘바’만 따다 ‘바루(バ-ル)’라고 적었는데, 한국으로 넘어오면서 된소리 ‘빠루’가 됐다. 원어에서 멀어져 왜곡된 형태로 자리잡은 것이다.당연히 순화의 칼날을 피해가지 못했다. 국립국어원에서 ‘노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외래어 남발은 글의 의미 전달을 방해하죠
지난여름 어린이 안전사고가 잇따랐다. 통학차량에서 미처 내리지 못한 어린이가 폭염 속에 갇혀 사망하는 일까지 생겼다. 사고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 여론이 들끓었다. 서울 성동구에서 안전장치를 한발 앞서 도입했다. 이름이 ‘슬리핑차일드체크 시스템’이었다.표현은 어색하고 뜻도 잘 드러나지 않아“서울 성동구청 관계자가 2일 성수동 경일고등학교에서 어린이집 차량 30여 대에 ‘슬리핑차일드체크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다.” 언론들은 이날 행사를 대개 이런 식으로 전했다. 장치에 붙인 표지문의 문구도 난감했다. ‘전원 하차 후 태깅해 주시기 바랍니다.’ 좀 더 쉽게 쓰는 방법은 없었을까?이 ‘어린이 보호장치’는 미국, 캐나다에서 시작됐다고 한다. 우리에겐 낯선, 처음 도입되는 장치다. 외래 용어가 따라 들어오는 것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처음 시작할 때 잘해야 한다. 그래야 우리 문화로 소화해 더 좋은 방식으로 바꿀 수 있다. 말도 마찬가지다. ‘잠자는 아이 확인장치’나 ‘어린이갇힘 방지장치’ 정도면 어땠을까? 또는 좀 더 넓은 개념으로 본다면 ‘어린이안전 관리장치’로 해도 무난했을 듯하다.외래어 사용을 가능한 한 줄이자는 것은 단순히 영어투라서 또는 일어투라서 그런 게 아니다.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그런 주장을 펴던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 요즘 우리말에 대한 인식이 꽤 높아졌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우리말다운, 자연스러운 글의 흐름을 방해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외래어 남용은 ‘건강한 글쓰기’ 관점에서 병적 요소다. 글의 명료성과 간결성을 떨어뜨린다. 특히 의미 전달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엄지척'과 '엄지를 치켜들다'의 차이
'엄지척'도 제법 쓰인다. 국립국어원의 개방형 사전인 '우리말샘'에는 2016년 10월에 등재됐다. 하지만 아직 공식적으로 사전에 등재된 표준어는 아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싱가포르 회담이 지난 12일 열렸다. ‘역사적 만남’이었던 만큼 화제도 많았다. 그중 트럼프가 김정은을 향해 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어 올린 장면은 여러 해석을 낳았다. 그동안의 관계에 비춰볼 때 ‘파격적 행동’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이 동작은 상대방을 최고라고 치켜세우거나 잘했다고 칭찬할 때 나온다. 우리말과 관련해서도 생각할 거리가 있다.‘엄지를 치켜들다’가 가장 적절영어에서는 이를 ‘썸업(thumbs up)’이라고 한다.(외래어표기법으로 하자면 ‘섬업’이다. 하지만 그래서는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고 말맛도 없다.) 일상에서 자주 하는 동작이지만 아쉽게도 우리말에는 이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다. 풀어서 설명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정형화된 표현이 없기 때문에 서술어가 중구난방이다. 예컨대 이런 식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엄지를 올리고 있다.’ 이때 엄지를 단순히 ‘올린다’라고 하기에는 뭔가 부족하다. 그러다 보니 ‘엄지를 들다/세우다/들어올리다/치켜들다/추켜세우다/추어올리다’ 등 10여 가지 동사가 뒤섞여 쓰인다. 여기에 ‘들어보이다/세워보이다/치켜올려 보이다’ 등 ‘-보이다’ 동사가 결합하기도 한다.‘추키다’와 ‘치키다’는 의미상 거의 같은 뜻으로 바꿔 쓸 수 있는 말이다. 공통적인 의미는 ‘위로 올린다’는 것이다. 각각